Top
Search 닫기

Original Article

Split Viewer

Korean J. Vet. Serv. 2023; 46(2): 147-156

Published online June 30, 2023

https://doi.org/10.7853/kjvs.2023.46.2.147

© The Korean Socitety of Veterinary Service

신속진단키트를 활용한 경기지역 젖소 송아지 설사병 유병률과 위험요인 분석

박태묵1ㆍ조길재2ㆍ양영진1ㆍ류일선3*

한국마사회 제주목장 동물병원1,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2, 아시아동물의학연구소3

Received: May 21, 2023; Revised: May 29, 2023; Accepted: June 2, 2023

Analysis of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iarrhea in dairy calf using a rapid diagnostic kit in Gyeonggi province

Taemook Park 1, Gil Jae Cho 2, Young Jin Yang 1, Il-Sun Ryu 3*

1Equine Clinic, Jeju Stud Farm, Korea Racing Authority, Jeju 63346, Korea
2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Korea
3Asia Animal Research Institute, Hwasung 18633, Korea

Correspondence to : Il-Sun Ryu
E-mail: aami58@hanmail.net
https://orcid.org/0000-0002-4226-5635

Received: May 21, 2023; Revised: May 29, 2023; Accepted: June 2, 2023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Between February 2020 and September 2021, a total of 452 dairy calves with diarrhea were investigated across 17 dairy farms in Gyeonggi province, Korea, using a rapid diagnostic kit.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ection rates of major pathogens causing diarrhea in dairy calves, categorizing them by season, age, and birth month. Additionall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infection rate. The infection rates of the major pathogens causing infectious diarrhea in dairy calves, including bovine rotavirus, bovine coronavirus, Cryptosporidium, and E. coli, are influenced by season, age, and birth month. Bovine coronavirus and Cryptosporidium showed variations in infection rates according to season, age, and birth month, while bovine coronavirus was influenced by age and birth month, and E. coli showed variations in infection rates based on age. Furthermore, in the analysis of risk factors influencing the infection rates of these pathogens, age and birth month were identified as risk factors for bovine rotavirus, bovine coronavirus, and Cryptosporidium.

Keywords Dairy calf, Diarrhe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apid diagnostic kit, Risk factor

젖소의 개량, 시설의 현대화, 영양제 및 사료의 개선, 비유주기별 영양 공급의 차별화 등 젖소목장의 사양관리 기법에 많은 발전이 있었지만, 설사병으로 인한 송아지의 폐사율은 여전히 높다(Hur 등, 2013). 이는 송아지 설사병이 환경적 요인을 포함한 비감염성 요인뿐만 아니라 병원성 미생물 같은 다양한 감염성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하기 때문이다(Kirisawa 등, 2007; Mauroy 등, 2009).

송아지 설사병의 가장 대표적인 원인은 Bovine rotavirus (BVD), bovine coronavirus (BCoV), Cryptosporidium parvum,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E. coli), Giardia 등의 병원체에 의한 감염이지만(Krogh와 Henriksen, 1985; De la Fuente 등, 1999; Foster와 Smith, 2009), 송아지의 영양 상태, 수유 능력, 모우의 건강상태, 초유의 immunoglobulin G (IgG) 농도뿐만 아니라 위생 환경도 송아지의 설사병 발병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Svensson 등, 2006; Trotz-Williams 등, 2008).

목장의 규모가 커질수록 밀집 사육으로 인한 질병의 전파가 쉬워지며, 다른 가축과 함께 사육하거나, 호흡기 질병에 이환된 경험이 있는 경우 설사병의 발병 위험이 증가한다(Klein-Jöbstl 등, 2014). 또한, 외부에서 송아지를 신규로 도입하는 시기에는 새로운 감염성 병원체가 목장으로 유입되어 설사병 발생 위험이 증가하기도 한다(Van Schaik 등, 2002).

송아지의 대표적인 폐사 원인 중 하나인 설사병은 출생 직후 부터 2개월령 사이에 주로 발병한다(Kang 등, 2001; Hur 등, 2013; Kim 등, 2015; Lorenz 등, 2021). 마찬가지로, 폐사율도 출생 후 첫 1∼2주에 최대치에 이르렀다가 이후 낮아지기는 하지만, 이유 전 폐사하는 송아지의 50% 이상이 설사병에 기인한다(Garcıa 등, 2000). 계절적 요인도 송아지의 설사병 발병에 영향을 주는데, 발병률은 겨울에 가장 높지만 7월에도 높은 발병률과 폐사율을 나타낸다(Yook 등, 2009; Jeong 등, 2012; Park 등, 2023). 연령과 계절이라는 위험요인 외에 지역과 출생시기도 병원체의 감염 위험성에 영향을 준다(Park 등, 2023).

설사병은 장에서의 흡수와 분비 조절의 불균형, 대장의 운동 및 감각 기능의 변화로 인해 분변내 수분의 양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Heo 등, 2008), 설사병에 이환된 송아지는 발열, 식욕 저하, 기립 불량 등의 증상을 나타내며, 중증의 경우 탈수, 영양∙대사 장애를 동반하며, 부정맥이나 저혈압으로 인한 순환장애나 저체온증으로 폐사하기도 한다(Schroeder 등, 2012).

송아지 설사병은 다양한 발병 원인에도 불구하고, 임상 증상은 거의 유사하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신속한 진단은 발병 원인을 확인하는 것과 더불어 수의사와 생산농가가 적기에 알맞은 치료를 시작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또한, 설사병 치료를 빨리 시작할수록 좋은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설사병 초기에 적절한 치료제를 투여하는 것과 예방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설사병의 주요 병원체인 BRV, BCoV, Cryptosporidium, E. coli, Giardia에 대하여 신속진단 키트를 이용한 젖소 송아지 설사병의 감염 실태와 병원체의 감염 위험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조사하는 것이다.

대상동물

2020년 2월부터 2021년 9월까지 경기도의 3개 지역에 위치한 17개 젖소목장에서 설사 증상을 보이는 12주령 이하의 송아지 452두(안성 2개 농장 11두, 여주 2개 농장 91두 및 화성 13개 농장 350두)를 대상으로 일회용 장갑을 착용 후 직장에 자극을 주어 분변을 채취하였다. 분변 시료를 냉장 상태를 유지하며 실험실로 운반하여 송아지 설사병 항원진단 5종(BRV, BCoV, Cryptosporidium, E. coli, Giardia) 진단키트(Rapid BoviD-5 Ag, Bionote, Korea)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검사하였다.

통계 분석

통계분석은 SPSS 프로그램 version 26.0 (IBM Corp., Armonk, NY, USA)을 이용하였다. 진단키트를 이용한 설사병 송아지의 분변 검사에서 양성인 군을 대상으로 계절, 나이 및 출생시기별로 BRV, BCoV, Cryptosporidum, E. coli, Giardia에 대한 진단 결과를 Chi-square test 또는 Fisher’s exact test를 사용하여 단변량 분석을 시행하였다. 송아지 설사병에 대한 병원체의 감염 위험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단변량 분석에서 P값이 0.1 이하였던 변수를 포함시켜 다중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으로 다변량 분석하여 최종 P값이 0.05 미만인 변수를 유의한 위험요인으로 판단하였다.

송아지 설사병의 일반적 특성

경기도내 17개 젖소목장의 설사병 송아지 452두를 대상으로 계절, 나이 및 출생시기로 구분하여 설사병의 발병률과 BRV, BCoV, Cryptosporidium, E. coli, Giardia에 대한 감염률을 조사하였다(Table 1).

Table 1 . Prevalence of enteric pathogen infections detected in fecal samples from dairy calves with diarrhea, stratified by season, age, and birth month in Gyeonggi province

Total n (%)Positive n (%)Negative n (%)
Season*Spring179 (39.6)166 (92.7)13 (7.3)
Summer15 (3.3)11 (73.3)4 (26.7)
Autumn50 (11.1)35 (70.0)15 (30.0)
Winter208 (46.0)165 (79.3)43 (20.7)
Subtotal452 (100)377 (83.4)75 (16.6)
Age∼2 weeks221 (48.9)204 (92.3)17 (7.7)
2∼4 weeks170 (37.6)148 (87.1)22 (12.9)
4∼6 weeks42 (9.3)17 (40.5)25 (59.5)
6∼8 weeks15 (3.3)7 (46.7)8 (53.3)
8∼ weeks4 (0.9)1 (25.0)3 (75.0)
Subtotal452 (100)377 (83.4)75 (16.6)
Birth monthJanuary51 (11.3)50 (98.0)1 (2.0)
February60 (13.3)56 (93.3)4 (6.7)
March103 (22.8)96 (93.2)7 (6.8)
April32 (7.1)28 (87.5)4 (12.5)
May17 (3.8)15 (88.2)2 (11.8)
June5 (1.1)5 (100)0 (0)
July2 (0.4)0 (0)2 (100)
August8 (1.8)6 (75.0)2 (25.0)
September3 (0.7)2 (66.7)1 (33.3)
October29 (6.4)18 (62.1)11 (37.9)
November37 (8.2)19 (51.4)18 (48.6)
December105 (23.2)82 (78.1)23 (21.9)
Subtotal452 (100)377 (83.4)75 (16.6)

*Spring, January~May; Summer, June∼August; Autumn, September∼November; Winter, December∼February.



설사병 송아지의 발병률을 계절별로 구분했을때는 겨울(46.0%)에 가장 많았고, 봄(39.6%), 가을(11.1%), 여름(3.3%) 순으로 많았다. 나이별로는 2주령 이하가 48.9% (221두), 2∼4주령 사이가 37.6% (170두)로써 전체 설사병 송아지의 86.5% (391두)를 4주령 이하가 차지하였다. 또한, 4∼6주령은 9.3% (42두), 6∼8주령은 3.3% (15두), 8주령 이상은 0.9% (4두)로 나이가 증가할수록 송아지의 설사병 발병률은 감소하였다. 태어난 시기에 따라서는 3월과 12월생 설사병 송아지의 비율이 22.8% (103두)와 23.2% (105두)로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6월부터 9월 사이에 태어난 설사병 송아지는 전체의 4% (18두)로 낮았다.

설사병 송아지의 5종 병원체에 대한 감염률 조사에서는 83.4% (377두)가 양성, 16.6% (75두)는 음성이었다. 계절별으로는 봄(166/179두)에 양성률이 가장 높았으며, 겨울(165/208두), 여름(11/15두), 가을(35/50두) 순으로 낮아졌다. 나이별로는 2주령 이하 설사병 송아지(92.3%, 204/221두)의 양성률이 가장 높았으며, 4주령 이상의 설사병 송아지는 5종 병원체에 대한 양성률보다 음성률이 높았다. 태어난 시기별로는 1∼3월생 송아지의 양성률이 98.0%, 93.3%, 93.2%로 다른 시기에 태어난 송아지보다 높았다.

