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links
Korean J. Vet. Serv. 2023; 46(1): 59-66
Published online March 30, 2023
https://doi.org/10.7853/kjvs.2023.46.1.59
© The Korean Socitety of Veterinary Service
김철호1†ㆍ손용우2†ㆍ최유정1ㆍ고병효1ㆍ강원화1ㆍ김경애1ㆍ이승윤2ㆍ김우현2*
경상남도 동물위생시험소1, 경상국립대학교 수의과대학2
Correspondence to : Woo Hyun Kim
E-mail: woohyun.kim@gnu.ac.kr
https://orcid.org/0000-0002-6874-6787
†These first two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Wild boar is closely related to domestic pigs in terms of genetic homogeneity and the possibility of a source of infection by cont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viral diseases from wild boars inhabiting Gyeongsangnam-do, South Korea. A total of 374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nd subjected to antigen tests to detect African swine fever virus (ASFV), Porcine circovirus type-2 (PCV2),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PRRSV). For seroprevalence, PCV2, PRRS, classical swine fever virus (CSFV), Aujezsky’s disease (ADV), and foot and mouth disease virus (FMDV) were investigated. The antigenic analysis revealed 73 positive cases (19.5%) for PCV2, while no positive cases for ASFV and PRRSV. For the antibody test, 225 (60.2%), 2 (0.5%), and 48 (12.8%) cases were detected against PCV2, PRRSV, and CSFV, respectively. There were no antibodies detected against both ADV and FMDV.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viruses infecting both wild boar and domestic pig, mainly PCV2, are circulating in the wild boar population thus, the consistent monitoring of prevalence in wild boar will be needed for transboundary spillover to the domestic pig.
Keywords Wild boar, Viral diseases, Gyeongsangnam-do, South Korea
멧돼지(
경상남도 행정통계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경남지역에 서식하는 야생 멧돼지와 사육 돼지의 수는 각각 18,222마리, 998,570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 확인되며(Table 1), 경남지역 야생 멧돼지에서 유행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의 감염 실태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경남 15개 시군에서 포획 또는 폐사된 야생 멧돼지 혈액 시료에서 바이러스성 질병의 감염 실태를 조사함으로써 경남지역 내 야생 멧돼지의 바이러스성 질병 방역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적인 데이터 작성에 목적을 두고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Table 1 . Estimated population of wild boars and domestic pigs in Gyeongsangnam-do
Area | Estimated No. of wild boars | No. of collected samples | No. of pig farms | No. of domestic pigs |
---|---|---|---|---|
Changwon-si | 1,142 | 68 | 64 | 51,909 |
Jinju-si | 1,165 | 5 | 69 | 50,679 |
Tongyeong-si | 440 | 0 | 8 | 1,766 |
Sacheon-si | 641 | 7 | 40 | 20,602 |
Gimhae-si | 605 | 6 | 112 | 198,423 |
Miryang-si | 1,366 | 0 | 33 | 77,986 |
Geoje-si | 738 | 28 | 0 | 2,668 |
Yangsan-si | 894 | 26 | 48 | 57,621 |
Uiryeong-gun | 910 | 23 | 26 | 53,102 |
Haman-gun | 635 | 35 | 46 | 66,973 |
Changnyeong-gun | 827 | 32 | 37 | 44,560 |
Goseong-gun | 896 | 22 | 46 | 81,555 |
Namhae-gun | 603 | 24 | 21 | 6,099 |
Hadong-gun | 1,203 | 0 | 33 | 36,608 |
Sancheong-gun | 1,548 | 5 | 68 | 34,272 |
Hamyang-gun | 1,345 | 9 | 95 | 37,921 |
Geochang-gun | 1,452 | 43 | 54 | 43,3342 |
Hapcheon-gun | 1,813 | 41 | 109 | 132,4844 |
Total | 18,222 | 374 | 918 | 998,570 |
검사에 사용된 시료는 총기 또는 포획틀에 의해 포획된 야생 멧돼지 혈액 시료 374점으로 2021년 8월부터 2022년 4월까지 환경부의 ASF 진단 체계 재정비 사업의 일환으로 야생생물관리협회의 협조를 받아 경상남도 15개 시군에서 수집되었고, 경상남도 동물위생시험소로 송부되어 검사에 사용되었다. 혈액 시료는 포획 현장에서 EDTA 튜브(BD Vacutainer® EDTA Tubes, BD, USA)를 이용하여 채취하였다. 검사 항목으로는 Table 2와 같이 6개 질병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Table 2 . Diagnostic method used for viral diseases in wild boars
Target | Pathogen | Method | Approved commercial kit |
---|---|---|---|
Antigen | ASFV | qPCR | VDx® ASFV qPCR (MEDIAN Diagnostics) |
PCV2 | qRT-PCR | VDx® PRRSV/PCV2 qRT-PCR (MEDIAN Diagnostics) | |
PRRSV | |||
Antibody | CSFV | ELISA | VDPro® CSFV AB ELISA (MEDIAN Diagnostics) |
PCV2 | VDPro® PCV2 AB ELISA (MEDIAN Diagnostics) | ||
PRRSV | IDEXX PRRS X3 Ab Test (IDEXX) | ||
ADV | Pseudorabies Virus gpl Antibody Test Kit (IDEXX) | ||
FMDV | VDPro® FMDV NSP AB ELISA (MEDIAN Diagnostics) |
멧돼지 시료에서 ASFV, PCV2, PRRSV 항원검사를 위하여 전혈 374점에서 DNA 또는 RNA를 추출(Viral Gene-spin Viral DNA/RNA Extraction Kit, Intron Biotechnology, South Korea)하였다. ASFV의 항원검사는 시판되는 VDx® ASFV qPCR (MEDIAN Diagnostics, South Korea)를 이용해 제조사의 설명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PCV2, PRRSV의 항원검사는 시판되는 VDx® PRRSV/PCV2 qRT-PCR (MEDIAN Diagnostics)를 이용해 제조사의 설명에 따라 실시하였다.
항체 검사를 위해 EDTA 튜브의 혈액을 원심분리 (1,000 xg, 15 min) 후 혈장에서 멧돼지의 CSFV, PCV2, PRRSV, ADV, FMDV 항체검사를 위하여 각각 VDPro® CSFV AB ELISA (MEDIAN Diagnostics), VDPro® PCV2 AB ELISA (MEDIAN Diagnostics), IDEXX PRRS X3 Ab Test (IDEXX, USA), Pseudorabies Virus gpl Antibody Test Kit (IDEXX), VDPro® FMDV NSP AB ELISA (MEDIAN Diagnostics)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설명에 따라 ELISA reader (Molecular devices, USA)를 이용하여 검사를 실시하였다.
