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links
Korean J. Vet. Serv. 2024; 47(4): 277-281
Published online December 30, 2024
https://doi.org/10.7853/kjvs.2024.47.4.277
© The Korean Socitety of Veterinary Service
김양범1,2ㆍ김도경3ㆍ김상현1*
경상국립대학교 수의과대학1, 용인예술과학대학교 반려동물보건과2, 동명대학교 반려동물보건학과3
Correspondence to : Sang-Hyun Kim
E-mail: vetmicro@gnu.ac.kr
https://orcid.org/0000-0003-0432-0573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Chicken colibacillosis caused by infection with avian pathogenic Escherichia coli (APEC) O78 serotype can bring about prevalent economic losses and it could be ongoing concern in poultry industry. It is attempted to create a mutant strain of APEC O78 isolate, in order to attenuate the virulence of APEC O78, with a view to creating a potential candidate of live-attenuated vaccine to be used for broiler chickens. A genetic mutation in the phosphate transporter (pst) gene was constructed in this study to lessen the virulence of the APEC O78 isolate. The resulting pst mutant of APEC O78 was verified by whole genome sequencing to see whether virulence gene profile was changed during the procedure of the pst mutation. For the safety evaluation of the pst mutant of APEC O78, a potential candidate of live-attenuated vaccine, chicken embryo lethality test was carried out with specific pathogen-free (SPF) embryonated eggs. The results from the embryo lethality test showed that the infectivity and virulence of APEC O78 pst mutant towards chicken embryo was greatly lessened enough to be used as a safe live-attenuated vaccine.
Keywords Chicken colibacillosis, APEC O78, Live-attenuated vaccine, Embryo lethality test
닭대장균증(chicken colibacillosis)은 닭의 대장에 정착하는 대장균 무리에서 혈청형 O78, O1, O2 등의 균체 항원을 가진 닭병원성 대장균(APEC; avin pathogenic
닭대장균증 발병에 대응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제 수단은 효과적인 APEC 감염 방어 백신을 개발하는 것이다. 그동안 자가백신 개념으로 불활화 시킨 사균체(bacterin)를 백신항원으로 사용하기도 하였고(Ebrahimi-Nik 등, 2018), APEC 대장균 유래 외막소포체(OMV; outer membrane vesicle)를 수집하여 실험적인 백신물질로 사용한 예도 보고되었다(Wang 등, 2019). 하지만 이러한 불활화 백신의 경우 항체의존성 면역반응이 유도되나, 생백신에 비해 상대적으로 방어효능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Sadeyen 등, 2015; Islam과 Rahman, 2023). APEC O78 혈청형의 경우 일반적인 대장균에 비해 조직 침투성과 병원성(virulence)이 높아 생균백신으로 세포성 면역반응이 함께 유도되어야 감염 방어에 더 유효할 것이다. 따라서, APEC 예방용 생백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현재 APEC 생백신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Fernandes 등, 2013). 시판 중인 생백신(Poulvac® E. coli, Zoetis)의 경우 O78
본 연구팀은 (주)코미팜의 지원을 받아 colisepticemia를 일으키는 APEC O78에 의한 감염을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새로운 백신주를 창출하여 수입 백신을 대체할 수 있으면서 동등한 안전성과 효능을 가진 생백신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신규 백신 개발 전략을 바탕으로 초생추에 적용할 수 있는 충분한 안전성과 함께 기존 백신과 동등한 방어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생백신 후보주를 창출하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백신에서 이용한 APEC