5종 병원체에 양성인 설사병 송아지 377두 중 48.8% (184두)는 단일 병원체에 감염된 상태였으며, 51.2% (193두)는 2종 이상의 병원체에 혼합 감염되어 있었다(Table 2). 단순 감염된 설사병 송아지의 병인체는 Cryptosporidium (118두), BRV (35두), Giardia (16두), BCoV (14두), E. coli (1두) 순으로 많았다. 2종의 병원체에 혼합 감염된 설사병 송아지는 33.4% (126두) 였으며, 3종과 4종의 병원체에 혼합 감염된 설사병 송아지도 16.4% (62두)와 1.3% (5두)였다. 혼합 감염된 설사병 송아지의 경우 BRV와 Cryptosporidium에 동시에 감염되어 있는 송아지가 13.5% (51두)로 가장 많았다.

Table 2 . The detection rates of five pathogens in dairy calves with diarrhea using rapid diagnostic kit in Gyeonggi province

BRV*BCoVCryptoE. coli§Giardian (%)
Simple infection+----35 (9.3)
-+---14 (3.7)
--+--118 (31.3)
---+-1 (0.3)
----+16 (4.2)
Complex infection+++-+5 (1.3)
+++--23 (6.1)
++--+3 (0.8)
++---13 (3.4)
+-+-+30 (8.0)
+-+--51 (13.5)
+---+9 (2.4)
-++-+6 (1.6)
-++--26 (6.9)
-+--+2 (0.5)
--+-+25 (6.6)

*BRV, bovine rotavirus; BCoV, bovine coronavirus; Crypto, Cryptosporidium; §E. coli, Escherichia coli.



송아지 설사병 5종 병원체의 감염률

BRV 감염에 의한 송아지 설사병은 계절, 나이, 출생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계절적으로는 봄(49.2%)에 BRV의 감염률이 가장 높았으며, 여름(33.3%), 겨울(29.8%), 가을(28.0%) 순으로 낮아졌다(P<0.001) (Fig. 1A). 나이별로는 2주령 이하의 감염률이 53.4%로 가장 높았으며, 6∼8주령 시기에 일시적으로 증가하기는 하였지만, 나이가 증가할수록 감염률은 감소하였다(P<0.001) (Fig. 1B). 출생시기에 따라서도 감염률의 차이를 보였는데, 3월과 4월생 설사병 송아지의 감염률이 54.4%와 59.4%로 다른 시기에 태어난 송아지보다 높았다(P<0.001) (Fig. 1C).

Fig. 1.The detection rates of five pathogens in dairy calves with diarrhea by season (A∼E), age (F∼J), and birth month (K∼O) in Gyeonggi province. *** and * indicate P<0.001 and P<0.05 with the chi-square test.

설사병 송아지의 BCoV 감염률은 나이와 출생시기에 따라 감염률의 차이를 보였다. 나이별로는 2주령 이하 설사병 송아지의 감염률이 27.6%로 가장 높았으며, 나이가 증가할수록 감염률이 감소하였다(P<0.001) (Fig. 1E). 출생시기에 따라서는 3월과 9월생 송아지의 감염률이 34.9%와 33.3%로 높았으며, 4월생과 5월생 송아지의 감염률은 6.3%와 5.9%로 낮았다(P<0.001) (Fig. 1F). 그러나, 계절(P=0.088)에 따른 설사병 송아지의 BCoV 감염률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Fig. 1D).

설사병 송아지의 Cryptosporidium 감염률은 계절, 나이, 출생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계절별로는 봄과 겨울의 감염률이 70.4%와 63.9%로 여름(46.7%)과 가을(36.0%)보다 높았다(P<0.001) (Fig. 1G). 나이에 따라서는 출생 직후부터 감염률이 증가하여 2∼4주령 시기에 74.1%로 가장 높았으며, 이후 감소하였다(P<0.001) (Fig. 1H). 출생시기별로는 1월과 5월생 설사병 송아지의 감염률이 84.3%와 82.4%로 다른 시기에 태어난 설사병 송아지 보다 감염률이 높았다(P<0.001) (Fig. 1I).

설사병 송아지의 E. coli 감염률은 6주령에(2.3%) 다른 주령의 송아지보다 높게 나타나 나이에 따른 차이를 보였지만(P<0.05) (Fig. 1K), 계절, 출생시기에 따른 감염률의 차이는 없었고(Fig. 1J, 1L), Giardia의 감염률은 계절, 나이, 출생시기 세가지 요인 모두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Fig. 1M∼1O).

병원체별 감염 위험요인 분석

병원체의 감염률에 대한 Chi-square test에서 P값이 0.1 이하였던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BRV, BCoV, Cryptosporidium, E. coli의 감염 위험을 분석하였다(Table 36).

Table 3 . Predictors of bovine rotavirus infection in dairy calves with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redictorEstimateSEPOdds ratio95% CI
Season*Spring1(reference)
Summer1.6341.1790.5605.1250.50778∼51.702
Autumn0.6400.58350.5441.8970.22067∼16.315
Winter0.3440.60620.1661.4110.46365∼4.293
Age∼2 weeks1(reference)
2∼4 weeksa−1.1580.235<0.0010.3140.1983∼0.498
4∼6 weeksa−1.8710.521<0.0010.1540.0555∼0.427
6∼8 weeks−1.0250.7010.1430.3590.0909∼1.416
8∼ weeks−16.5411,144.1370.9886.55e-80∼Inf§
Birth monthApril1(reference)
Januaryc−1.1670.4930.0180.3110.1185∼0.818
February−0.8250.4710.080.4380.174∼1.103
March−0.1910.4350.6610.8260.3523∼1.937
May−1.180.680.0830.3070.081∼1.166
June−0.5551.0250.5880.5740.077∼4.279
July−16.9071,622.7750.9924.54e-80∼inf§
August−0.9530.8470.2610.3860.0733∼2.031
September−16.0191,371.4290.9911.10e-70∼inf§
Octoberc−1.2720.5850.030.280.089∼0.882
Novemberc−1.4090.6210.0230.2450.0724∼0.826
December−0.8140.450.070.4430.1834∼1.069

*Spring, January~May; Summer, June∼August; Autumn, September∼November; Winter, December∼February; SE, standard error; CI, Confidence level; §inf, infinite.

a and c indicate P<0.001 and P<0.05 wit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RV 감염률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낸 계절, 나이, 태어난 시기에 대한 위험요인 분석을 하였다. 나이별로는 2주령 이하의 송아지가 BRV 감염 위험성이 가장 높았으며, 주령이 증가할수록 위험성이 낮아져 2∼4주령 송아지의 감염 위험성은 2주령 이하의 송아지에 비하여 68.5% [P<0.001, Odds ratio (OR): 0.314, 95% Confidence level (Cl): 0.1983∼0.498] 감소하였으며, 4∼6주령 송아지는 84.6% (P<0.001, OR: 0.154, 95% CI: 0.0555∼0.427) 감소하였다(Table 3). 출생시기에 따라서는 4월생 송아지의 감염 위험성이 다른 시기에 태어난 송아지보다 높았으며, 4월생 송아지에 비하여 1월생 송아지는 68.8% (P=0.018, OR: 0.311, 95% CI: 0.1185∼0.818), 10월생 송아지는 71.9% (P=0.03, OR: 0.28, 95% CI: 0.089∼0.882), 11월생 송아지는 75.5% (P=0.023, OR: 0.245, 95% CI: 0.0724∼0.826) 감염 위험성이 감소하였다(Table 3). 그러나, 계절적 변화는 송아지의 BRV 감염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았다(Table 3).

송아지가 BCoV에 감염되어 설사병을 유발할 위험성은 나이별로는 2주령 이하의 송아지가 가장 높았으며, 2주령 이하의 송아지에 비하여 감염 위험성이 2∼4주령 송아지는 61.6% (P< 0.001, OR: 0.3832, 95% CI: 0.2206∼0.666), 4∼6주령 송아지는 87.5% (P=0.007, OR: 0.1244, 95% CI: 0.0272∼0.57) 감소하였다(Table 4). 출생시기별로는 4월생 송아지의 감염 위험성이 가장 낮았으며, 4월생 송아지의 감염 위험성에 비하여 1월생 송아지는 4.2배(P=0.04, OR: 5.262, 95% CI: 01.0785∼ 25.673), 2월생 송아지는 6.3배(P=0.011, OR: 7.3947, 95% CI: 1.5717∼34.79), 3월생 송아지는 8배(P=0.004, OR: 9.008, 95% CI: 2.0118∼40.332), 9월생 송아지는 20배(P=0.039, OR: 21.28, 95% CI: 1.1683∼387.662) 높았다(Table 4).

Table 4 . Predictors of bovine coronavirus infection in dairy calves with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redictorEstimateSE*POdds ratio95% CI
Age∼2 weeks1(reference)
2∼4 weeksa−0.95910.282<0.0010.38320.2206∼0.666
4∼6 weeksb−2.08390.7770.0070.12440.0272∼0.57b
6∼8 weeks−16.4462996.4910.9877.20e-80∼inf
8∼ weeks−15.50141,937.7680.9941.85e-70∼inf
Birth monthApril1(reference)
Januaryc1.66050.8090.045.2621.0785∼25.673
Februaryc2.00080.790.0117.39471.5717∼34.79
Marchb2.19810.7650.0049.00782.0118∼40.332
May0.06941.2730.9571.07190.0885∼12.983
June1.59191.3580.2414.91320.3432∼70.339
July−14.12962,438.9820.9957.30e-70∼inf
August0.88871.3130.4982.43210.1855∼31.887
Septemberc3.05781.4810.03921.281.1683∼387.662
October1.1320.9220.2193.10190.5093∼18.893
November1.54940.9350.0974.70850.7541∼29.401
December1.16280.8050.1493.19890.6605∼15.493

*SE, standard error; CI, Confidence level; inf, infinite.

a, b and c indicate P<0.001, P<0.01 and P<0.05 wit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ryptosporidium의 감염 위험성은 출생 직후부터 4주령 까지는 증가하다가 나이가 증가하면서 다시 감소하였다. 2주령 이하의 송아지에 비하여 2∼4주령 송아지의 감염 위험성은 1.6배(P=0.043, OR: 1.606, 95% CI: 0.9869∼2.613) 높았고, 4∼6주령 송아지는 75.8% (P<0.001, OR: 0.242, 95% CI: 0.1048∼0.559) 낮았다(Table 5). 또한, 출생시기에 따라서도 감염 위험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1월생 송아지는 다른 시기에 출생한 송아지보다 감염 위험성이 높았으며, 1월생 송아지의 감염 위험성에 비하여 4월생 송아지는 70.0% (P=0.025, OR: 0.3, 95% CI: 0.1047∼0.86), 6월생 송아지는 89.2% (P=0.026, OR: 0.1078, 95% CI: 0.0152∼0.765), 8월생 송아지는 93.0% (P=0.003, OR: 0.069, 95% CI: 0.0115∼0.413), 10월생 송아지는 87.0% (P<0.001, OR: 0.1299, 95% CI: 0.0422∼0.4), 11월생 송아지는 87.5% (P<0.001, OR: 0.1242, 95% CI: 0.0415∼0.372), 12월생 송아지는 60.4% (P=0.04, OR: 0.3954, 95% CI: 0.1628∼0.96) 감소하였다(Table 5).