성별과 무게에 따른 멧돼지 바이러스 질병 검사 양성률의 차이는 카이제곱검정(지역별 및 무게별 양성률)과 피셔의 정확검정(성별 양성률)을 이용하여 분석(GraphPadPrism Ver.9.3.0, GraphPad Software, USA)하고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경남 15개 시군에서 시행한 멧돼지 혈액 374점에 대한 질병검사 결과를 Table 3에 나타내었다. PCV2의 항원, 항체검사 결과 73점(평균 19.5%, 0∼43.8%)에서 항원이 검출되었으며, 225점(60.2%, 36.8∼100%)에서 항체가 검출되었고 64점(17.1%, 0∼43.8%)의 혈액 시료에서 항원과 항체가 모두 검출되었다. 이는 전체 PCV2 항원 양성시료 73점 중 64점(87.7%)의 시료에서 항체가 검출된 것으로 대부분의 PCV2 항원 양성 개체가 항체 양성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분포에서 PCV2 항원은 김해시, 산청군, 함양군을 제외한 모든 시군에서 검출되었으며, 창녕군(43.8%), 사천시(42.9%), 남해군(37.5%), 거창군(30.2%)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시군에서 PCV2에 대한 항체가 검출되었으며 진주시(100%), 사천시(100%), 의령군(87%), 거창군(81.4%), 산청군(80%) 순으로 나타났다. PCV2 항원 및 항체 검사 결과는 지역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이 통계적으로 확인되었다(
Table 3 . Summary of the antigen and/or antibody detection in wild boars from Gyeongsangnam-do
Location | No. of tested | No. of positive (%) | ||||||||||||
---|---|---|---|---|---|---|---|---|---|---|---|---|---|---|
PCV2 infection | PRRS | ASF | CSF | AD | FMD | |||||||||
Ag* | Ab* | Ag+Ab*† | NA Ag | EU Ag | Ab | Ag | Ab | |||||||
Changwon-si | 68 | 9 (13.2) | 25 (36.8) | 8 (11.8) | 0 | 0 | 0 | 0 | 10 (14.7) | 0 | 0 | |||
Jinju-si | 5 | 1 (20) | 5 (100) | 1 (20) | 0 | 0 | 0 | 0 | 0 | 0 | 0 | |||
Sacheon-si | 7 | 3 (42.9) | 7 (100) | 3 (42.9) | 0 | 0 | 0 | 0 | 0 | 0 | 0 | |||
Gimhae-si | 6 | 0 | 3 (50) | 0 (0) | 0 | 0 | 0 | 0 | 1 (16.7) | 0 | 0 | |||
Geoje-si | 28 | 5 (17.9) | 10 (35.7) | 4 (14.3) | 0 | 0 | 1 (3.6) | 0 | 4 (14.3) | 0 | 0 | |||
Yangsan-si | 26 | 1 (3.8) | 12 (46.2) | 1 (3.8) | 0 | 0 | 0 | 0 | 5 (19.2) | 0 | 0 | |||
Uiryeong-gun | 23 | 2 (8.7) | 20 (87) | 2 (8.7) | 0 | 0 | 0 | 0 | 0 | 0 | 0 | |||
Haman-gun | 35 | 7 (20) | 14 (40) | 5 (14.3) | 0 | 0 | 0 | 0 | 4 (11.4) | 0 | 0 | |||
Changnyeong-gun | 32 | 14 (43.8) | 24 (75) | 14 (43.8) | 0 | 0 | 0 | 0 | 5 (15.6) | 0 | 0 | |||
Goseong-gun | 22 | 2 (9.1) | 16 (72.7) | 1 (4.5) | 0 | 0 | 0 | 0 | 3 (13.6) | 0 | 0 | |||
Namhae-gun | 24 | 9 (37.5) | 15 (62.5) | 7 (29.2) | 0 | 0 | 0 | 0 | 2 (8.3) | 0 | 0 | |||
Sancheong-gun | 5 | 0 | 4 (80) | 0 (0) | 0 | 0 | 0 | 0 | 0 | 0 | 0 | |||
Hamyang-gun | 9 | 0 | 6 (66.7) | 0 (0) | 0 | 0 | 0 | 0 | 1 (11.1) | 0 | 0 | |||
Geochang-gun | 43 | 13 (30.2) | 35 (81.4) | 13 (30.2) | 0 | 0 | 0 | 0 | 12 (27.9) | 0 | 0 | |||
Hapcheon-gun | 41 | 7 (17.1) | 29 (70.7) | 5 (12.2) | 0 | 0 | 1 (2.4) | 0 | 1 (2.4) | 0 | 0 | |||
Total | 374 | 73 (19.5) | 225 (60.2) | 64 (17.1) | 0 | 0 | 2 (0.5) | 0 | 48 (12.8) | 0 | 0 |
*Data that significantly different in regional groups by chi-square test (
Ag, Antigen; Ab, Antibody; PCV2, Porcine Circovirus Type 2; PRRS,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ASF, African Swine Fever; CSF, Classical Swine Fever; AD, Aujeszky’s Disease; FMD, Foot and Mouse Disease.