연구에 사용한 O78 혈청형 APEC 야외주(wild-type)는 국내에서 분리한 균주이며, 이를 모체(parental strain)로 삼아 유전자 재조합 방법으로
생백신 후보주로서 새로 제작된 APEC O78
Table 1 . Chicken embryo lethality test for safety evaluation of APEC O78 pst mutant
Group of inoculation | No. of embryonated SPF eggs | APEC inoculum (cfu per 0.1 mL) |
---|---|---|
G-1 APEC O78 (wild-type) | 20 | 1.0×102 |
G-2 APEC | 20 | 1.0×102 |
G-3 PBS (sterile) inoculation | 10 | - |
G-4 Non-inoculation Control | 10 | - |
닭에서 colisepticemia를 일으키는 APEC O78 대장균 감염 예방을 위하여 본 연구를 통해 새로운 생백신 후보주를 제작하고, 백신 후보주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embryo lethality test (계태아 치사성 시험)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독창성은 기존 시판 중인 생백신주(APEC O78
Table 2의 계태아 치사성 시험 결과를 보면, 그룹 1의 APEC 야외주 접종군의 경우 접종 후 7일간 관찰 결과 65%의 계태아 치사율이 나타났지만, 그룹 2의 생백신 후보주 접종군에서는 접종 후 7일째 1수가 폐사되어, 5%의 폐사율을 보였다. 이러한 치사율의 차이로 보아, 백신주의 계태아 감염력 및 병원성 정도가 야외주와 비교하여 안전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시험 종란에서 장뇨막강 액과 계태아 조직에 존재하는 APEC 대장균의 균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MacConkey agar에 조직액을 배양하고 분리균을 동정하였다. 예상대로 폐사가 발생하지 않은 대조군(그룹 3 및 4)에서는 종란에서 어떠한 대장균도 분리되지 않았다. 야외주 접종군(그룹 1)의 경우 모든 폐사체의 장뇨막강 액과 태아 조직에서 셀수 없이 많은 대장균이 배양되었다. 하지만, 백신주 접종군(그룹 2)의 경우 유일한 폐사가 접종 후 7일째 나타났으며, 장뇨막강 액에서는 백신주 대장균이 배양되었지만 계태아 조직에서는 백신주의 콜로니가 형성되지 않았다. 또한, 접종 후 7일간 폐사가 일어나지 않았던 생존란을 대상으로 접종한 대장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장뇨막강 액과 태아 조직을 각각 배양하였다. 그룹 1에서 야외주를 접종 받은 생존란에서는 장뇨막강 액과 계태아 조직에서 많은 대장균이 배양되었지만, 그룹 2에서 백신주를 접종받은 생존란에서는 장뇨막강 액에서만 백신주 대장균이 배양되었고 계태아 조직에서는 대장균이 분리되지 않았다. 그룹 2에서 백신주를 접종한 후 7일째 한 개체의 폐사가 발생하였지만, 계태아 조직에서는 대장균이 배양되지 않은 이유로는 여러 가능성을 유추해 볼 수 있으나, 야외주의 경우처럼 계태아 조직 내에서 접종균의 증식과 병원성 발현으로 인한 폐사는 아닌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생백신주의 안전성 시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연구에서 신규 제작하여 공시한 생백신 후보주는 부화 중인 종란에서 생존, 증식할 수 있지만 계태아 조직으로 침투하여 조직 내에서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Table 2 . Monitoring results of embryonic death during the lethality test period
Group of inoculation | No. of dead embryos in the eggs after APEC inoculation | Total death count | Lethality rate | ||||||
---|---|---|---|---|---|---|---|---|---|
1-dpi | 2-dpi | 3-dpi | 4-dpi | 5-dpi | 6-dpi | 7-dpi | |||
G-1 APEC O78 (wild type) | 1 | 2 | 3 | 3 | 1 | 2 | 1 | 13/20 | 65% |
G-2 APEC mutant | 0 | 0 | 0 | 0 | 0 | 0 | 1 | 1/20 | 5% |
G-3 PBS inoculation | 0 | 0 | 0 | 0 | 0 | 0 | 0 | 0/10 | 0 |
G-4 Non-inoculation control | 0 | 0 | 0 | 0 | 0 | 0 | 0 | 0/10 | 0 |
한편, 계태아 치사성 시험에 사용한 각 그룹별로 생존란과 폐사란에서 APEC 감염 계태아의 이상 유무와 병변을 관찰하였고, 부검을 통해 여러 장기에서 병변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계태아 관찰하고 부검한 결과, APEC 감염 계태아의 간(liver)에서 염증성 병변과 간 종대가 관찰되었다(Fig. 2). 백신주 접종군에서 생존한 계태아의 간에서는 미약한 염증성 병변(Fig. 2C)이 나타났지만, 야외주 접종군에서 폐사된 계태아의 부검 소견에서는 확연하게(대략 2배 이상) 간 종대가 관찰되었다(Fig. 2D).