Table 5 . Predictors of Cryptosporidium infection in dairy calves with diarrhea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redictorEstimateSEPOdds ratio95% CI
Season*Spring1(reference)
Summer−14.801689.3300.9833.73e-70.00000∼Inf§
Autumn0.5660.9790.5631.76130.25858∼11.997
Winter0.3640.5860.5341.43980.45624∼4.543
Age∼2 weeks1(reference)
2∼4 weeksc0.4740.2480.0431.6060.9869∼2.613
4∼6 weeksa−1.4190.427<0.0010.2420.1048∼0.559
6∼8 weeks−0.930.6680.1640.39460.1066∼1.461
8∼ weeks−17.175633.1930.9783.48e-80∼Inf
Birth monthJanuary1(reference)
February−0.9230.4790.0540.39730.1554∼1.016
March−0.6330.4480.1580.53120.2206∼1.279
Aprilc−1.2040.5370.0250.30.1047∼0.86
May0.971.1070.3812.63840.3013∼23.1
Junec−2.22710.0260.10780.0152∼0.765
July−16.665992.8210.9875.79e-80∼Inf§
Augustb−2.6730.9130.0030.0690.0115∼0.413
September−0.5761.420.6850.56230.0348∼9.086
Octobera−2.0410.573<0.0010.12990.0422∼0.4
Novembera−2.0860.559<0.0010.12420.0415∼0.372
Decemberc−0.9280.4530.040.39540.1628∼0.96

*Spring, January∼May; Summer, June∼August; Autumn, September∼November; Winter, December∼February; SE, standard error; CI, Confidence level; §inf, infinite.

a, b and c indicate P<0.001, P<0.01 and P<0.05 wit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설사병 송아지의 E. coli 감염률은 나이에 따라 차이를 보이기는 했지만(P<0.05) (Fig. 1K), 감염 위험성 분석에서는 나이가 E. coli의 감염 위험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Table 6).

Table 6 . Predictors of E. coli infection in dairy calves with diarrhea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redictorEstimateSE*POdds ratio95% CI
Age4∼6 weeks1(reference)
∼2 weeks−19.855,345.190.9970.239e-90.00000∼inf
2∼4 weeks−19.856,094.460.9970.239e-90.00000∼inf
6∼8 weeks−19.8520,517.000.9990.239e-90.00000∼inf
8∼ weeks−19.8539,731.001.0000.239e-90.00000∼inf

*SE, standard error; CI, Confidence level; inf, infinite.


송아지 설사병은 높은 폐사율 뿐만 아니라, 환축의 관리를 위한 노동력의 소실, 회복 후의 성장 지연과 다른 질병의 발병 위험성을 높이기 때문에 축산농가의 경영에 큰 위협이 된다(Kang 등, 2001; Kim 등, 2015; Becker 등, 2020; Lorenz 등, 2021). 설사병은 사육환경, 영양·면역 상태 등의 비감염성 요인과 바이러스, 세균, 원충 같은 다양한 감염성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한다(Chon 등, 2007; Boileau와 Kapil, 2010). 그 외에 태어난 계절, 초유의 IgG 함유량과 섭취량, 감염원이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는 습하고 서늘한 환경, 우사의 청결 상태 등 다양한 요인들이 송아지 설사병의 발병에 영향을 준다(Maddox-Hyttel 등, 2006; Gulliksen 등, 2009).

국내의 송아지 설사병 연구는 주로 지역별로 병원체를 분리하고 감염률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Jeong 등, 2012), 병원체의 감염 위험요인을 분석한 연구는 드물다(Park 등, 2023). 본 연구에서는 2020년부터 2월부터 2021년 9월까지 20개월간 경기도의 17개 젖소목장에서 설사병 송아지 452두를 대상으로 소화기 병원체에 감염된 설사병 송아지의 감염률과 감염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들을 조사하였다.

BRV, BCoV, Cryptosporidium, E. coli. Giardia는 전세계적으로 어린 송아지의 급성 설사를 유발하는 가장 대표적인 장내병원체이다(Krogh와 Henriksen, 1985; De la Fuente 등, 1999; Foster와 Smith, 2009). 본 연구에서 설사병 송아지 452두 중 377 (83.4%)두는 BRV, BCoV, Cryptosporidium, E. coli, Giardia 항원 검사에 양성이었으며 75 (16.6%)두는 음성이었다. 이는 한우 설사병 송아지를 대상으로 한 이전의 연구보다 높은 수치이다(Park 등, 2023). 이러한 병원체들은 단독 또는 혼합 감염의 형태로 설사병을 유발하는데, 2종 이상의 병원체에 동시에 감염된 송아지는 단일 병원체에 감염된 송아지 보다 설사병 발병률이 6배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Boileau와 Kapil, 2010). 본 연구에서도 단일 병원체에 감염된 비율보다 2종 이상의 병원체에 혼합 감염된 비율이 높아 이전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단독 감염되거나 혼합 감염된 설사병 송아지 모두 Cryptosporidium에 감염된 경우가 가장 많았다(Kang 등, 2001; Izzo 등, 2011; Jeong 등, 2012). 이는 단일 병원체에 의한 감염보다 혼합 감염된 경우가 많았던 한우 송아지 설사병 연구와는 반대의 결과였지만, 한우 설사병 송아지 연구에서 우세한 병원체가 Cryptosporidium인 것은 일치하였다(Park 등, 2023). 이는 반추동물에서 사육방법에 상관없이 흔하게 발병하고, 사람뿐만 아니라 포유동물, 조류 파충류, 어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동물에 감염되어 있는 Cryptosporidium이 동물 간 교차감염이 일어나기 때문으로 추측된다(Lee 등, 2021).

본 연구에서 병원체에 대한 감염 여부와 상관없이 겨울 (46.0%, 208두)에 설사병이 가장 많이 발병하여 이전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Jeong 등, 2012). 봄에 BRV와 Cryptosporidium의 감염률이 높게 나타났으며(P<0.001) (Fig. 1A, 1G), 비록 유의성은 없었지만 BCoV와 Giardia도 다른 계절에 비하여 봄에 감염률이 높게 나타났다(Fig. 1D, 1M). 이는 송아지 설사병이 봄에 많이 발병하는 계절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한 이전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였다(Jeong 등, 2012; Park 등, 2023). 그러나, 감염 위험요인 분석에서는 계절별로 감염률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낸 BRV와 Cryptosporidium 마저도 계절 변화는 감염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았다(Table 3, 5).

주령이 증가할수록 5종 병원체에 대한 감염률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4주령 이상의 설사병 송아지는 5종 병원체에 의한 감염 외의 다른 원인의 비율이 더 높았다(Table 1). 본 연구에서 BRV, BCoV, Cryptosporidium의 감염률은 나이가 증가하면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P<0.001) (Fig. 1B, 1E, 1H). 이처럼 출생 직후에 감염률이 높은 것은 송아지가 우유를 섭취하기 시작하면서 장내의 pH가 변하게 위해서는 병원체가 서식하기 좋은 장 상태로 바뀌기 전에 어미로부터 다량의 고품질 초유를 공급받아 충분한 양의 면역글로불린을 흡수하는 것이 중요하다(Barrington과 Parish, 2001). 감염 위험요인 분석에서 나이의 증가가 BRV, BCoV, Cryptosporidium의 감염 위험을 낮추는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Table 3∼6). 이는 나이가 증가하면서 송아지의 면역력이 증가하는 것과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Chase 등, 2008).

본 연구에서 전체 설사병 송아지의 발병률은 상대적으로 12∼3월생 송아지가 높고, 6∼9월생 송아지가 낮았으며(P<0.001), 1∼3월생 설사병 송아지의 발병 원인은 대부분 5종 병원체에 의한 감염이었다(Table 1). BRV의 감염률은 4월생 설사병 송아지에서 가장 높았고(P<0.001) (Fig. 1C), BCoV는 3월과 9월생 설사병 송아지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01) (Fig. 1F), Cryptosporidium의 감염률은 1월과 5월생 설사병 송아지에서 높았다(P<0.001) (Fig. 1I). 따라서, 출생시기가 BRV, BCoV, Cryptosporidium의 감염률에 영향을 주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법을 이용한 감염 위험요인 분석결과 출생시기가 BRV, BCoV, Cryptosporidium의 감염에 영향을 주는 위험 요인임을 확인하였다(Table 35). 이는 겨울에 새끼를 낳은 어미소의 초유는 질이 낮고, 추위에 의한 스트레스로 인해 송아지의 면역력이 저하되는 것이 원인으로 추측된다(Çolakoğlu 등, 2021).

본 연구에서 송아지의 나이와 출생시기는 주요 병원체에 대한 송아지의 감염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했지만, 계절적 요인은 감염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았다. 이는 나이와 출생시기에 영향을 받은 결과로써 송아지 설사병의 발병률이 계절적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송아지가 병원체에 감염되는 것은 병원체의 전파력, 송아지의 면역 상태, 사육 환경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지만 본 연구에서는 주요 병원체 5종에 대하여 계절, 나이, 출생시기에 대해서만 감염률을 조사하고 감염 위험을 분석했다는 한계가 있다. 송아지의 감염성 설사병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추가적인 조사와 위험 분석이 필요하다.

송아지의 감염성 설사병을 유발하는 주요 병원체 중 Giardia를 제외한 BRV, BCoV, Cryptosporidium, E. coli는 계절이나, 나이, 또는 출생시기에 따라 감염률의 차이를 보였다. BRV와 Cryptosporidium는 계절, 나이, 출생시기, BCoV는 나이와 출생시기, E. coli는 나이에 따라 감염률이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감염 위험 분석에서는 나이와 출생시기가 BRV, BCoV, Cryptosporidium의 감염 위험요인으로 확인되었다.