전체 야생 멧돼지 시료 중 양성 시료를 포함하는 PCV2, PRRSV, CSFV에 대하여 야생 멧돼지의 성별과 체중에 따라 질병 양성률의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포뢱된 야생 멧돼지 연령의 정확한 판정이 불가하여 연령과 상관 관계를 가지는 체중을 30 kg 단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질병 검사 양성 시료의 성별간 분포는 Table 4와 같았다. PCV2 항원검사 결과 양성으로 나타난 시료는 암컷 46점(22.5%), 수컷 27점(15.8%)이었고, 항체검사 결과 양성으로 나타난 시료는 암컷 123점(60.3%), 수컷 102점(59.6%)이었다. PRRS 항체검사 결과 양성으로 나타난 시료는 암컷 1점(0.5%), 수컷 1점(0.6%)이었고, CSFV 항체검사 결과 양성으로 나타난 시료는 암컷 29점(14.2%), 수컷 19점(11%)이었다. 본 연구에서 검사된 모든 병원체의 항원 양성률, 항체 양성률 모두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Table 4 . Test results for viral diseases in wild boars by sex
Sex | No. of tested | No. of positive (%) | |||
---|---|---|---|---|---|
PCV2 (Ag) | PCV2 (Ab) | PRRS (Ab) | CSFV (Ab) | ||
Female | 204 | 46 (22.5) | 123 (60.3) | 1 (0.5) | 29 (14.2) |
Male | 171 | 27 (15.8) | 102 (59.6) | 1 (0.6) | 19 (11.1) |
total | 375 | 73 | 225 | 2 | 48 |
0.11 | 0.91 | >0.99 | 0.43 |
검사 양성 시료의 무게별 분포는 Table 5과 같았다. PCV2 항원검사 결과 30 kg이하 개체에서 항원 양성률은 2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CV2 항체검사 결과 120 kg초과 150 kg이하 개체에서 항체 양성률이 85.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Table 5 . Test results for viral diseases in wild boars by weight
Weight | No. of tested | No. of positive (%) | |||
---|---|---|---|---|---|
PCV2 (Ag) | PCV2 (Ab) | PRRS (Ab) | CSF (Ab) | ||
0∼30 | 126 | 29 (23) | 58 (46) | 1 (0.8) | 17 (13.5) |
30∼60 | 113 | 20 (17.7) | 61 (54) | 1 (0.9) | 15 (13.3) |
60∼90 | 72 | 15 (20.8) | 57 (79.2) | 0 | 7 (9.7) |
90∼120 | 42 | 8 (19) | 33 (78.6) | 0 | 4 (9.5) |
120∼150 | 14 | 1 (7.1) | 12 (85.7) | 0 | 3 (21.4) |
150∼ | 7 | 0 | 4 (57.1) | 0 | 2 (28.6) |
total | 374 | 73 | 225 | 2 | 48 |
0.50 | <0.0001 | 0.95 | 0.61 |
야생 멧돼지는 ASFV, CSFV, ADV, PCV2 등 여러 바이러스의 숙주로 여겨지고 있지만, 사육 돼지에 비해 야생 멧돼지에 대한 질병검사 데이터는 미비한 실정이다(Ju 등, 2020). 따라서 본 연구는 경남지역 15개 시군의 야생 멧돼지 혈액 시료에서 ASF, CSF, PCV2, PRRS 등의 바이러스성 질병들의 감염 실태를 조사하여 야생 멧돼지 방역 대책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수행되었다.
PCV2에 대한 항원, 항체검사 결과 경남지역 내 PCV2 항원 양성률은 19.5%로 나타나 An 등(2014)이 보고한 전국 야생 멧돼지의 PCV2에 대한 항원 양성률(4.98%)보다는 높지만 Ju 등(2020)이 보고한 경기 북부지역 야생 멧돼지의 항원 양성률(31.6%)보다는 낮았다. 또한, Kwon 등(2017)이 보고한 전국 사육 돼지의 PCV2 항원 양성률은 2009∼2015년 30.3%, 2016년 78.2%로 야생 멧돼지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김해시, 산청군, 함양군을 제외한 12개 시군의 혈액 시료에서 PCV2 항원 양성이 확인되었으며, 항원 양성률의 범위는 3.8%∼43.8%로 나타났다. 경남지역 내 PCV2 항체 양성률은 60.2%로 나타났고, 모든 15개 시군에서 PCV2 항체 양성이 확인되었으며, 항체 양성률의 범위는 35.7%∼100%로 나타났다. 경남 지역내 지역별 사육 돼지의 분포와 연관 지어보면, 사육 돼지의 숫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시군(창녕: 경남 전체의 4.5%, 사천: 2.1%)에서 가장 높은 PCV2 항원 양성(창녕군: 43.8%, 사천시: 42.9%)이 확인되었으며, 경남 전체 사육 돼지의 19.9%를 차지하는 김해시의 경우 모든 시료에서 음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에 사용된 지역내에서 수집된 야생 멧돼지의 시료가 지역별로 수적 차이가 있고, 사육 돼지로의 질병 전파 매개체로서 야생 멧돼지가 대부분 산지에 한정적으로 서식하므로 지역의 지형적 고려없이 사육 분포만을 살펴보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처럼 야생 멧돼지에서의 병원체 보유율, 서식 특성, 지리적 특성, 질병 유행 정도 등을 고려하여 사육 돼지로의 전파 가능성을 예측하는 것은 매우 복잡한 것으로 추가적인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PCV2의 항체 양성률은 멧돼지의 무게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PRRS의 경우 야생 멧돼지에서 사육 돼지로의 전파 가능성은 확인되지 않았으며(Meng과 Lindsay, 2009), PRRSV에 대한 항원검사 결과 경남지역 내 PRRSV 항원은 검출되지 않았다. 항체검사 결과 항체 양성률은 0.5%로 Choi 등(2012)이 보고한 전국 야생 멧돼지의 PRRS에 대한 항원 양성률(1.5%)과 Ju 등(2020)이 보고한 경기 북부지역 야생 멧돼지의 항원 양성률(4.0%)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Kang 등(2014)이 보고한 경남 합천 사육 돼지의 PRRSV 항체 양성률(82.8%)보다 매우 낮게 나타나 실제로 사육 돼지로의 전파 가능성이 높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유전적 다양성이 크고 변이가 심한 PRRSV의 특성을 고려하면 야생 멧돼지에서의 검사를 주기적으로 시행하고 검출되는 바이러스들의 유전 정보들을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CSF의 경우 사육돼지에서는 2016년 국내 2개 농장 218두에서 양성 개체가 보고된 이후 발생현황이 없으나, Choe 등(2020)이 보고한 2017년 경남지역 야생 멧돼지의 CSFV 항체 양성률(0.3%)에 비해 본 조사에서는 12.8%의 매우 높은 항체 양성률을 보여 CSF에 대한 예방접종을 하지 않는 야생 멧돼지 군집에서 야생형(wild-type) 바이러스가 순환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북한과의 접경지역에서 포획된 야생 멧돼지의 CSFV 항체 양성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Choe 등(2020)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며 추후 야생에서 순환 후 변이된 CSFV가 사육 돼지로 전파될 가능성, 현재 국내에서 사용중인 CSFV 백신으로 방어가 가능한지 등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SF는 멧돼지를 주요 숙주로 하여 ASFV에 감염된 멧돼지 폐사체가 바이러스의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Chenais 등, 2019), 본 연구 결과를 포함해 현재까지 경남지역 야생 멧돼지 및 사육돼지에서의 감염은 확인되지 않았다. ADV에 대한 항체검사 항체 양성 시료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기존 연구들에서 ADV가 멧돼지에서 사육 돼지로 전파된 사례들이 보고되었으나, 일반적으로 멧돼지에서 발견되는 ADV 균주의 병원성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Hahn 등, 1997). FMD의 경우에도 야생 멧돼지와 사육 돼지 모두 FMDV에 감수성이 있지만 멧돼지와 사육 돼지간 전파 가능성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Ruiz-Fons 등, 2008). 멧돼지를 비롯한 야생동물에서의 FMD 감염은 한국의 청정국 지위를 회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실제 야생형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 발생은 낮지만 지속적인 예찰이 필요할 것이다.