닭에서 colisepticemia를 일으키는 APEC O78 혈청형 대장균의 감염 예방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여 새로운 생백신 후보주를 제작하였고, 이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계태아 치사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공시한 생백신 후보주는 부화 중인 종란에서 생존, 증식할 수 있지만 계태아 조직으로 침투하여 조직 내에서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이러한 생백신 후보주는 불활화 백신에 비해 방어효능이 우수할 것으로 기대되며, 현재 생백신의 음수 접종으로 계균에 세포성 면역반응과 감염 방어능력을 평가하는 백신의 유효성 평가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APEC O78 혈청형의 경우 일반적인 대장균에 비해 조직 침투성과 병원성 정도(virulence)가 높아 사균체 백신으로 유도되는 항체 의존성 면역반응으로는 방어에 충분하지 못하고, 생균백신으로 세포성 면역반응이 동시에 유도되어야 감염 방어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APEC 감염의 특수성과 백신의 필요성을 고려해 보았을 때 새롭고 유효한 생백신의 개발은 국내외 양계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될 것이다.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Korean J. Vet. Serv. 2024; 47(4): 277-281
Published online December 30, 2024 https://doi.org/10.7853/kjvs.2024.47.4.277
Copyright © The Korean Socitety of Veterinary Service.
김양범1,2ㆍ김도경3ㆍ김상현1*
경상국립대학교 수의과대학1, 용인예술과학대학교 반려동물보건과2, 동명대학교 반려동물보건학과3
Yang-Beom Kim 1,2, Do-Kyoung Kim 3, Sang-Hyun Kim 1*
1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GNU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828, Korea
2Department of Companion Animal Health, Yong-In Arts & Science University, Yongin 17145, Korea
3Department of Companion Animal Health, Tongmyoung University, Busan 48520, Korea
Correspondence to:Sang-Hyun Kim
E-mail: vetmicro@gnu.ac.kr
https://orcid.org/0000-0003-0432-0573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Chicken colibacillosis caused by infection with avian pathogenic Escherichia coli (APEC) O78 serotype can bring about prevalent economic losses and it could be ongoing concern in poultry industry. It is attempted to create a mutant strain of APEC O78 isolate, in order to attenuate the virulence of APEC O78, with a view to creating a potential candidate of live-attenuated vaccine to be used for broiler chickens. A genetic mutation in the phosphate transporter (pst) gene was constructed in this study to lessen the virulence of the APEC O78 isolate. The resulting pst mutant of APEC O78 was verified by whole genome sequencing to see whether virulence gene profile was changed during the procedure of the pst mutation. For the safety evaluation of the pst mutant of APEC O78, a potential candidate of live-attenuated vaccine, chicken embryo lethality test was carried out with specific pathogen-free (SPF) embryonated eggs. The results from the embryo lethality test showed that the infectivity and virulence of APEC O78 pst mutant towards chicken embryo was greatly lessened enough to be used as a safe live-attenuated vaccine.