The authors thank all staff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1. Barrington GM and Parish SM. 2001. Bovine neonatal immunology. Vet Clin North Am Food Anim Pract 17:463-476.
    Pubmed CrossRef
  2. Becker J, Schüpbach-Regula G, Steiner A, Perreten V, Wüthrich D, Meylan M. 2020. Effects of the novel concept 'outdoor veal calf' on antimicrobial use, mortality and weight gain in Switzerland. Prev Vet Med Preventive 176:104907.
    Pubmed CrossRef
  3. Boileau MJ and Kapil S. 2010. Bovine coronavirus associated syndromes. Vet Clin North Am Food Anim Pract 26:123-146.
    Pubmed KoreaMed CrossRef
  4. Chase CC, Reber AJ. 2008. Neonatal immune development in the calf and its impact on vaccine response. Vet Clin North Am Food Anim Pract 24:87-104.
    Pubmed KoreaMed CrossRef
  5. Chon SK, Kim NS. 2007.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K99), Clostridium perfringens and Cryptosporidium parvum in Diarrhetic Feces of Korean Native Calves. J Vet Clin 24:588-592.
  6. Çolakoğlu H, Yazlık M, Çolakoğlu E, Kaya U, Bayramoğlu R, Kurt S, Küplülü Ş. 2021. Oxidative stress in cows according to calving season: passive calf immunity and its relationship with colostrum quality. Pol J Vet Sci 24:225-233.
  7. De la Fuente R, Luzon M, Ruiz-Santa-Quiteria J, Garcıa A, Cid D, Orden J, Garcıa S, Gomez-Bautista M. 1999. Cryptosporidium and concurrent infections with other major enterophatogens in 1 to 30-day-old diarrheic dairy calves in central Spain. Vet Parasitol 80:179-185.
    Pubmed CrossRef
  8. Foster D and Smith GW. 2009. Pathophysiology of diarrhea in calves. Vet Clin North Am Food Anim Pract 25:13-36.
    Pubmed KoreaMed CrossRef
  9. Garcıa A, Ruiz-Santa-Quiteria J, Orden J, Cid D, Sanz R, De La Fuente R. 2000. Rotavirus and concurrent infections with other enteropathogens in neonatal diarrheic dairy calves in Spain. Comp Immunol Microbiol Infect Dis 23:175-183.
    Pubmed CrossRef
  10. Gulliksen S, Jor E, Lie K, Hamnes I, Løken T, Østerås O. 2009. Enteropathogens and risk factors for diarrhea in Norwegian dairy calves. J Dairy Sci 92:5057-5066.
    Pubmed KoreaMed CrossRef
  11. Heo JH, Cho MH, Lee KC, Park MN, Cho EJ, Choi MS, Kim CH, Kang JB, Kim JS. 2008. Detection of the etiological viruses from calves with clinical diarrhea in Gyeongnam south area. Korean J Vet Serv 31:265-272.
  12. Hur TY, Jung YH, Choe CY, Cho YI, Kang SJ, Lee HJ, Ki KS, Suh GH. 2013. The dairy calf mortality: the causes of calf death during ten years at a large dairy farm in Korea. Korean J Vet Res 53:103-108.
    CrossRef
  13. Izzo M, Kirkland P, Mohler V, Perkins N, House J. 2011. Prevalence of major enteric pathogens in Australian dairy calves with diarrhoea. Aust Vet J 89:167-173.
    Pubmed KoreaMed CrossRef
  14. Jeong MH, Lee MK, Kim HS, Lee SU, Seong MH, Park DY, Hwang BW, Cho JH. 2012. Detection of etiologic agents in diarrhea fecal samples from calves in Gyeongnam province, Korea. Korean J Vet Serv 35:339-342.
    CrossRef
  15. Kang MI, Han DU, Chung Y, Chung D, Lee CY, Lee C, Cho J. 2001. Survey on Korean-native calves diseases and mortality. Korean J Vet Serv 24:223-241.
  16. Kim UH, Jung YH, Choe C, Kang SJ, Chang SS, Cho SR, Hur TY. 2015. Korean native calf mortality: the causes of calf death in a large breeding farm over a 10-year period. Korean J Vet Res 55:75-80.
    CrossRef
  17. Kirisawa R, Takeyama A, Iwai H. 2007. Detection of bovine torovirus in fecal specimens of calves with diarrhea in Japan. J Vet Med Sci 69:471-476.
    Pubmed CrossRef
  18. Klein-Jöbstl D, Drillich M. 2014. Farm characteristics and calf management practices on dairy farms with and without diarrhea: a case-control study to investigate risk factors for calf diarrhea. J Dairy Sci 97:5110-5119.
    Pubmed KoreaMed CrossRef
  19. Krogh H and Henriksen SA. 1985. Bovine cryptosporidiosis in Denmark. 2. Cryptosporidia associated with neonatal calf diarrhea. Nord Vet Med 37:42-47.
  20. Lee HK, So KM, Oh SI, Roh JH, Kim MS, Kang MG, Jung SH, Jung YH, Lee HG. 2021. Prevalence of cryptosporidiosis and giardiasis in Korean native calves in Gimje area. Korean J Vet Serv 44:85-91.
  21. Lorenz I, Trefz FM. 2021. A high plane of nutrition is associated with a lower risk for neonatal calf diarrhea on bavarian dairy farms. Animals 11:3251.
    Pubmed KoreaMed CrossRef
  22. Maddox-Hyttel C, Langkjær RB, Vigre H. 2006. Cryptosporidium and Giardia in different age groups of Danish cattle and pigs-occurrence and management associated risk factors. Vet Parasitol 141:48-59.
    Pubmed CrossRef
  23. Mauroy A, Scipioni A, Mathijs E, Saegerman C, Mast J, Bridger JC, Ziant D, Thiry E. 2009. Epidemiological study of bovine norovirus infection by RT-PCR and a VLP-based antibody ELISA. Vet Microbiol 137:243-251.
    Pubmed KoreaMed CrossRef
  24. Park T, Cho GJ, Ryu IS. 2023. Analysis of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calf diarrhea using rapid diagnosis kit. Korean J Vet Serv 46:47-58.
    CrossRef
  25. Schroeder ME, Bounpheng MA, Rodgers S, Baker RJ, Black W, Naikare H, Velayudhan B, Sneed L, Clavijo A. 2012.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calf diarrhea pathogen nucleic acid purification and detection workflow. J Vet Diagn Invest 24:945-953.
    Pubmed CrossRef
  26. Svensson C, Oltenacu P. 2006. Morbidity in 3-7-month-old dairy calves in south-western Sweden, and risk factors for diarrhoea and respiratory disease. Prev Vet Med 74:162-179.
    Pubmed CrossRef
  27. Trotz-Williams L, Peregrine A. 2008. Passive immunity in Ontario dairy calves and investigation of its association with calf management practices. J Dairy Sci 91:3840-3849.
    Pubmed CrossRef
  28. Van Schaik G, Schukken Y, Nielen M, Dijkhuizen A, Benedictus G. 2002. Probability of and risk factors for introduction of infectious diseases into Dutch SPF dairy farms: a cohort study. Prev Vet Med 54:279-289.
    Pubmed CrossRef
  29. Yook SY, Nam I, Lee MS, Han WS, Kang HJ, Lee JB. 2009. A study on the prevalence of bovine coronavirus infection for calves in Seosan-Taean Area. Korean J Vet Serv 32:209-213.

Article

Original Article

Korean J. Vet. Serv. 2023; 46(2): 147-156

Published online June 30, 2023 https://doi.org/10.7853/kjvs.2023.46.2.147

Copyright © The Korean Socitety of Veterinary Service.

신속진단키트를 활용한 경기지역 젖소 송아지 설사병 유병률과 위험요인 분석

박태묵1ㆍ조길재2ㆍ양영진1ㆍ류일선3*

한국마사회 제주목장 동물병원1,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2, 아시아동물의학연구소3

Received: May 21, 2023; Revised: May 29, 2023; Accepted: June 2, 2023

Analysis of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iarrhea in dairy calf using a rapid diagnostic kit in Gyeonggi province

Taemook Park 1, Gil Jae Cho 2, Young Jin Yang 1, Il-Sun Ryu 3*

1Equine Clinic, Jeju Stud Farm, Korea Racing Authority, Jeju 63346, Korea
2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Korea
3Asia Animal Research Institute, Hwasung 18633, Korea

Correspondence to:Il-Sun Ryu
E-mail: aami58@hanmail.net
https://orcid.org/0000-0002-4226-5635

Received: May 21, 2023; Revised: May 29, 2023; Accepted: June 2, 2023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Between February 2020 and September 2021, a total of 452 dairy calves with diarrhea were investigated across 17 dairy farms in Gyeonggi province, Korea, using a rapid diagnostic kit.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ection rates of major pathogens causing diarrhea in dairy calves, categorizing them by season, age, and birth month. Additionall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infection rate. The infection rates of the major pathogens causing infectious diarrhea in dairy calves, including bovine rotavirus, bovine coronavirus, Cryptosporidium, and E. coli, are influenced by season, age, and birth month. Bovine coronavirus and Cryptosporidium showed variations in infection rates according to season, age, and birth month, while bovine coronavirus was influenced by age and birth month, and E. coli showed variations in infection rates based on age. Furthermore, in the analysis of risk factors influencing the infection rates of these pathogens, age and birth month were identified as risk factors for bovine rotavirus, bovine coronavirus, and Cryptosporidium.

Keywords: Dairy calf, Diarrhe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apid diagnostic kit, Risk factor

서 론

젖소의 개량, 시설의 현대화, 영양제 및 사료의 개선, 비유주기별 영양 공급의 차별화 등 젖소목장의 사양관리 기법에 많은 발전이 있었지만, 설사병으로 인한 송아지의 폐사율은 여전히 높다(Hur 등, 2013). 이는 송아지 설사병이 환경적 요인을 포함한 비감염성 요인뿐만 아니라 병원성 미생물 같은 다양한 감염성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하기 때문이다(Kirisawa 등, 2007; Mauroy 등, 2009).

송아지 설사병의 가장 대표적인 원인은 Bovine rotavirus (BVD), bovine coronavirus (BCoV), Cryptosporidium parvum,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E. coli), Giardia 등의 병원체에 의한 감염이지만(Krogh와 Henriksen, 1985; De la Fuente 등, 1999; Foster와 Smith, 2009), 송아지의 영양 상태, 수유 능력, 모우의 건강상태, 초유의 immunoglobulin G (IgG) 농도뿐만 아니라 위생 환경도 송아지의 설사병 발병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Svensson 등, 2006; Trotz-Williams 등, 2008).

목장의 규모가 커질수록 밀집 사육으로 인한 질병의 전파가 쉬워지며, 다른 가축과 함께 사육하거나, 호흡기 질병에 이환된 경험이 있는 경우 설사병의 발병 위험이 증가한다(Klein-Jöbstl 등, 2014). 또한, 외부에서 송아지를 신규로 도입하는 시기에는 새로운 감염성 병원체가 목장으로 유입되어 설사병 발생 위험이 증가하기도 한다(Van Schaik 등, 2002).