경남지역은 산지가 많이 분포한 지역적 특성으로 국내에서 가장 많은 야생 멧돼지 평균추정 마리수를 기록했으며 최대추정 마리수에서도 경북지역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 지역으로 조사되었다(NIBR, 2021). 2019년 이후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ASF에 대한 대책으로 차단 울타리 설치, 포획 멧돼지 전수조사, 외부 울타리 등 사육 농장 8대 방역 시설 설치 등을 시행하고 있지만 2023년 경기, 강원 지역의 사육 돼지에서 발생하였고, 야생 멧돼지의 경우 충북, 경북 북부지역에서도 감염 개체가 확인되며 양돈 농가에 지속적인 위협이 되고 있다. 경남지역에서의 야생 멧돼지 및 사육 돼지에서의 발생은 2023년 2월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고 있지만 포획 및 울타리 설치에 따른 멧돼지의 남하 등으로 ASF의 발생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시료들은 지역별로 구분되나 야생 멧돼지 추정 개체 수, 사육 돼지 수, 지리적 특성 등에 대한 고려 없이 수집되어 지역간의 면밀한 비교 분석에는 한계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경남 대부분 지역의 야생 멧돼지에서 ASF를 포함한 6개의 바이러스 질병 감염의 실태를 조사함으로써 야생 멧돼지의 전파에 의한 질병들에 대한 전반적인 방역 대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경남지역 15개 시군에서 채취한 멧돼지 혈액 374점을 대상으로 6개 바이러스성 질병(ASFV, PCV2, PRRSV, CSFV, ADV, FMDV)의 감염 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PCV2의 항원 양성률은 19.5%, 항체 양성률은 60.2%로 나타났다. PRRSV의 항원은 검출되지 않았고, 항체 양성률은 0.5%로 나타났다. CSFV에 대한 항체 양성률은 12.8%로 나타났다. ADV와 FMDV에 대한 항체검사 결과 모두 음성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에서 경남지역 15개 시군의 멧돼지 바이러스성 질병 감염 실태를 확인했으며, 본 연구에서 감염률이 높게 확인된 PCV2와 CSF를 포함한 야생 멧돼지 바이러스성 질병에 대해서는 추후 방역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환경부 야생동물질병 전문인력 양성 특성화대학원 사업 및 2022년도 경상남도 동물위생시험소 연구사업의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시료 수집을 위해 협조해주신 환경부와 야생생물관리협회에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Korean J. Vet. Serv. 2023; 46(1): 59-66
Published online March 30, 2023 https://doi.org/10.7853/kjvs.2023.46.1.59
Copyright © The Korean Socitety of Veterinary Service.
김철호1†ㆍ손용우2†ㆍ최유정1ㆍ고병효1ㆍ강원화1ㆍ김경애1ㆍ이승윤2ㆍ김우현2*
경상남도 동물위생시험소1, 경상국립대학교 수의과대학2
Cheol-Ho Kim 1†, Yongwoo Son 2†, Yu-Jeong Choi 1, Byeong Hyo Ko 1, Weon Hwa Kang 1, Gyeong Ae Kim 1, Seungyun Lee 2, Woo Hyun Kim 2*
1Gyeongnam Veterinary Service Laboratory, Jinju 52733, Korea
2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828, Korea
Correspondence to:Woo Hyun Kim
E-mail: woohyun.kim@gnu.ac.kr
https://orcid.org/0000-0002-6874-6787
†These first two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Wild boar is closely related to domestic pigs in terms of genetic homogeneity and the possibility of a source of infection by cont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viral diseases from wild boars inhabiting Gyeongsangnam-do, South Korea. A total of 374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nd subjected to antigen tests to detect African swine fever virus (ASFV), Porcine circovirus type-2 (PCV2),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PRRSV). For seroprevalence, PCV2, PRRS, classical swine fever virus (CSFV), Aujezsky’s disease (ADV), and foot and mouth disease virus (FMDV) were investigated. The antigenic analysis revealed 73 positive cases (19.5%) for PCV2, while no positive cases for ASFV and PRRSV. For the antibody test, 225 (60.2%), 2 (0.5%), and 48 (12.8%) cases were detected against PCV2, PRRSV, and CSFV, respectively. There were no antibodies detected against both ADV and FMDV.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viruses infecting both wild boar and domestic pig, mainly PCV2, are circulating in the wild boar population thus, the consistent monitoring of prevalence in wild boar will be needed for transboundary spillover to the domestic pig.
Keywords: Wild boar, Viral diseases, Gyeongsangnam-do, South Korea
멧돼지(
경상남도 행정통계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경남지역에 서식하는 야생 멧돼지와 사육 돼지의 수는 각각 18,222마리, 998,570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 확인되며(Table 1), 경남지역 야생 멧돼지에서 유행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의 감염 실태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경남 15개 시군에서 포획 또는 폐사된 야생 멧돼지 혈액 시료에서 바이러스성 질병의 감염 실태를 조사함으로써 경남지역 내 야생 멧돼지의 바이러스성 질병 방역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적인 데이터 작성에 목적을 두고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Table 1 . Estimated population of wild boars and domestic pigs in Gyeongsangnam-do.
Area | Estimated No. of wild boars | No. of collected samples | No. of pig farms | No. of domestic pigs |
---|---|---|---|---|
Changwon-si | 1,142 | 68 | 64 | 51,909 |
Jinju-si | 1,165 | 5 | 69 | 50,679 |
Tongyeong-si | 440 | 0 | 8 | 1,766 |
Sacheon-si | 641 | 7 | 40 | 20,602 |
Gimhae-si | 605 | 6 | 112 | 198,423 |
Miryang-si | 1,366 | 0 | 33 | 77,986 |
Geoje-si | 738 | 28 | 0 | 2,668 |
Yangsan-si | 894 | 26 | 48 | 57,621 |
Uiryeong-gun | 910 | 23 | 26 | 53,102 |
Haman-gun | 635 | 35 | 46 | 66,973 |
Changnyeong-gun | 827 | 32 | 37 | 44,560 |
Goseong-gun | 896 | 22 | 46 | 81,555 |
Namhae-gun | 603 | 24 | 21 | 6,099 |
Hadong-gun | 1,203 | 0 | 33 | 36,608 |
Sancheong-gun | 1,548 | 5 | 68 | 34,272 |
Hamyang-gun | 1,345 | 9 | 95 | 37,921 |
Geochang-gun | 1,452 | 43 | 54 | 43,3342 |
Hapcheon-gun | 1,813 | 41 | 109 | 132,4844 |
Total | 18,222 | 374 | 918 | 998,570 |
검사에 사용된 시료는 총기 또는 포획틀에 의해 포획된 야생 멧돼지 혈액 시료 374점으로 2021년 8월부터 2022년 4월까지 환경부의 ASF 진단 체계 재정비 사업의 일환으로 야생생물관리협회의 협조를 받아 경상남도 15개 시군에서 수집되었고, 경상남도 동물위생시험소로 송부되어 검사에 사용되었다. 혈액 시료는 포획 현장에서 EDTA 튜브(BD Vacutainer® EDTA Tubes, BD, USA)를 이용하여 채취하였다. 검사 항목으로는 Table 2와 같이 6개 질병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Table 2 . Diagnostic method used for viral diseases in wild boars.
