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links
Korean J. Vet. Serv. 2024; 47(2): 81-87
Published online June 30, 2024
https://doi.org/10.7853/kjvs.2024.47.2.81
© The Korean Socitety of Veterinary Service
박태묵1ㆍ조길재2ㆍ양영진3ㆍ류일선4*
한국마사회 제주경마공원 동물병원1,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2, 조은말동물병원3, 아시아동물의학연구소4
Correspondence to : Il-Sun Ryu
E-mail: aami58@hanmail.net
https://orcid.org/0000-0002-4226-5635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From July to December 2022, we investigated the incidence of enteric pathogens causing diarrhea in calves under 100 days old at 22 farms across Korea. A total of 354 calves (including 247 dairy calves and 107 Korean native calves) were included. We used commercially available rapid diagnostic kits to identify five enteric pathogens, including bovine rotavirus (BRV), bovine coronavirus (BCoV), Cryptosporidium. Escherichia coli (E. coli), and Giardia. This study investigated how factors such as age, season, and birth month, which can influence the incidence of intestinal pathogens, affect the incidence of these pathogens in diarrheic dairy calves and Korean native calves. Our study found that the incidence of diarrhea-causing pathogens differed between dairy and Korean native calves. In diarrheic dairy calves, bovine rotavirus (BRV) incidence rates, correlated with season and birth month. Similarly, Cryptosporidium incidence C were associated with age and season, while Giardia incidence rates varied by season and birth month. Korean native calves, on the other hand, exhibited seasonal and birth month-related variations in BRV incidence rates, with Cryptosporidium incidence rates influenced by birth month.
Keywords Korean native calf, Dairy calf, Diarrhea, BRV, BCoV, Cryptosporidium, Giardia, E. coli
설사병은 분변내 수분의 양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소화기 질환의 임상증상으로서 소장의 흡수와 분비 기능의 불균형, 대장의 운동 능력 이상 등이 원인이 되어 발병한다(Heo 등, 2008). 송아지 설사병은 출생 직후 부터 2개월령 이하의 신생우에서 주로 다발한다(Kang 등, 2001; Hur 등, 2013; Kim 등, 2015; Lorenz 등, 2021). 발열, 식욕 저하 등의 가벼운 증상부터 기립불량, 탈수, 허탈, 또는 저체온증 같은 치명적인 증상까지 나타내며 장기간 지속되거나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폐사에 이르게 하기도 한다(Schroeder 등, 2012). 이처럼, 송아지 설사병은 폐사로 인한 직접적인 손실뿐만 아니라 회복 이후의 사료효율 저하로 인한 간접적인 손실을 초래하는 등 소 사육농가의 경영에 큰 위협을 주고 있다(Izzo 등, 2011).
축사 시설의 개선, 소 품종의 개량, 사료 및 영양제의 공급 차별화 등 사양관리 기법의 많은 발전에도 불구하고, 이유전에 폐사하는 송아지의 50% 이상이 소화기 질병이 원인일 정도로 설사로 인한 폐사율은 여전히 높다(Hur 등, 2013). 목장의 규모가 커질수록 밀집 사육으로 인한 질병의 확산이 빨라지며, 다른 가축과 함께 사육하는 것도 설사병의 발병 위험을 증가시킨다(Klein-Jöbstl 등, 2014). 송아지 설사병은 초유의 질과 섭취량, 송아지의 수유 능력 및 영양 상태 같은 송아지의 면역 상태(Kim 등, 1990), 축사의 규모나 위생 상태 같은 사양 환경 등 다양한 요인들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는다(Trotz-Williams 등, 2008).
송아지의 설사병을 유발하는 원인은 다양하지만,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감염이 설사병 발병의 주원인이다. 대표적인 병원체로는 bovine rotavirus (BRV), bovine coronavirus (BCoV),
송아지 설사병의 발병 원인은 매우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거의 비슷한 증상을 보이기 때문에 초기에 정확한 진단을 하는 것이 쉽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속진단 키트를 이용하여 젖소 송아지와 한우 송아지의 설사병 발병에 관여하는 병원체의 발생율 차이를 조사하는 것이다.