송아지의 대표적인 폐사 원인 중 하나인 설사병은 출생 직후 부터 2개월령 사이에 주로 발병한다(Kang 등, 2001; Hur 등, 2013; Kim 등, 2015; Lorenz 등, 2021). 마찬가지로, 폐사율도 출생 후 첫 1∼2주에 최대치에 이르렀다가 이후 낮아지기는 하지만, 이유 전 폐사하는 송아지의 50% 이상이 설사병에 기인한다(Garcıa 등, 2000). 계절적 요인도 송아지의 설사병 발병에 영향을 주는데, 발병률은 겨울에 가장 높지만 7월에도 높은 발병률과 폐사율을 나타낸다(Yook 등, 2009; Jeong 등, 2012; Park 등, 2023). 연령과 계절이라는 위험요인 외에 지역과 출생시기도 병원체의 감염 위험성에 영향을 준다(Park 등, 2023).

설사병은 장에서의 흡수와 분비 조절의 불균형, 대장의 운동 및 감각 기능의 변화로 인해 분변내 수분의 양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Heo 등, 2008), 설사병에 이환된 송아지는 발열, 식욕 저하, 기립 불량 등의 증상을 나타내며, 중증의 경우 탈수, 영양∙대사 장애를 동반하며, 부정맥이나 저혈압으로 인한 순환장애나 저체온증으로 폐사하기도 한다(Schroeder 등, 2012).

송아지 설사병은 다양한 발병 원인에도 불구하고, 임상 증상은 거의 유사하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신속한 진단은 발병 원인을 확인하는 것과 더불어 수의사와 생산농가가 적기에 알맞은 치료를 시작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또한, 설사병 치료를 빨리 시작할수록 좋은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설사병 초기에 적절한 치료제를 투여하는 것과 예방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설사병의 주요 병원체인 BRV, BCoV, Cryptosporidium, E. coli, Giardia에 대하여 신속진단 키트를 이용한 젖소 송아지 설사병의 감염 실태와 병원체의 감염 위험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조사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대상동물

2020년 2월부터 2021년 9월까지 경기도의 3개 지역에 위치한 17개 젖소목장에서 설사 증상을 보이는 12주령 이하의 송아지 452두(안성 2개 농장 11두, 여주 2개 농장 91두 및 화성 13개 농장 350두)를 대상으로 일회용 장갑을 착용 후 직장에 자극을 주어 분변을 채취하였다. 분변 시료를 냉장 상태를 유지하며 실험실로 운반하여 송아지 설사병 항원진단 5종(BRV, BCoV, Cryptosporidium, E. coli, Giardia) 진단키트(Rapid BoviD-5 Ag, Bionote, Korea)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검사하였다.

통계 분석

통계분석은 SPSS 프로그램 version 26.0 (IBM Corp., Armonk, NY, USA)을 이용하였다. 진단키트를 이용한 설사병 송아지의 분변 검사에서 양성인 군을 대상으로 계절, 나이 및 출생시기별로 BRV, BCoV, Cryptosporidum, E. coli, Giardia에 대한 진단 결과를 Chi-square test 또는 Fisher’s exact test를 사용하여 단변량 분석을 시행하였다. 송아지 설사병에 대한 병원체의 감염 위험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단변량 분석에서 P값이 0.1 이하였던 변수를 포함시켜 다중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으로 다변량 분석하여 최종 P값이 0.05 미만인 변수를 유의한 위험요인으로 판단하였다.

결 과

송아지 설사병의 일반적 특성

경기도내 17개 젖소목장의 설사병 송아지 452두를 대상으로 계절, 나이 및 출생시기로 구분하여 설사병의 발병률과 BRV, BCoV, Cryptosporidium, E. coli, Giardia에 대한 감염률을 조사하였다(Table 1).

Table 1 . Prevalence of enteric pathogen infections detected in fecal samples from dairy calves with diarrhea, stratified by season, age, and birth month in Gyeonggi province.

Total n (%)Positive n (%)Negative n (%)
Season*Spring179 (39.6)166 (92.7)13 (7.3)
Summer15 (3.3)11 (73.3)4 (26.7)
Autumn50 (11.1)35 (70.0)15 (30.0)
Winter208 (46.0)165 (79.3)43 (20.7)
Subtotal452 (100)377 (83.4)75 (16.6)
Age∼2 weeks221 (48.9)204 (92.3)17 (7.7)
2∼4 weeks170 (37.6)148 (87.1)22 (12.9)
4∼6 weeks42 (9.3)17 (40.5)25 (59.5)
6∼8 weeks15 (3.3)7 (46.7)8 (53.3)
8∼ weeks4 (0.9)1 (25.0)3 (75.0)
Subtotal452 (100)377 (83.4)75 (16.6)
Birth monthJanuary51 (11.3)50 (98.0)1 (2.0)
February60 (13.3)56 (93.3)4 (6.7)
March103 (22.8)96 (93.2)7 (6.8)
April32 (7.1)28 (87.5)4 (12.5)
May17 (3.8)15 (88.2)2 (11.8)
June5 (1.1)5 (100)0 (0)
July2 (0.4)0 (0)2 (100)
August8 (1.8)6 (75.0)2 (25.0)
September3 (0.7)2 (66.7)1 (33.3)
October29 (6.4)18 (62.1)11 (37.9)
November37 (8.2)19 (51.4)18 (48.6)
December105 (23.2)82 (78.1)23 (21.9)
Subtotal452 (100)377 (83.4)75 (16.6)

*Spring, January~May; Summer, June∼August; Autumn, September∼November; Winter, December∼February..



설사병 송아지의 발병률을 계절별로 구분했을때는 겨울(46.0%)에 가장 많았고, 봄(39.6%), 가을(11.1%), 여름(3.3%) 순으로 많았다. 나이별로는 2주령 이하가 48.9% (221두), 2∼4주령 사이가 37.6% (170두)로써 전체 설사병 송아지의 86.5% (391두)를 4주령 이하가 차지하였다. 또한, 4∼6주령은 9.3% (42두), 6∼8주령은 3.3% (15두), 8주령 이상은 0.9% (4두)로 나이가 증가할수록 송아지의 설사병 발병률은 감소하였다. 태어난 시기에 따라서는 3월과 12월생 설사병 송아지의 비율이 22.8% (103두)와 23.2% (105두)로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6월부터 9월 사이에 태어난 설사병 송아지는 전체의 4% (18두)로 낮았다.

설사병 송아지의 5종 병원체에 대한 감염률 조사에서는 83.4% (377두)가 양성, 16.6% (75두)는 음성이었다. 계절별으로는 봄(166/179두)에 양성률이 가장 높았으며, 겨울(165/208두), 여름(11/15두), 가을(35/50두) 순으로 낮아졌다. 나이별로는 2주령 이하 설사병 송아지(92.3%, 204/221두)의 양성률이 가장 높았으며, 4주령 이상의 설사병 송아지는 5종 병원체에 대한 양성률보다 음성률이 높았다. 태어난 시기별로는 1∼3월생 송아지의 양성률이 98.0%, 93.3%, 93.2%로 다른 시기에 태어난 송아지보다 높았다.

5종 병원체에 양성인 설사병 송아지 377두 중 48.8% (184두)는 단일 병원체에 감염된 상태였으며, 51.2% (193두)는 2종 이상의 병원체에 혼합 감염되어 있었다(Table 2). 단순 감염된 설사병 송아지의 병인체는 Cryptosporidium (118두), BRV (35두), Giardia (16두), BCoV (14두), E. coli (1두) 순으로 많았다. 2종의 병원체에 혼합 감염된 설사병 송아지는 33.4% (126두) 였으며, 3종과 4종의 병원체에 혼합 감염된 설사병 송아지도 16.4% (62두)와 1.3% (5두)였다. 혼합 감염된 설사병 송아지의 경우 BRV와 Cryptosporidium에 동시에 감염되어 있는 송아지가 13.5% (51두)로 가장 많았다.

Table 2 . The detection rates of five pathogens in dairy calves with diarrhea using rapid diagnostic kit in Gyeonggi province.

BRV*BCoVCryptoE. coli§Giardian (%)
Simple infection+----35 (9.3)
-+---14 (3.7)
--+--118 (31.3)
---+-1 (0.3)
----+16 (4.2)
Complex infection+++-+5 (1.3)
+++--23 (6.1)
++--+3 (0.8)
++---13 (3.4)
+-+-+30 (8.0)
+-+--51 (13.5)
+---+9 (2.4)
-++-+6 (1.6)
-++--26 (6.9)
-+--+2 (0.5)
--+-+25 (6.6)

*BRV, bovine rotavirus; BCoV, bovine coronavirus; Crypto, Cryptosporidium; §E. coli, Escherichia coli..



송아지 설사병 5종 병원체의 감염률

BRV 감염에 의한 송아지 설사병은 계절, 나이, 출생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계절적으로는 봄(49.2%)에 BRV의 감염률이 가장 높았으며, 여름(33.3%), 겨울(29.8%), 가을(28.0%) 순으로 낮아졌다(P<0.001) (Fig. 1A). 나이별로는 2주령 이하의 감염률이 53.4%로 가장 높았으며, 6∼8주령 시기에 일시적으로 증가하기는 하였지만, 나이가 증가할수록 감염률은 감소하였다(P<0.001) (Fig. 1B). 출생시기에 따라서도 감염률의 차이를 보였는데, 3월과 4월생 설사병 송아지의 감염률이 54.4%와 59.4%로 다른 시기에 태어난 송아지보다 높았다(P<0.001) (Fig. 1C).

Figure 1. The detection rates of five pathogens in dairy calves with diarrhea by season (A∼E), age (F∼J), and birth month (K∼O) in Gyeonggi province. *** and * indicate P<0.001 and P<0.05 with the chi-square test.

설사병 송아지의 BCoV 감염률은 나이와 출생시기에 따라 감염률의 차이를 보였다. 나이별로는 2주령 이하 설사병 송아지의 감염률이 27.6%로 가장 높았으며, 나이가 증가할수록 감염률이 감소하였다(P<0.001) (Fig. 1E). 출생시기에 따라서는 3월과 9월생 송아지의 감염률이 34.9%와 33.3%로 높았으며, 4월생과 5월생 송아지의 감염률은 6.3%와 5.9%로 낮았다(P<0.001) (Fig. 1F). 그러나, 계절(P=0.088)에 따른 설사병 송아지의 BCoV 감염률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Fig. 1D).

설사병 송아지의 Cryptosporidium 감염률은 계절, 나이, 출생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계절별로는 봄과 겨울의 감염률이 70.4%와 63.9%로 여름(46.7%)과 가을(36.0%)보다 높았다(P<0.001) (Fig. 1G). 나이에 따라서는 출생 직후부터 감염률이 증가하여 2∼4주령 시기에 74.1%로 가장 높았으며, 이후 감소하였다(P<0.001) (Fig. 1H). 출생시기별로는 1월과 5월생 설사병 송아지의 감염률이 84.3%와 82.4%로 다른 시기에 태어난 설사병 송아지 보다 감염률이 높았다(P<0.001) (Fig. 1I).