Target | Pathogen | Method | Approved commercial kit |
---|---|---|---|
Antigen | ASFV | qPCR | VDx® ASFV qPCR (MEDIAN Diagnostics) |
PCV2 | qRT-PCR | VDx® PRRSV/PCV2 qRT-PCR (MEDIAN Diagnostics) | |
PRRSV | |||
Antibody | CSFV | ELISA | VDPro® CSFV AB ELISA (MEDIAN Diagnostics) |
PCV2 | VDPro® PCV2 AB ELISA (MEDIAN Diagnostics) | ||
PRRSV | IDEXX PRRS X3 Ab Test (IDEXX) | ||
ADV | Pseudorabies Virus gpl Antibody Test Kit (IDEXX) | ||
FMDV | VDPro® FMDV NSP AB ELISA (MEDIAN Diagnostics) |
멧돼지 시료에서 ASFV, PCV2, PRRSV 항원검사를 위하여 전혈 374점에서 DNA 또는 RNA를 추출(Viral Gene-spin Viral DNA/RNA Extraction Kit, Intron Biotechnology, South Korea)하였다. ASFV의 항원검사는 시판되는 VDx® ASFV qPCR (MEDIAN Diagnostics, South Korea)를 이용해 제조사의 설명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PCV2, PRRSV의 항원검사는 시판되는 VDx® PRRSV/PCV2 qRT-PCR (MEDIAN Diagnostics)를 이용해 제조사의 설명에 따라 실시하였다.
항체 검사를 위해 EDTA 튜브의 혈액을 원심분리 (1,000 xg, 15 min) 후 혈장에서 멧돼지의 CSFV, PCV2, PRRSV, ADV, FMDV 항체검사를 위하여 각각 VDPro® CSFV AB ELISA (MEDIAN Diagnostics), VDPro® PCV2 AB ELISA (MEDIAN Diagnostics), IDEXX PRRS X3 Ab Test (IDEXX, USA), Pseudorabies Virus gpl Antibody Test Kit (IDEXX), VDPro® FMDV NSP AB ELISA (MEDIAN Diagnostics)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설명에 따라 ELISA reader (Molecular devices, USA)를 이용하여 검사를 실시하였다.
성별과 무게에 따른 멧돼지 바이러스 질병 검사 양성률의 차이는 카이제곱검정(지역별 및 무게별 양성률)과 피셔의 정확검정(성별 양성률)을 이용하여 분석(GraphPadPrism Ver.9.3.0, GraphPad Software, USA)하고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경남 15개 시군에서 시행한 멧돼지 혈액 374점에 대한 질병검사 결과를 Table 3에 나타내었다. PCV2의 항원, 항체검사 결과 73점(평균 19.5%, 0∼43.8%)에서 항원이 검출되었으며, 225점(60.2%, 36.8∼100%)에서 항체가 검출되었고 64점(17.1%, 0∼43.8%)의 혈액 시료에서 항원과 항체가 모두 검출되었다. 이는 전체 PCV2 항원 양성시료 73점 중 64점(87.7%)의 시료에서 항체가 검출된 것으로 대부분의 PCV2 항원 양성 개체가 항체 양성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분포에서 PCV2 항원은 김해시, 산청군, 함양군을 제외한 모든 시군에서 검출되었으며, 창녕군(43.8%), 사천시(42.9%), 남해군(37.5%), 거창군(30.2%)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시군에서 PCV2에 대한 항체가 검출되었으며 진주시(100%), 사천시(100%), 의령군(87%), 거창군(81.4%), 산청군(80%) 순으로 나타났다. PCV2 항원 및 항체 검사 결과는 지역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이 통계적으로 확인되었다(
Table 3 . Summary of the antigen and/or antibody detection in wild boars from Gyeongsangnam-do.
Location | No. of tested | No. of positive (%) | ||||||||||||
---|---|---|---|---|---|---|---|---|---|---|---|---|---|---|
PCV2 infection | PRRS | ASF | CSF | AD | FMD | |||||||||
Ag* | Ab* | Ag+Ab*† | NA Ag | EU Ag | Ab | Ag | Ab | |||||||
Changwon-si | 68 | 9 (13.2) | 25 (36.8) | 8 (11.8) | 0 | 0 | 0 | 0 | 10 (14.7) | 0 | 0 | |||
Jinju-si | 5 | 1 (20) | 5 (100) | 1 (20) | 0 | 0 | 0 | 0 | 0 | 0 | 0 | |||
Sacheon-si | 7 | 3 (42.9) | 7 (100) | 3 (42.9) | 0 | 0 | 0 | 0 | 0 | 0 | 0 | |||
Gimhae-si | 6 | 0 | 3 (50) | 0 (0) | 0 | 0 | 0 | 0 | 1 (16.7) | 0 | 0 | |||
Geoje-si | 28 | 5 (17.9) | 10 (35.7) | 4 (14.3) | 0 | 0 | 1 (3.6) | 0 | 4 (14.3) | 0 | 0 | |||
Yangsan-si | 26 | 1 (3.8) | 12 (46.2) | 1 (3.8) | 0 | 0 | 0 | 0 | 5 (19.2) | 0 | 0 | |||
Uiryeong-gun | 23 | 2 (8.7) | 20 (87) | 2 (8.7) | 0 | 0 | 0 | 0 | 0 | 0 | 0 | |||
Haman-gun | 35 | 7 (20) | 14 (40) | 5 (14.3) | 0 | 0 | 0 | 0 | 4 (11.4) | 0 | 0 | |||
Changnyeong-gun | 32 | 14 (43.8) | 24 (75) | 14 (43.8) | 0 | 0 | 0 | 0 | 5 (15.6) | 0 | 0 | |||
Goseong-gun | 22 | 2 (9.1) | 16 (72.7) | 1 (4.5) | 0 | 0 | 0 | 0 | 3 (13.6) | 0 | 0 | |||
Namhae-gun | 24 | 9 (37.5) | 15 (62.5) | 7 (29.2) | 0 | 0 | 0 | 0 | 2 (8.3) | 0 | 0 | |||
Sancheong-gun | 5 | 0 | 4 (80) | 0 (0) | 0 | 0 | 0 | 0 | 0 | 0 | 0 | |||
Hamyang-gun | 9 | 0 | 6 (66.7) | 0 (0) | 0 | 0 | 0 | 0 | 1 (11.1) | 0 | 0 | |||
Geochang-gun | 43 | 13 (30.2) | 35 (81.4) | 13 (30.2) | 0 | 0 | 0 | 0 | 12 (27.9) | 0 | 0 | |||
Hapcheon-gun | 41 | 7 (17.1) | 29 (70.7) | 5 (12.2) | 0 | 0 | 1 (2.4) | 0 | 1 (2.4) | 0 | 0 | |||
Total | 374 | 73 (19.5) | 225 (60.2) | 64 (17.1) | 0 | 0 | 2 (0.5) | 0 | 48 (12.8) | 0 | 0 |
*Data that significantly different in regional groups by chi-square test (
Ag, Antigen; Ab, Antibody; PCV2, Porcine Circovirus Type 2; PRRS,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ASF, African Swine Fever; CSF, Classical Swine Fever; AD, Aujeszky’s Disease; FMD, Foot and Mouse Disease..