Keywords: Chicken colibacillosis, APEC O78, Live-attenuated vaccine, Embryo lethality test
닭대장균증(chicken colibacillosis)은 닭의 대장에 정착하는 대장균 무리에서 혈청형 O78, O1, O2 등의 균체 항원을 가진 닭병원성 대장균(APEC; avin pathogenic
닭대장균증 발병에 대응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제 수단은 효과적인 APEC 감염 방어 백신을 개발하는 것이다. 그동안 자가백신 개념으로 불활화 시킨 사균체(bacterin)를 백신항원으로 사용하기도 하였고(Ebrahimi-Nik 등, 2018), APEC 대장균 유래 외막소포체(OMV; outer membrane vesicle)를 수집하여 실험적인 백신물질로 사용한 예도 보고되었다(Wang 등, 2019). 하지만 이러한 불활화 백신의 경우 항체의존성 면역반응이 유도되나, 생백신에 비해 상대적으로 방어효능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Sadeyen 등, 2015; Islam과 Rahman, 2023). APEC O78 혈청형의 경우 일반적인 대장균에 비해 조직 침투성과 병원성(virulence)이 높아 생균백신으로 세포성 면역반응이 함께 유도되어야 감염 방어에 더 유효할 것이다. 따라서, APEC 예방용 생백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현재 APEC 생백신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Fernandes 등, 2013). 시판 중인 생백신(Poulvac® E. coli, Zoetis)의 경우 O78
본 연구팀은 (주)코미팜의 지원을 받아 colisepticemia를 일으키는 APEC O78에 의한 감염을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새로운 백신주를 창출하여 수입 백신을 대체할 수 있으면서 동등한 안전성과 효능을 가진 생백신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신규 백신 개발 전략을 바탕으로 초생추에 적용할 수 있는 충분한 안전성과 함께 기존 백신과 동등한 방어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생백신 후보주를 창출하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백신에서 이용한 APEC
연구에 사용한 O78 혈청형 APEC 야외주(wild-type)는 국내에서 분리한 균주이며, 이를 모체(parental strain)로 삼아 유전자 재조합 방법으로
생백신 후보주로서 새로 제작된 APEC O78
Table 1 . Chicken embryo lethality test for safety evaluation of APEC O78 pst mutant.
Group of inoculation | No. of embryonated SPF eggs | APEC inoculum (cfu per 0.1 mL) |
---|---|---|
G-1 APEC O78 (wild-type) | 20 | 1.0×102 |
G-2 APEC | 20 | 1.0×102 |
G-3 PBS (sterile) inoculation | 10 | - |
G-4 Non-inoculation Control | 10 | - |
닭에서 colisepticemia를 일으키는 APEC O78 대장균 감염 예방을 위하여 본 연구를 통해 새로운 생백신 후보주를 제작하고, 백신 후보주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embryo lethality test (계태아 치사성 시험)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독창성은 기존 시판 중인 생백신주(APEC O78
Table 2의 계태아 치사성 시험 결과를 보면, 그룹 1의 APEC 야외주 접종군의 경우 접종 후 7일간 관찰 결과 65%의 계태아 치사율이 나타났지만, 그룹 2의 생백신 후보주 접종군에서는 접종 후 7일째 1수가 폐사되어, 5%의 폐사율을 보였다. 이러한 치사율의 차이로 보아, 백신주의 계태아 감염력 및 병원성 정도가 야외주와 비교하여 안전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시험 종란에서 장뇨막강 액과 계태아 조직에 존재하는 APEC 대장균의 균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MacConkey agar에 조직액을 배양하고 분리균을 동정하였다. 예상대로 폐사가 발생하지 않은 대조군(그룹 3 및 4)에서는 종란에서 어떠한 대장균도 분리되지 않았다. 야외주 접종군(그룹 1)의 경우 모든 폐사체의 장뇨막강 액과 태아 조직에서 셀수 없이 많은 대장균이 배양되었다. 하지만, 백신주 접종군(그룹 2)의 경우 유일한 폐사가 접종 후 7일째 나타났으며, 장뇨막강 액에서는 백신주 대장균이 배양되었지만 계태아 조직에서는 백신주의 콜로니가 형성되지 않았다. 또한, 접종 후 7일간 폐사가 일어나지 않았던 생존란을 대상으로 접종한 대장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장뇨막강 액과 태아 조직을 각각 배양하였다. 그룹 1에서 야외주를 접종 받은 생존란에서는 장뇨막강 액과 계태아 조직에서 많은 대장균이 배양되었지만, 그룹 2에서 백신주를 접종받은 생존란에서는 장뇨막강 액에서만 백신주 대장균이 배양되었고 계태아 조직에서는 대장균이 분리되지 않았다. 그룹 2에서 백신주를 접종한 후 7일째 한 개체의 폐사가 발생하였지만, 계태아 조직에서는 대장균이 배양되지 않은 이유로는 여러 가능성을 유추해 볼 수 있으나, 야외주의 경우처럼 계태아 조직 내에서 접종균의 증식과 병원성 발현으로 인한 폐사는 아닌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생백신주의 안전성 시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연구에서 신규 제작하여 공시한 생백신 후보주는 부화 중인 종란에서 생존, 증식할 수 있지만 계태아 조직으로 침투하여 조직 내에서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Table 2 . Monitoring results of embryonic death during the lethality test period.