설사병 송아지의 E. coli 감염률은 6주령에(2.3%) 다른 주령의 송아지보다 높게 나타나 나이에 따른 차이를 보였지만(P<0.05) (Fig. 1K), 계절, 출생시기에 따른 감염률의 차이는 없었고(Fig. 1J, 1L), Giardia의 감염률은 계절, 나이, 출생시기 세가지 요인 모두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Fig. 1M∼1O).

병원체별 감염 위험요인 분석

병원체의 감염률에 대한 Chi-square test에서 P값이 0.1 이하였던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BRV, BCoV, Cryptosporidium, E. coli의 감염 위험을 분석하였다(Table 36).

Table 3 . Predictors of bovine rotavirus infection in dairy calves with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redictorEstimateSEPOdds ratio95% CI
Season*Spring1(reference)
Summer1.6341.1790.5605.1250.50778∼51.702
Autumn0.6400.58350.5441.8970.22067∼16.315
Winter0.3440.60620.1661.4110.46365∼4.293
Age∼2 weeks1(reference)
2∼4 weeksa−1.1580.235<0.0010.3140.1983∼0.498
4∼6 weeksa−1.8710.521<0.0010.1540.0555∼0.427
6∼8 weeks−1.0250.7010.1430.3590.0909∼1.416
8∼ weeks−16.5411,144.1370.9886.55e-80∼Inf§
Birth monthApril1(reference)
Januaryc−1.1670.4930.0180.3110.1185∼0.818
February−0.8250.4710.080.4380.174∼1.103
March−0.1910.4350.6610.8260.3523∼1.937
May−1.180.680.0830.3070.081∼1.166
June−0.5551.0250.5880.5740.077∼4.279
July−16.9071,622.7750.9924.54e-80∼inf§
August−0.9530.8470.2610.3860.0733∼2.031
September−16.0191,371.4290.9911.10e-70∼inf§
Octoberc−1.2720.5850.030.280.089∼0.882
Novemberc−1.4090.6210.0230.2450.0724∼0.826
December−0.8140.450.070.4430.1834∼1.069

*Spring, January~May; Summer, June∼August; Autumn, September∼November; Winter, December∼February; SE, standard error; CI, Confidence level; §inf, infinite..

a and c indicate P<0.001 and P<0.05 wit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RV 감염률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낸 계절, 나이, 태어난 시기에 대한 위험요인 분석을 하였다. 나이별로는 2주령 이하의 송아지가 BRV 감염 위험성이 가장 높았으며, 주령이 증가할수록 위험성이 낮아져 2∼4주령 송아지의 감염 위험성은 2주령 이하의 송아지에 비하여 68.5% [P<0.001, Odds ratio (OR): 0.314, 95% Confidence level (Cl): 0.1983∼0.498] 감소하였으며, 4∼6주령 송아지는 84.6% (P<0.001, OR: 0.154, 95% CI: 0.0555∼0.427) 감소하였다(Table 3). 출생시기에 따라서는 4월생 송아지의 감염 위험성이 다른 시기에 태어난 송아지보다 높았으며, 4월생 송아지에 비하여 1월생 송아지는 68.8% (P=0.018, OR: 0.311, 95% CI: 0.1185∼0.818), 10월생 송아지는 71.9% (P=0.03, OR: 0.28, 95% CI: 0.089∼0.882), 11월생 송아지는 75.5% (P=0.023, OR: 0.245, 95% CI: 0.0724∼0.826) 감염 위험성이 감소하였다(Table 3). 그러나, 계절적 변화는 송아지의 BRV 감염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았다(Table 3).

송아지가 BCoV에 감염되어 설사병을 유발할 위험성은 나이별로는 2주령 이하의 송아지가 가장 높았으며, 2주령 이하의 송아지에 비하여 감염 위험성이 2∼4주령 송아지는 61.6% (P< 0.001, OR: 0.3832, 95% CI: 0.2206∼0.666), 4∼6주령 송아지는 87.5% (P=0.007, OR: 0.1244, 95% CI: 0.0272∼0.57) 감소하였다(Table 4). 출생시기별로는 4월생 송아지의 감염 위험성이 가장 낮았으며, 4월생 송아지의 감염 위험성에 비하여 1월생 송아지는 4.2배(P=0.04, OR: 5.262, 95% CI: 01.0785∼ 25.673), 2월생 송아지는 6.3배(P=0.011, OR: 7.3947, 95% CI: 1.5717∼34.79), 3월생 송아지는 8배(P=0.004, OR: 9.008, 95% CI: 2.0118∼40.332), 9월생 송아지는 20배(P=0.039, OR: 21.28, 95% CI: 1.1683∼387.662) 높았다(Table 4).

Table 4 . Predictors of bovine coronavirus infection in dairy calves with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redictorEstimateSE*POdds ratio95% CI
Age∼2 weeks1(reference)
2∼4 weeksa−0.95910.282<0.0010.38320.2206∼0.666
4∼6 weeksb−2.08390.7770.0070.12440.0272∼0.57b
6∼8 weeks−16.4462996.4910.9877.20e-80∼inf
8∼ weeks−15.50141,937.7680.9941.85e-70∼inf
Birth monthApril1(reference)
Januaryc1.66050.8090.045.2621.0785∼25.673
Februaryc2.00080.790.0117.39471.5717∼34.79
Marchb2.19810.7650.0049.00782.0118∼40.332
May0.06941.2730.9571.07190.0885∼12.983
June1.59191.3580.2414.91320.3432∼70.339
July−14.12962,438.9820.9957.30e-70∼inf
August0.88871.3130.4982.43210.1855∼31.887
Septemberc3.05781.4810.03921.281.1683∼387.662
October1.1320.9220.2193.10190.5093∼18.893
November1.54940.9350.0974.70850.7541∼29.401
December1.16280.8050.1493.19890.6605∼15.493

*SE, standard error; CI, Confidence level; inf, infinite..

a, b and c indicate P<0.001, P<0.01 and P<0.05 wit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ryptosporidium의 감염 위험성은 출생 직후부터 4주령 까지는 증가하다가 나이가 증가하면서 다시 감소하였다. 2주령 이하의 송아지에 비하여 2∼4주령 송아지의 감염 위험성은 1.6배(P=0.043, OR: 1.606, 95% CI: 0.9869∼2.613) 높았고, 4∼6주령 송아지는 75.8% (P<0.001, OR: 0.242, 95% CI: 0.1048∼0.559) 낮았다(Table 5). 또한, 출생시기에 따라서도 감염 위험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1월생 송아지는 다른 시기에 출생한 송아지보다 감염 위험성이 높았으며, 1월생 송아지의 감염 위험성에 비하여 4월생 송아지는 70.0% (P=0.025, OR: 0.3, 95% CI: 0.1047∼0.86), 6월생 송아지는 89.2% (P=0.026, OR: 0.1078, 95% CI: 0.0152∼0.765), 8월생 송아지는 93.0% (P=0.003, OR: 0.069, 95% CI: 0.0115∼0.413), 10월생 송아지는 87.0% (P<0.001, OR: 0.1299, 95% CI: 0.0422∼0.4), 11월생 송아지는 87.5% (P<0.001, OR: 0.1242, 95% CI: 0.0415∼0.372), 12월생 송아지는 60.4% (P=0.04, OR: 0.3954, 95% CI: 0.1628∼0.96) 감소하였다(Table 5).

Table 5 . Predictors of Cryptosporidium infection in dairy calves with diarrhea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redictorEstimateSEPOdds ratio95% CI
Season*Spring1(reference)
Summer−14.801689.3300.9833.73e-70.00000∼Inf§
Autumn0.5660.9790.5631.76130.25858∼11.997
Winter0.3640.5860.5341.43980.45624∼4.543
Age∼2 weeks1(reference)
2∼4 weeksc0.4740.2480.0431.6060.9869∼2.613
4∼6 weeksa−1.4190.427<0.0010.2420.1048∼0.559
6∼8 weeks−0.930.6680.1640.39460.1066∼1.461
8∼ weeks−17.175633.1930.9783.48e-80∼Inf
Birth monthJanuary1(reference)
February−0.9230.4790.0540.39730.1554∼1.016
March−0.6330.4480.1580.53120.2206∼1.279
Aprilc−1.2040.5370.0250.30.1047∼0.86
May0.971.1070.3812.63840.3013∼23.1
Junec−2.22710.0260.10780.0152∼0.765
July−16.665992.8210.9875.79e-80∼Inf§
Augustb−2.6730.9130.0030.0690.0115∼0.413
September−0.5761.420.6850.56230.0348∼9.086
Octobera−2.0410.573<0.0010.12990.0422∼0.4
Novembera−2.0860.559<0.0010.12420.0415∼0.372
Decemberc−0.9280.4530.040.39540.1628∼0.96

*Spring, January∼May; Summer, June∼August; Autumn, September∼November; Winter, December∼February; SE, standard error; CI, Confidence level; §inf, infinite..

a, b and c indicate P<0.001, P<0.01 and P<0.05 wit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설사병 송아지의 E. coli 감염률은 나이에 따라 차이를 보이기는 했지만(P<0.05) (Fig. 1K), 감염 위험성 분석에서는 나이가 E. coli의 감염 위험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Table 6).

Table 6 . Predictors of E. coli infection in dairy calves with diarrhea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redictorEstimateSE*POdds ratio95% CI
Age4∼6 weeks1(reference)
∼2 weeks−19.855,345.190.9970.239e-90.00000∼inf
2∼4 weeks−19.856,094.460.9970.239e-90.00000∼inf
6∼8 weeks−19.8520,517.000.9990.239e-90.00000∼inf
8∼ weeks−19.8539,731.001.0000.239e-90.00000∼inf

*SE, standard error; CI, Confidence level; inf, infinite..


고 찰

송아지 설사병은 높은 폐사율 뿐만 아니라, 환축의 관리를 위한 노동력의 소실, 회복 후의 성장 지연과 다른 질병의 발병 위험성을 높이기 때문에 축산농가의 경영에 큰 위협이 된다(Kang 등, 2001; Kim 등, 2015; Becker 등, 2020; Lorenz 등, 2021). 설사병은 사육환경, 영양·면역 상태 등의 비감염성 요인과 바이러스, 세균, 원충 같은 다양한 감염성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한다(Chon 등, 2007; Boileau와 Kapil, 2010). 그 외에 태어난 계절, 초유의 IgG 함유량과 섭취량, 감염원이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는 습하고 서늘한 환경, 우사의 청결 상태 등 다양한 요인들이 송아지 설사병의 발병에 영향을 준다(Maddox-Hyttel 등, 2006; Gulliksen 등, 2009).

국내의 송아지 설사병 연구는 주로 지역별로 병원체를 분리하고 감염률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Jeong 등, 2012), 병원체의 감염 위험요인을 분석한 연구는 드물다(Park 등, 2023). 본 연구에서는 2020년부터 2월부터 2021년 9월까지 20개월간 경기도의 17개 젖소목장에서 설사병 송아지 452두를 대상으로 소화기 병원체에 감염된 설사병 송아지의 감염률과 감염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들을 조사하였다.