2022년 7월부터 12월까지 전국의 소 사육농가 22개 목장에서 설사 증상을 보이는 100일령 이하의 송아지 354두(젖소 송아지 247두, 한우 송아지 107두)를 대상으로 일회용 장갑을 착용 후 직장에 자극을 주어 분변을 채취하였다. 분변 시료를 냉장 상태를 유지하며 실험실로 운반하여 송아지 설사병 항원 5종(BRV, BCoV,
통계분석은 SPSS 프로그램 version 26.0 (IBM Corp., Armonk, NY, USA)을 이용하였다. 진단키트를 이용한 설사병 송아지의 분변 검사에서 양성인 군을 대상으로 나이, 계절, 출생시기별로 일반적 특성과 BRV, BCoV,
젖소와 한우 설사병 송아지를 대상으로 주요 설사병 병원체인 BRV, BCoV,
Table 1 . The incidence rate of enteric pathogens in calves with diarrhea using the rapid diagnostic kit
BRV* | BcoV† | Crypto‡ | Dairy cow (%) | KNC** (%) | ||||
---|---|---|---|---|---|---|---|---|
Positive | Simple incidence | + | − | − | − | − | 38 (15.4) | 49 (45.8) |
− | + | − | − | − | 4 (1.6) | 0 (0) | ||
− | − | + | − | − | 17 (6.9) | 7 (6.5) | ||
− | − | − | + | − | 21 (8.5) | 5 (4.7) | ||
Complex incidence | + | + | − | − | − | 12 (4.9) | 0 (0) | |
+ | − | + | − | − | 25 (10.1) | 1 (0.9) | ||
+ | − | − | + | − | 22 (8.9) | 7 (6.5) | ||
+ | − | − | − | + | 1 (0.4) | 0 (0) | ||
− | + | + | − | − | 3 (1.2) | 0 (0) | ||
− | + | − | + | − | 1 (0.4) | 0 (0) | ||
− | − | + | + | − | 6 (2.4) | 1 (0.9) | ||
+ | + | + | − | − | 1 (0.4) | 0 (0) | ||
+ | + | + | − | − | 9 (3.6) | 1 (0.9) | ||
+ | − | + | + | − | 10 (4.0) | 0 (0) | ||
− | + | + | + | − | 3 (1.2) | 0 (0) | ||
+ | + | + | + | − | 4 (1.6) | 0 (0) | ||
Negative | − | − | − | − | − | 70 (28.3) | 36 (33.6) |
*BRV, bovine rotavirus; †BCoV, bovine coronavirus; ‡Crypto,
5종의 병원체 모두 4주령 이하의 송아지에서 발생율이 최고로 높았다가, 성장할수록 병원체의 발생율이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두 품종에서 공통적으로 보여주었으며, 본 연구의 유일한
계절에 따라서도 송아지 설사병 병원체의 발생율이 달라졌는데, BRV는 젖소 송아지에서는 여름인 8월에(
설사병을 유발하는 병원체의 발생율이 송아지의 출생시기에 따라서도 다르게 나타났다(Fig. 4). 5월생 젖소 송아지의 경우, BRV와(
송아지 설사병은 높은 폐사율과 회복 후의 성장 지연 및 다른 질병의 발병 위험성 증가로 인해 축산 농가 경영의 큰 위협 요인이다(Kang 등, 2001; Kim 등, 2015; Lorenz 등, 2021). 설사병은 송아지의 면역상태나 태어난 계절, 우사의 청결상태 같은 비감염성 요인과 바이러스나 세균 및 원충 같은 다양한 감염성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한다(Gulliksen 등, 2009; Boileau와 Kapil, 2010).
전국의 37개 소 사육농가부터 설사병 송아지 354두를 대상으로 젖소 송아지와 한우 송아지의 소화기 병원체 발생율을 비교하였다. 젖소 설사병 송아지 247두 중 177두(71.7%), 한우 설사병 송아지는 107두 중 71두(88.4%)가 BRV, BCoV,
이전의 선행 연구에서 젖소 송아지와 한우 송아지의 복합 발생율을 비슷하였는데(Park 등, 2023a, b), 젖소 송아지와 한우 송아지의 감염 형태를 직접 비교한 본 연구에서는 젖소 송아지의 복합 발생율(54.8%) 한우 송아지(14.0%)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BRV는 대부분의 송아지에서 검출되며 송아지 설사병에 가장 중요한 병원체로 알려져 있다(Lee 등, 2007). 본 연구에서는 젖소 송아지는 단순 감염보다 복합 발생율이 높고, 한우 송아지는 단순 발생율이 더 높은 서로 다른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단일 병원체에 의한 감염보다 2가지 이상의 병원체에 복합 감염된 비율이 높았던 연구와 이전의 연구와 젖소 송아지는 일치하는 결과였지만, 한우 송아지는 다른 결과를 보여준 것이다(Park 등, 2023a, b).