Group of inoculation | No. of dead embryos in the eggs after APEC inoculation | Total death count | Lethality rate | ||||||
---|---|---|---|---|---|---|---|---|---|
1-dpi | 2-dpi | 3-dpi | 4-dpi | 5-dpi | 6-dpi | 7-dpi | |||
G-1 APEC O78 (wild type) | 1 | 2 | 3 | 3 | 1 | 2 | 1 | 13/20 | 65% |
G-2 APEC mutant | 0 | 0 | 0 | 0 | 0 | 0 | 1 | 1/20 | 5% |
G-3 PBS inoculation | 0 | 0 | 0 | 0 | 0 | 0 | 0 | 0/10 | 0 |
G-4 Non-inoculation control | 0 | 0 | 0 | 0 | 0 | 0 | 0 | 0/10 | 0 |
한편, 계태아 치사성 시험에 사용한 각 그룹별로 생존란과 폐사란에서 APEC 감염 계태아의 이상 유무와 병변을 관찰하였고, 부검을 통해 여러 장기에서 병변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계태아 관찰하고 부검한 결과, APEC 감염 계태아의 간(liver)에서 염증성 병변과 간 종대가 관찰되었다(Fig. 2). 백신주 접종군에서 생존한 계태아의 간에서는 미약한 염증성 병변(Fig. 2C)이 나타났지만, 야외주 접종군에서 폐사된 계태아의 부검 소견에서는 확연하게(대략 2배 이상) 간 종대가 관찰되었다(Fig. 2D).
닭에서 colisepticemia를 일으키는 APEC O78 혈청형 대장균의 감염 예방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여 새로운 생백신 후보주를 제작하였고, 이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계태아 치사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공시한 생백신 후보주는 부화 중인 종란에서 생존, 증식할 수 있지만 계태아 조직으로 침투하여 조직 내에서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이러한 생백신 후보주는 불활화 백신에 비해 방어효능이 우수할 것으로 기대되며, 현재 생백신의 음수 접종으로 계균에 세포성 면역반응과 감염 방어능력을 평가하는 백신의 유효성 평가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APEC O78 혈청형의 경우 일반적인 대장균에 비해 조직 침투성과 병원성 정도(virulence)가 높아 사균체 백신으로 유도되는 항체 의존성 면역반응으로는 방어에 충분하지 못하고, 생균백신으로 세포성 면역반응이 동시에 유도되어야 감염 방어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APEC 감염의 특수성과 백신의 필요성을 고려해 보았을 때 새롭고 유효한 생백신의 개발은 국내외 양계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될 것이다.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Table 1 . Chicken embryo lethality test for safety evaluation of APEC O78 pst mutant.
Group of inoculation | No. of embryonated SPF eggs | APEC inoculum (cfu per 0.1 mL) |
---|---|---|
G-1 APEC O78 (wild-type) | 20 | 1.0×102 |
G-2 APEC | 20 | 1.0×102 |
G-3 PBS (sterile) inoculation | 10 | - |
G-4 Non-inoculation Control | 10 | - |
Table 2 . Monitoring results of embryonic death during the lethality test period.
Group of inoculation | No. of dead embryos in the eggs after APEC inoculation | Total death count | Lethality rate | ||||||
---|---|---|---|---|---|---|---|---|---|
1-dpi | 2-dpi | 3-dpi | 4-dpi | 5-dpi | 6-dpi | 7-dpi | |||
G-1 APEC O78 (wild type) | 1 | 2 | 3 | 3 | 1 | 2 | 1 | 13/20 | 65% |
G-2 APEC mutant | 0 | 0 | 0 | 0 | 0 | 0 | 1 | 1/20 | 5% |
G-3 PBS inoculation | 0 | 0 | 0 | 0 | 0 | 0 | 0 | 0/10 | 0 |
G-4 Non-inoculation control | 0 | 0 | 0 | 0 | 0 | 0 | 0 | 0/1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