BRV, BCoV, Cryptosporidium, E. coli. Giardia는 전세계적으로 어린 송아지의 급성 설사를 유발하는 가장 대표적인 장내병원체이다(Krogh와 Henriksen, 1985; De la Fuente 등, 1999; Foster와 Smith, 2009). 본 연구에서 설사병 송아지 452두 중 377 (83.4%)두는 BRV, BCoV, Cryptosporidium, E. coli, Giardia 항원 검사에 양성이었으며 75 (16.6%)두는 음성이었다. 이는 한우 설사병 송아지를 대상으로 한 이전의 연구보다 높은 수치이다(Park 등, 2023). 이러한 병원체들은 단독 또는 혼합 감염의 형태로 설사병을 유발하는데, 2종 이상의 병원체에 동시에 감염된 송아지는 단일 병원체에 감염된 송아지 보다 설사병 발병률이 6배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Boileau와 Kapil, 2010). 본 연구에서도 단일 병원체에 감염된 비율보다 2종 이상의 병원체에 혼합 감염된 비율이 높아 이전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단독 감염되거나 혼합 감염된 설사병 송아지 모두 Cryptosporidium에 감염된 경우가 가장 많았다(Kang 등, 2001; Izzo 등, 2011; Jeong 등, 2012). 이는 단일 병원체에 의한 감염보다 혼합 감염된 경우가 많았던 한우 송아지 설사병 연구와는 반대의 결과였지만, 한우 설사병 송아지 연구에서 우세한 병원체가 Cryptosporidium인 것은 일치하였다(Park 등, 2023). 이는 반추동물에서 사육방법에 상관없이 흔하게 발병하고, 사람뿐만 아니라 포유동물, 조류 파충류, 어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동물에 감염되어 있는 Cryptosporidium이 동물 간 교차감염이 일어나기 때문으로 추측된다(Lee 등, 2021).

본 연구에서 병원체에 대한 감염 여부와 상관없이 겨울 (46.0%, 208두)에 설사병이 가장 많이 발병하여 이전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Jeong 등, 2012). 봄에 BRV와 Cryptosporidium의 감염률이 높게 나타났으며(P<0.001) (Fig. 1A, 1G), 비록 유의성은 없었지만 BCoV와 Giardia도 다른 계절에 비하여 봄에 감염률이 높게 나타났다(Fig. 1D, 1M). 이는 송아지 설사병이 봄에 많이 발병하는 계절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한 이전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였다(Jeong 등, 2012; Park 등, 2023). 그러나, 감염 위험요인 분석에서는 계절별로 감염률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낸 BRV와 Cryptosporidium 마저도 계절 변화는 감염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았다(Table 3, 5).

주령이 증가할수록 5종 병원체에 대한 감염률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4주령 이상의 설사병 송아지는 5종 병원체에 의한 감염 외의 다른 원인의 비율이 더 높았다(Table 1). 본 연구에서 BRV, BCoV, Cryptosporidium의 감염률은 나이가 증가하면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P<0.001) (Fig. 1B, 1E, 1H). 이처럼 출생 직후에 감염률이 높은 것은 송아지가 우유를 섭취하기 시작하면서 장내의 pH가 변하게 위해서는 병원체가 서식하기 좋은 장 상태로 바뀌기 전에 어미로부터 다량의 고품질 초유를 공급받아 충분한 양의 면역글로불린을 흡수하는 것이 중요하다(Barrington과 Parish, 2001). 감염 위험요인 분석에서 나이의 증가가 BRV, BCoV, Cryptosporidium의 감염 위험을 낮추는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Table 3∼6). 이는 나이가 증가하면서 송아지의 면역력이 증가하는 것과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Chase 등, 2008).

본 연구에서 전체 설사병 송아지의 발병률은 상대적으로 12∼3월생 송아지가 높고, 6∼9월생 송아지가 낮았으며(P<0.001), 1∼3월생 설사병 송아지의 발병 원인은 대부분 5종 병원체에 의한 감염이었다(Table 1). BRV의 감염률은 4월생 설사병 송아지에서 가장 높았고(P<0.001) (Fig. 1C), BCoV는 3월과 9월생 설사병 송아지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01) (Fig. 1F), Cryptosporidium의 감염률은 1월과 5월생 설사병 송아지에서 높았다(P<0.001) (Fig. 1I). 따라서, 출생시기가 BRV, BCoV, Cryptosporidium의 감염률에 영향을 주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법을 이용한 감염 위험요인 분석결과 출생시기가 BRV, BCoV, Cryptosporidium의 감염에 영향을 주는 위험 요인임을 확인하였다(Table 35). 이는 겨울에 새끼를 낳은 어미소의 초유는 질이 낮고, 추위에 의한 스트레스로 인해 송아지의 면역력이 저하되는 것이 원인으로 추측된다(Çolakoğlu 등, 2021).

본 연구에서 송아지의 나이와 출생시기는 주요 병원체에 대한 송아지의 감염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했지만, 계절적 요인은 감염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았다. 이는 나이와 출생시기에 영향을 받은 결과로써 송아지 설사병의 발병률이 계절적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송아지가 병원체에 감염되는 것은 병원체의 전파력, 송아지의 면역 상태, 사육 환경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지만 본 연구에서는 주요 병원체 5종에 대하여 계절, 나이, 출생시기에 대해서만 감염률을 조사하고 감염 위험을 분석했다는 한계가 있다. 송아지의 감염성 설사병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추가적인 조사와 위험 분석이 필요하다.

결 론

송아지의 감염성 설사병을 유발하는 주요 병원체 중 Giardia를 제외한 BRV, BCoV, Cryptosporidium, E. coli는 계절이나, 나이, 또는 출생시기에 따라 감염률의 차이를 보였다. BRV와 Cryptosporidium는 계절, 나이, 출생시기, BCoV는 나이와 출생시기, E. coli는 나이에 따라 감염률이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감염 위험 분석에서는 나이와 출생시기가 BRV, BCoV, Cryptosporidium의 감염 위험요인으로 확인되었다.

ACKNOWLEDGEMENTS

The authors thank all staff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Fig 1.

Figure 1.The detection rates of five pathogens in dairy calves with diarrhea by season (A∼E), age (F∼J), and birth month (K∼O) in Gyeonggi province. *** and * indicate P<0.001 and P<0.05 with the chi-square test.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Service 2023; 46: 147-156https://doi.org/10.7853/kjvs.2023.46.2.147

Table 1 . Prevalence of enteric pathogen infections detected in fecal samples from dairy calves with diarrhea, stratified by season, age, and birth month in Gyeonggi province.

Total n (%)Positive n (%)Negative n (%)
Season*Spring179 (39.6)166 (92.7)13 (7.3)
Summer15 (3.3)11 (73.3)4 (26.7)
Autumn50 (11.1)35 (70.0)15 (30.0)
Winter208 (46.0)165 (79.3)43 (20.7)
Subtotal452 (100)377 (83.4)75 (16.6)
Age∼2 weeks221 (48.9)204 (92.3)17 (7.7)
2∼4 weeks170 (37.6)148 (87.1)22 (12.9)
4∼6 weeks42 (9.3)17 (40.5)25 (59.5)
6∼8 weeks15 (3.3)7 (46.7)8 (53.3)
8∼ weeks4 (0.9)1 (25.0)3 (75.0)
Subtotal452 (100)377 (83.4)75 (16.6)
Birth monthJanuary51 (11.3)50 (98.0)1 (2.0)
February60 (13.3)56 (93.3)4 (6.7)
March103 (22.8)96 (93.2)7 (6.8)
April32 (7.1)28 (87.5)4 (12.5)
May17 (3.8)15 (88.2)2 (11.8)
June5 (1.1)5 (100)0 (0)
July2 (0.4)0 (0)2 (100)
August8 (1.8)6 (75.0)2 (25.0)
September3 (0.7)2 (66.7)1 (33.3)
October29 (6.4)18 (62.1)11 (37.9)
November37 (8.2)19 (51.4)18 (48.6)
December105 (23.2)82 (78.1)23 (21.9)
Subtotal452 (100)377 (83.4)75 (16.6)

*Spring, January~May; Summer, June∼August; Autumn, September∼November; Winter, December∼February..


Table 2 . The detection rates of five pathogens in dairy calves with diarrhea using rapid diagnostic kit in Gyeonggi province.

BRV*BCoVCryptoE. coli§Giardian (%)
Simple infection+----35 (9.3)
-+---14 (3.7)
--+--118 (31.3)
---+-1 (0.3)
----+16 (4.2)
Complex infection+++-+5 (1.3)
+++--23 (6.1)
++--+3 (0.8)
++---13 (3.4)
+-+-+30 (8.0)
+-+--51 (13.5)
+---+9 (2.4)
-++-+6 (1.6)
-++--26 (6.9)
-+--+2 (0.5)
--+-+25 (6.6)

*BRV, bovine rotavirus; BCoV, bovine coronavirus; Crypto, Cryptosporidium; §E. coli, Escherichia coli..


Table 3 . Predictors of bovine rotavirus infection in dairy calves with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redictorEstimateSEPOdds ratio95% CI
Season*Spring1(reference)
Summer1.6341.1790.5605.1250.50778∼51.702
Autumn0.6400.58350.5441.8970.22067∼16.315
Winter0.3440.60620.1661.4110.46365∼4.293
Age∼2 weeks1(reference)
2∼4 weeksa−1.1580.235<0.0010.3140.1983∼0.498
4∼6 weeksa−1.8710.521<0.0010.1540.0555∼0.427
6∼8 weeks−1.0250.7010.1430.3590.0909∼1.416
8∼ weeks−16.5411,144.1370.9886.55e-80∼Inf§
Birth monthApril1(reference)
Januaryc−1.1670.4930.0180.3110.1185∼0.818
February−0.8250.4710.080.4380.174∼1.103
March−0.1910.4350.6610.8260.3523∼1.937
May−1.180.680.0830.3070.081∼1.166
June−0.5551.0250.5880.5740.077∼4.279
July−16.9071,622.7750.9924.54e-80∼inf§
August−0.9530.8470.2610.3860.0733∼2.031
September−16.0191,371.4290.9911.10e-70∼inf§
Octoberc−1.2720.5850.030.280.089∼0.882
Novemberc−1.4090.6210.0230.2450.0724∼0.826
December−0.8140.450.070.4430.1834∼1.069

*Spring, January~May; Summer, June∼August; Autumn, September∼November; Winter, December∼February; SE, standard error; CI, Confidence level; §inf, infinite..