전체 야생 멧돼지 시료 중 양성 시료를 포함하는 PCV2, PRRSV, CSFV에 대하여 야생 멧돼지의 성별과 체중에 따라 질병 양성률의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포뢱된 야생 멧돼지 연령의 정확한 판정이 불가하여 연령과 상관 관계를 가지는 체중을 30 kg 단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질병 검사 양성 시료의 성별간 분포는 Table 4와 같았다. PCV2 항원검사 결과 양성으로 나타난 시료는 암컷 46점(22.5%), 수컷 27점(15.8%)이었고, 항체검사 결과 양성으로 나타난 시료는 암컷 123점(60.3%), 수컷 102점(59.6%)이었다. PRRS 항체검사 결과 양성으로 나타난 시료는 암컷 1점(0.5%), 수컷 1점(0.6%)이었고, CSFV 항체검사 결과 양성으로 나타난 시료는 암컷 29점(14.2%), 수컷 19점(11%)이었다. 본 연구에서 검사된 모든 병원체의 항원 양성률, 항체 양성률 모두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Table 4 . Test results for viral diseases in wild boars by sex.
Sex | No. of tested | No. of positive (%) | |||
---|---|---|---|---|---|
PCV2 (Ag) | PCV2 (Ab) | PRRS (Ab) | CSFV (Ab) | ||
Female | 204 | 46 (22.5) | 123 (60.3) | 1 (0.5) | 29 (14.2) |
Male | 171 | 27 (15.8) | 102 (59.6) | 1 (0.6) | 19 (11.1) |
total | 375 | 73 | 225 | 2 | 48 |
0.11 | 0.91 | >0.99 | 0.43 |
검사 양성 시료의 무게별 분포는 Table 5과 같았다. PCV2 항원검사 결과 30 kg이하 개체에서 항원 양성률은 2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CV2 항체검사 결과 120 kg초과 150 kg이하 개체에서 항체 양성률이 85.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Table 5 . Test results for viral diseases in wild boars by weight.
Weight | No. of tested | No. of positive (%) | |||
---|---|---|---|---|---|
PCV2 (Ag) | PCV2 (Ab) | PRRS (Ab) | CSF (Ab) | ||
0∼30 | 126 | 29 (23) | 58 (46) | 1 (0.8) | 17 (13.5) |
30∼60 | 113 | 20 (17.7) | 61 (54) | 1 (0.9) | 15 (13.3) |
60∼90 | 72 | 15 (20.8) | 57 (79.2) | 0 | 7 (9.7) |
90∼120 | 42 | 8 (19) | 33 (78.6) | 0 | 4 (9.5) |
120∼150 | 14 | 1 (7.1) | 12 (85.7) | 0 | 3 (21.4) |
150∼ | 7 | 0 | 4 (57.1) | 0 | 2 (28.6) |
total | 374 | 73 | 225 | 2 | 48 |
0.50 | <0.0001 | 0.95 | 0.61 |
야생 멧돼지는 ASFV, CSFV, ADV, PCV2 등 여러 바이러스의 숙주로 여겨지고 있지만, 사육 돼지에 비해 야생 멧돼지에 대한 질병검사 데이터는 미비한 실정이다(Ju 등, 2020). 따라서 본 연구는 경남지역 15개 시군의 야생 멧돼지 혈액 시료에서 ASF, CSF, PCV2, PRRS 등의 바이러스성 질병들의 감염 실태를 조사하여 야생 멧돼지 방역 대책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수행되었다.
PCV2에 대한 항원, 항체검사 결과 경남지역 내 PCV2 항원 양성률은 19.5%로 나타나 An 등(2014)이 보고한 전국 야생 멧돼지의 PCV2에 대한 항원 양성률(4.98%)보다는 높지만 Ju 등(2020)이 보고한 경기 북부지역 야생 멧돼지의 항원 양성률(31.6%)보다는 낮았다. 또한, Kwon 등(2017)이 보고한 전국 사육 돼지의 PCV2 항원 양성률은 2009∼2015년 30.3%, 2016년 78.2%로 야생 멧돼지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김해시, 산청군, 함양군을 제외한 12개 시군의 혈액 시료에서 PCV2 항원 양성이 확인되었으며, 항원 양성률의 범위는 3.8%∼43.8%로 나타났다. 경남지역 내 PCV2 항체 양성률은 60.2%로 나타났고, 모든 15개 시군에서 PCV2 항체 양성이 확인되었으며, 항체 양성률의 범위는 35.7%∼100%로 나타났다. 경남 지역내 지역별 사육 돼지의 분포와 연관 지어보면, 사육 돼지의 숫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시군(창녕: 경남 전체의 4.5%, 사천: 2.1%)에서 가장 높은 PCV2 항원 양성(창녕군: 43.8%, 사천시: 42.9%)이 확인되었으며, 경남 전체 사육 돼지의 19.9%를 차지하는 김해시의 경우 모든 시료에서 음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에 사용된 지역내에서 수집된 야생 멧돼지의 시료가 지역별로 수적 차이가 있고, 사육 돼지로의 질병 전파 매개체로서 야생 멧돼지가 대부분 산지에 한정적으로 서식하므로 지역의 지형적 고려없이 사육 분포만을 살펴보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처럼 야생 멧돼지에서의 병원체 보유율, 서식 특성, 지리적 특성, 질병 유행 정도 등을 고려하여 사육 돼지로의 전파 가능성을 예측하는 것은 매우 복잡한 것으로 추가적인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PCV2의 항체 양성률은 멧돼지의 무게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PRRS의 경우 야생 멧돼지에서 사육 돼지로의 전파 가능성은 확인되지 않았으며(Meng과 Lindsay, 2009), PRRSV에 대한 항원검사 결과 경남지역 내 PRRSV 항원은 검출되지 않았다. 