a and c indicate P<0.001 and P<0.05 wit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able 4 . Predictors of bovine coronavirus infection in dairy calves with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redictorEstimateSE*POdds ratio95% CI
Age∼2 weeks1(reference)
2∼4 weeksa−0.95910.282<0.0010.38320.2206∼0.666
4∼6 weeksb−2.08390.7770.0070.12440.0272∼0.57b
6∼8 weeks−16.4462996.4910.9877.20e-80∼inf
8∼ weeks−15.50141,937.7680.9941.85e-70∼inf
Birth monthApril1(reference)
Januaryc1.66050.8090.045.2621.0785∼25.673
Februaryc2.00080.790.0117.39471.5717∼34.79
Marchb2.19810.7650.0049.00782.0118∼40.332
May0.06941.2730.9571.07190.0885∼12.983
June1.59191.3580.2414.91320.3432∼70.339
July−14.12962,438.9820.9957.30e-70∼inf
August0.88871.3130.4982.43210.1855∼31.887
Septemberc3.05781.4810.03921.281.1683∼387.662
October1.1320.9220.2193.10190.5093∼18.893
November1.54940.9350.0974.70850.7541∼29.401
December1.16280.8050.1493.19890.6605∼15.493

*SE, standard error; CI, Confidence level; inf, infinite..

a, b and c indicate P<0.001, P<0.01 and P<0.05 wit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able 5 . Predictors of Cryptosporidium infection in dairy calves with diarrhea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redictorEstimateSEPOdds ratio95% CI
Season*Spring1(reference)
Summer−14.801689.3300.9833.73e-70.00000∼Inf§
Autumn0.5660.9790.5631.76130.25858∼11.997
Winter0.3640.5860.5341.43980.45624∼4.543
Age∼2 weeks1(reference)
2∼4 weeksc0.4740.2480.0431.6060.9869∼2.613
4∼6 weeksa−1.4190.427<0.0010.2420.1048∼0.559
6∼8 weeks−0.930.6680.1640.39460.1066∼1.461
8∼ weeks−17.175633.1930.9783.48e-80∼Inf
Birth monthJanuary1(reference)
February−0.9230.4790.0540.39730.1554∼1.016
March−0.6330.4480.1580.53120.2206∼1.279
Aprilc−1.2040.5370.0250.30.1047∼0.86
May0.971.1070.3812.63840.3013∼23.1
Junec−2.22710.0260.10780.0152∼0.765
July−16.665992.8210.9875.79e-80∼Inf§
Augustb−2.6730.9130.0030.0690.0115∼0.413
September−0.5761.420.6850.56230.0348∼9.086
Octobera−2.0410.573<0.0010.12990.0422∼0.4
Novembera−2.0860.559<0.0010.12420.0415∼0.372
Decemberc−0.9280.4530.040.39540.1628∼0.96

*Spring, January∼May; Summer, June∼August; Autumn, September∼November; Winter, December∼February; SE, standard error; CI, Confidence level; §inf, infinite..

a, b and c indicate P<0.001, P<0.01 and P<0.05 wit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able 6 . Predictors of E. coli infection in dairy calves with diarrhea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redictorEstimateSE*POdds ratio95% CI
Age4∼6 weeks1(reference)
∼2 weeks−19.855,345.190.9970.239e-90.00000∼inf
2∼4 weeks−19.856,094.460.9970.239e-90.00000∼inf
6∼8 weeks−19.8520,517.000.9990.239e-90.00000∼inf
8∼ weeks−19.8539,731.001.0000.239e-90.00000∼inf

*SE, standard error; CI, Confidence level; inf, infinite..


References

  1. Barrington GM and Parish SM. 2001. Bovine neonatal immunology. Vet Clin North Am Food Anim Pract 17:463-476.
    Pubmed CrossRef
  2. Becker J, Schüpbach-Regula G, Steiner A, Perreten V, Wüthrich D, Meylan M. 2020. Effects of the novel concept 'outdoor veal calf' on antimicrobial use, mortality and weight gain in Switzerland. Prev Vet Med Preventive 176:104907.
    Pubmed CrossRef
  3. Boileau MJ and Kapil S. 2010. Bovine coronavirus associated syndromes. Vet Clin North Am Food Anim Pract 26:123-146.
    Pubmed KoreaMed CrossRef
  4. Chase CC, Reber AJ. 2008. Neonatal immune development in the calf and its impact on vaccine response. Vet Clin North Am Food Anim Pract 24:87-104.
    Pubmed KoreaMed CrossRef
  5. Chon SK, Kim NS. 2007.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K99), Clostridium perfringens and Cryptosporidium parvum in Diarrhetic Feces of Korean Native Calves. J Vet Clin 24:588-592.
  6. Çolakoğlu H, Yazlık M, Çolakoğlu E, Kaya U, Bayramoğlu R, Kurt S, Küplülü Ş. 2021. Oxidative stress in cows according to calving season: passive calf immunity and its relationship with colostrum quality. Pol J Vet Sci 24:225-233.
  7. De la Fuente R, Luzon M, Ruiz-Santa-Quiteria J, Garcıa A, Cid D, Orden J, Garcıa S, Gomez-Bautista M. 1999. Cryptosporidium and concurrent infections with other major enterophatogens in 1 to 30-day-old diarrheic dairy calves in central Spain. Vet Parasitol 80:179-185.
    Pubmed CrossRef
  8. Foster D and Smith GW. 2009. Pathophysiology of diarrhea in calves. Vet Clin North Am Food Anim Pract 25:13-36.
    Pubmed KoreaMed CrossRef
  9. Garcıa A, Ruiz-Santa-Quiteria J, Orden J, Cid D, Sanz R, De La Fuente R. 2000. Rotavirus and concurrent infections with other enteropathogens in neonatal diarrheic dairy calves in Spain. Comp Immunol Microbiol Infect Dis 23:175-183.
    Pubmed CrossRef
  10. Gulliksen S, Jor E, Lie K, Hamnes I, Løken T, Østerås O. 2009. Enteropathogens and risk factors for diarrhea in Norwegian dairy calves. J Dairy Sci 92:5057-5066.
    Pubmed KoreaMed CrossRef
  11. Heo JH, Cho MH, Lee KC, Park MN, Cho EJ, Choi MS, Kim CH, Kang JB, Kim JS. 2008. Detection of the etiological viruses from calves with clinical diarrhea in Gyeongnam south area. Korean J Vet Serv 31:265-272.
  12. Hur TY, Jung YH, Choe CY, Cho YI, Kang SJ, Lee HJ, Ki KS, Suh GH. 2013. The dairy calf mortality: the causes of calf death during ten years at a large dairy farm in Korea. Korean J Vet Res 53:103-108.
    CrossRef
  13. Izzo M, Kirkland P, Mohler V, Perkins N, House J. 2011. Prevalence of major enteric pathogens in Australian dairy calves with diarrhoea. Aust Vet J 89:167-173.
    Pubmed KoreaMed CrossRef
  14. Jeong MH, Lee MK, Kim HS, Lee SU, Seong MH, Park DY, Hwang BW, Cho JH. 2012. Detection of etiologic agents in diarrhea fecal samples from calves in Gyeongnam province, Korea. Korean J Vet Serv 35:339-342.
    CrossRef
  15. Kang MI, Han DU, Chung Y, Chung D, Lee CY, Lee C, Cho J. 2001. Survey on Korean-native calves diseases and mortality. Korean J Vet Serv 24:223-241.
  16. Kim UH, Jung YH, Choe C, Kang SJ, Chang SS, Cho SR, Hur TY. 2015. Korean native calf mortality: the causes of calf death in a large breeding farm over a 10-year period. Korean J Vet Res 55:75-80.
    CrossRef
  17. Kirisawa R, Takeyama A, Iwai H. 2007. Detection of bovine torovirus in fecal specimens of calves with diarrhea in Japan. J Vet Med Sci 69:471-476.
    Pubmed CrossRef
  18. Klein-Jöbstl D, Drillich M. 2014. Farm characteristics and calf management practices on dairy farms with and without diarrhea: a case-control study to investigate risk factors for calf diarrhea. J Dairy Sci 97:5110-5119.
    Pubmed KoreaMed CrossRef
  19. Krogh H and Henriksen SA. 1985. Bovine cryptosporidiosis in Denmark. 2. Cryptosporidia associated with neonatal calf diarrhea. Nord Vet Med 37:42-47.
  20. Lee HK, So KM, Oh SI, Roh JH, Kim MS, Kang MG, Jung SH, Jung YH, Lee HG. 2021. Prevalence of cryptosporidiosis and giardiasis in Korean native calves in Gimje area. Korean J Vet Serv 44:85-91.
  21. Lorenz I, Trefz FM. 2021. A high plane of nutrition is associated with a lower risk for neonatal calf diarrhea on bavarian dairy farms. Animals 11:3251.
    Pubmed KoreaMed CrossRef
  22. Maddox-Hyttel C, Langkjær RB, Vigre H. 2006. Cryptosporidium and Giardia in different age groups of Danish cattle and pigs-occurrence and management associated risk factors. Vet Parasitol 141:48-59.
    Pubmed CrossRef
  23. Mauroy A, Scipioni A, Mathijs E, Saegerman C, Mast J, Bridger JC, Ziant D, Thiry E. 2009. Epidemiological study of bovine norovirus infection by RT-PCR and a VLP-based antibody ELISA. Vet Microbiol 137:243-251.
    Pubmed KoreaMed CrossRef
  24. Park T, Cho GJ, Ryu IS. 2023. Analysis of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calf diarrhea using rapid diagnosis kit. Korean J Vet Serv 46:47-58.
    CrossRef
  25. Schroeder ME, Bounpheng MA, Rodgers S, Baker RJ, Black W, Naikare H, Velayudhan B, Sneed L, Clavijo A. 2012.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calf diarrhea pathogen nucleic acid purification and detection workflow. J Vet Diagn Invest 24:945-953.
    Pubmed CrossRef
  26. Svensson C, Oltenacu P. 2006. Morbidity in 3-7-month-old dairy calves in south-western Sweden, and risk factors for diarrhoea and respiratory disease. Prev Vet Med 74:162-179.
    Pubmed CrossRef
  27. Trotz-Williams L, Peregrine A. 2008. Passive immunity in Ontario dairy calves and investigation of its association with calf management practices. J Dairy Sci 91:3840-3849.
    Pubmed CrossRef
  28. Van Schaik G, Schukken Y, Nielen M, Dijkhuizen A, Benedictus G. 2002. Probability of and risk factors for introduction of infectious diseases into Dutch SPF dairy farms: a cohort study. Prev Vet Med 54:279-289.
    Pubmed CrossRef
  29. Yook SY, Nam I, Lee MS, Han WS, Kang HJ, Lee JB. 2009. A study on the prevalence of bovine coronavirus infection for calves in Seosan-Taean Area. Korean J Vet Serv 32:209-213.
KJVS
Dec 30, 2024 Vol.47 No.4, pp. 193~317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line

Related articles in KJVS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Service

eISSN 2287-7630
pISSN 3022-7372
qr-code 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