항체검사 결과 항체 양성률은 0.5%로 Choi 등(2012)이 보고한 전국 야생 멧돼지의 PRRS에 대한 항원 양성률(1.5%)과 Ju 등(2020)이 보고한 경기 북부지역 야생 멧돼지의 항원 양성률(4.0%)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Kang 등(2014)이 보고한 경남 합천 사육 돼지의 PRRSV 항체 양성률(82.8%)보다 매우 낮게 나타나 실제로 사육 돼지로의 전파 가능성이 높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유전적 다양성이 크고 변이가 심한 PRRSV의 특성을 고려하면 야생 멧돼지에서의 검사를 주기적으로 시행하고 검출되는 바이러스들의 유전 정보들을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CSF의 경우 사육돼지에서는 2016년 국내 2개 농장 218두에서 양성 개체가 보고된 이후 발생현황이 없으나, Choe 등(2020)이 보고한 2017년 경남지역 야생 멧돼지의 CSFV 항체 양성률(0.3%)에 비해 본 조사에서는 12.8%의 매우 높은 항체 양성률을 보여 CSF에 대한 예방접종을 하지 않는 야생 멧돼지 군집에서 야생형(wild-type) 바이러스가 순환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북한과의 접경지역에서 포획된 야생 멧돼지의 CSFV 항체 양성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Choe 등(2020)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며 추후 야생에서 순환 후 변이된 CSFV가 사육 돼지로 전파될 가능성, 현재 국내에서 사용중인 CSFV 백신으로 방어가 가능한지 등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SF는 멧돼지를 주요 숙주로 하여 ASFV에 감염된 멧돼지 폐사체가 바이러스의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Chenais 등, 2019), 본 연구 결과를 포함해 현재까지 경남지역 야생 멧돼지 및 사육돼지에서의 감염은 확인되지 않았다. ADV에 대한 항체검사 항체 양성 시료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기존 연구들에서 ADV가 멧돼지에서 사육 돼지로 전파된 사례들이 보고되었으나, 일반적으로 멧돼지에서 발견되는 ADV 균주의 병원성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Hahn 등, 1997). FMD의 경우에도 야생 멧돼지와 사육 돼지 모두 FMDV에 감수성이 있지만 멧돼지와 사육 돼지간 전파 가능성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Ruiz-Fons 등, 2008). 멧돼지를 비롯한 야생동물에서의 FMD 감염은 한국의 청정국 지위를 회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실제 야생형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 발생은 낮지만 지속적인 예찰이 필요할 것이다.
경남지역은 산지가 많이 분포한 지역적 특성으로 국내에서 가장 많은 야생 멧돼지 평균추정 마리수를 기록했으며 최대추정 마리수에서도 경북지역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 지역으로 조사되었다(NIBR, 2021). 2019년 이후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ASF에 대한 대책으로 차단 울타리 설치, 포획 멧돼지 전수조사, 외부 울타리 등 사육 농장 8대 방역 시설 설치 등을 시행하고 있지만 2023년 경기, 강원 지역의 사육 돼지에서 발생하였고, 야생 멧돼지의 경우 충북, 경북 북부지역에서도 감염 개체가 확인되며 양돈 농가에 지속적인 위협이 되고 있다. 경남지역에서의 야생 멧돼지 및 사육 돼지에서의 발생은 2023년 2월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고 있지만 포획 및 울타리 설치에 따른 멧돼지의 남하 등으로 ASF의 발생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시료들은 지역별로 구분되나 야생 멧돼지 추정 개체 수, 사육 돼지 수, 지리적 특성 등에 대한 고려 없이 수집되어 지역간의 면밀한 비교 분석에는 한계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경남 대부분 지역의 야생 멧돼지에서 ASF를 포함한 6개의 바이러스 질병 감염의 실태를 조사함으로써 야생 멧돼지의 전파에 의한 질병들에 대한 전반적인 방역 대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경남지역 15개 시군에서 채취한 멧돼지 혈액 374점을 대상으로 6개 바이러스성 질병(ASFV, PCV2, PRRSV, CSFV, ADV, FMDV)의 감염 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PCV2의 항원 양성률은 19.5%, 항체 양성률은 60.2%로 나타났다. PRRSV의 항원은 검출되지 않았고, 항체 양성률은 0.5%로 나타났다. CSFV에 대한 항체 양성률은 12.8%로 나타났다. ADV와 FMDV에 대한 항체검사 결과 모두 음성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에서 경남지역 15개 시군의 멧돼지 바이러스성 질병 감염 실태를 확인했으며, 본 연구에서 감염률이 높게 확인된 PCV2와 CSF를 포함한 야생 멧돼지 바이러스성 질병에 대해서는 추후 방역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환경부 야생동물질병 전문인력 양성 특성화대학원 사업 및 2022년도 경상남도 동물위생시험소 연구사업의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시료 수집을 위해 협조해주신 환경부와 야생생물관리협회에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Table 1 . Estimated population of wild boars and domestic pigs in Gyeongsangnam-do.
Area | Estimated No. of wild boars | No. of collected samples | No. of pig farms | No. of domestic pigs |
---|---|---|---|---|
Changwon-si | 1,142 | 68 | 64 | 51,909 |
Jinju-si | 1,165 | 5 | 69 | 50,679 |
Tongyeong-si | 440 | 0 | 8 | 1,766 |
Sacheon-si | 641 | 7 | 40 | 20,602 |
Gimhae-si | 605 | 6 | 112 | 198,423 |
Miryang-si | 1,366 | 0 | 33 | 77,986 |
Geoje-si | 738 | 28 | 0 | 2,668 |
Yangsan-si | 894 | 26 | 48 | 57,621 |
Uiryeong-gun | 910 | 23 | 26 | 53,102 |
Haman-gun | 635 | 35 | 46 | 66,973 |
Changnyeong-gun | 827 | 32 | 37 | 44,560 |
Goseong-gun | 896 | 22 | 46 | 81,555 |
Namhae-gun | 603 | 24 | 21 | 6,099 |
Hadong-gun | 1,203 | 0 | 33 | 36,608 |
Sancheong-gun | 1,548 | 5 | 68 | 34,272 |
Hamyang-gun | 1,345 | 9 | 95 | 37,921 |
Geochang-gun | 1,452 | 43 | 54 | 43,3342 |
Hapcheon-gun | 1,813 | 41 | 109 | 132,4844 |
Total | 18,222 | 374 | 918 | 998,570 |
Table 2 . Diagnostic method used for viral diseases in wild boars.
Target | Pathogen | Method | Approved commercial kit |
---|---|---|---|
Antigen | ASFV | qPCR | VDx® ASFV qPCR (MEDIAN Diagnostics) |
PCV2 | qRT-PCR | VDx® PRRSV/PCV2 qRT-PCR (MEDIAN Diagnostics) | |
PRRSV | |||
Antibody | CSFV | ELISA | VDPro® CSFV AB ELISA (MEDIAN Diagnostics) |
PCV2 | VDPro® PCV2 AB ELISA (MEDIAN Diagnostics) | ||
PRRSV | IDEXX PRRS X3 Ab Test (IDEXX) | ||
ADV | Pseudorabies Virus gpl Antibody Test Kit (IDEXX) | ||
FMDV | VDPro® FMDV NSP AB ELISA (MEDIAN Diagnostics) |
Table 3 . Summary of the antigen and/or antibody detection in wild boars from Gyeongsangnam-do.
Location | No. of tested | No. of positive (%) | ||||||||||||
---|---|---|---|---|---|---|---|---|---|---|---|---|---|---|
PCV2 infection | PRRS | ASF | CSF | AD | FMD | |||||||||
Ag* | Ab* | Ag+Ab*† | NA Ag | EU Ag | Ab | Ag | Ab | |||||||
Changwon-si | 68 | 9 (13.2) | 25 (36.8) | 8 (11.8) | 0 | 0 | 0 | 0 | 10 (14.7) | 0 | 0 | |||
Jinju-si | 5 | 1 (20) | 5 (100) | 1 (20) | 0 | 0 | 0 | 0 | 0 | 0 | 0 | |||
Sacheon-si | 7 | 3 (42.9) | 7 (100) | 3 (42.9) | 0 | 0 | 0 | 0 | 0 | 0 | 0 | |||
Gimhae-si | 6 | 0 | 3 (50) | 0 (0) | 0 | 0 | 0 | 0 | 1 (16.7) | 0 | 0 | |||
Geoje-si | 28 | 5 (17.9) | 10 (35.7) | 4 (14.3) | 0 | 0 | 1 (3.6) | 0 | 4 (14.3) | 0 | 0 | |||
Yangsan-si | 26 | 1 (3.8) | 12 (46.2) | 1 (3.8) | 0 | 0 | 0 | 0 | 5 (19.2) | 0 | 0 | |||
Uiryeong-gun | 23 | 2 (8.7) | 20 (87) | 2 (8.7) | 0 | 0 | 0 | 0 | 0 | 0 | 0 | |||
Haman-gun | 35 | 7 (20) | 14 (40) | 5 (14.3) | 0 | 0 | 0 | 0 | 4 (11.4) | 0 | 0 | |||
Changnyeong-gun | 32 | 14 (43.8) | 24 (75) | 14 (43.8) | 0 | 0 | 0 | 0 | 5 (15.6) | 0 | 0 | |||
Goseong-gun | 22 | 2 (9.1) | 16 (72.7) | 1 (4.5) | 0 | 0 | 0 | 0 | 3 (13.6) | 0 | 0 | |||
Namhae-gun | 24 | 9 (37.5) | 15 (62.5) | 7 (29.2) | 0 | 0 | 0 | 0 | 2 (8.3) | 0 | 0 | |||
Sancheong-gun | 5 | 0 | 4 (80) | 0 (0) | 0 | 0 | 0 | 0 | 0 | 0 | 0 | |||
Hamyang-gun | 9 | 0 | 6 (66.7) | 0 (0) | 0 | 0 | 0 | 0 | 1 (11.1) | 0 | 0 | |||
Geochang-gun | 43 | 13 (30.2) | 35 (81.4) | 13 (30.2) | 0 | 0 | 0 | 0 | 12 (27.9) | 0 | 0 | |||
Hapcheon-gun | 41 | 7 (17.1) | 29 (70.7) | 5 (12.2) | 0 | 0 | 1 (2.4) | 0 | 1 (2.4) | 0 | 0 | |||
Total | 374 | 73 (19.5) | 225 (60.2) | 64 (17.1) | 0 | 0 | 2 (0.5) | 0 | 48 (12.8) | 0 | 0 |
*Data that significantly different in regional groups by chi-square test (
Ag, Antigen; Ab, Antibody; PCV2, Porcine Circovirus Type 2; PRRS,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ASF, African Swine Fever; CSF, Classical Swine Fever; AD, Aujeszky’s Disease; FMD, Foot and Mouse Disease..
Table 4 . Test results for viral diseases in wild boars by sex.
Sex | No. of tested | No. of positive (%) | |||
---|---|---|---|---|---|
PCV2 (Ag) | PCV2 (Ab) | PRRS (Ab) | CSFV (Ab) | ||
Female | 204 | 46 (22.5) | 123 (60.3) | 1 (0.5) | 29 (14.2) |
Male | 171 | 27 (15.8) | 102 (59.6) | 1 (0.6) | 19 (11.1) |
total | 375 | 73 | 225 | 2 | 48 |
0.11 | 0.91 | >0.99 | 0.43 |
Table 5 . Test results for viral diseases in wild boars by weight.
Weight | No. of tested | No. of positive (%) | |||
---|---|---|---|---|---|
PCV2 (Ag) | PCV2 (Ab) | PRRS (Ab) | CSF (Ab) | ||
0∼30 | 126 | 29 (23) | 58 (46) | 1 (0.8) | 17 (13.5) |
30∼60 | 113 | 20 (17.7) | 61 (54) | 1 (0.9) | 15 (13.3) |
60∼90 | 72 | 15 (20.8) | 57 (79.2) | 0 | 7 (9.7) |
90∼120 | 42 | 8 (19) | 33 (78.6) | 0 | 4 (9.5) |
120∼150 | 14 | 1 (7.1) | 12 (85.7) | 0 | 3 (21.4) |
150∼ | 7 | 0 | 4 (57.1) | 0 | 2 (28.6) |
total | 374 | 73 | 225 | 2 | 48 |
0.50 | <0.0001 | 0.95 | 0.61 |
Dokyung Ra, Hyung-Seok Kim, Cheol Jeong, Dae sung Yoo, Ho-Seong Cho, Yeonsu Oh
Korean J. Vet. Serv. 2024; 47(3): 179-183 https://doi.org/10.7853/kjvs.2024.47.3.179Chang-Gi Jeong, Young-Sun Sung, Jun-Soo Park, Eun-Jee Na, Su-Beom Chae, Serin Sim, Sun-Young Kim, Young-Sik Kim, Jae-Ku Oem
Korean J. Vet. Serv. 2024; 47(3): 149-156 https://doi.org/10.7853/kjvs.2024.47.3.149Tae-Joon Kim, Cheol Jeong, Min-Young Kim, Kyung-Ho Kim, Moon-Joo Kwon
Korean J. Vet. Serv. 2024; 47(3): 143-147 https://doi.org/10.7853/kjvs.2024.47.3.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