본 연구에서 두 품종의 설사병 송아지는 모든 병원체에 대한 발생율이 4주령 이하의 송아지에서 가장 높고, 이후 송아지가 성장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2주령 이하의 설사병 송아지에 감염율이 가장 높았다가 점차 감소하는 나이에 따른 발생율의 차이를 나타낸 이전의 선행 연구와 일치하였다(Park 등, 2023a, b). 특히, 젖소 송아지는
이전의 선행 연구에서는 젖소 송아지와 한우 송아지 모두 발생율과 계절 변화와의 연관성에 대하여 보고하였다(Park 등, 2023a, b). 경남지역의 송아지는 봄, 여름, 가을, 겨울 순으로 소화기 질환이 많이 발병하였고(Jeong 등, 2012), 한우 송아지는 여름에 소화기 질환으로 인한 폐사율이 높게 보고되어 있다(Kang 등, 2001). 본 연구에서도 젖소 송아지와 한우 송아지 모두 계절에 따른 병원체의 발생율의 차이를 보였으며, 젖소 송아지는 BRV (
이전의 선행 연구에서는 출생시기도 5종 병원체에 발생율과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Park 등, 2023a, b). 1∼3월생 설사병 젖소 송아지와(Park 등, 2023b), 3∼4월생 설사병 한우 송아지는 장내 병원체에 대한 발생율이 다른 시기에 태어난 송아지 보다 높았는데(Park 등, 2023a), 이는 상대적으로 추운 계절에 분만한 어미소의 초유의 질이 낮고, 추위에 의한 신생 송아지의 면역력이 낮기 때문이다(Çolakoğlu 등, 2021). 본 연구에서도 출생시기에 따라 병원체 발생율의 차이가 났는데, 5월생 젖소 송아지는 BRV와(
본 연구는 2023년부터 7월부터 12월까지 6개월간의 짧은 기간 동안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전의 선행 연구들과 직접 비교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병원체에 대한 발생율의 차이는 송아지의 면역 상태, 사육 환경, 병원체의 전파력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지만 본 연구는 송아지의 나이, 계절, 출생시기에 대해서만 연구를 시행하였다는 한계도 있다. 송아지에서 설사병 병원체의 발생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송아지 설사병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5종의 병원체는 나이, 출생시기, 계절 따라 발생율의 차이를 보였으며, 품종에 따라서도 다른 영향을 주었다. 젖소 송아지는 BRV가 계절과 출생시기,
The online version contains supplementary material available at https://doi.org/10.7853/kjvs.2024.47.2.81.
kjvs-47-2-81-supple.pdfThe authors would like to express their gratitude to all the staff memb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Korean J. Vet. Serv. 2024; 47(2): 81-87
Published online June 30, 2024 https://doi.org/10.7853/kjvs.2024.47.2.81
Copyright © The Korean Socitety of Veterinary Service.
박태묵1ㆍ조길재2ㆍ양영진3ㆍ류일선4*
한국마사회 제주경마공원 동물병원1,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2, 조은말동물병원3, 아시아동물의학연구소4
Taemook Park 1, Gil Jae Cho 2, Young JIn Yang 3, Il-Sun Ryu 4*
1Equine Clinic, Jeju Racecourse, Korea Racing Authority, Jeju 63066, Korea
2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Korea
3Joeun Equine Hospital, Hamyang 50012, Korea
4Asia Animal Research Institute, Hwaseong 18633, Korea
Correspondence to:Il-Sun Ryu
E-mail: aami58@hanmail.net
https://orcid.org/0000-0002-4226-5635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From July to December 2022, we investigated the incidence of enteric pathogens causing diarrhea in calves under 100 days old at 22 farms across Korea. A total of 354 calves (including 247 dairy calves and 107 Korean native calves) were included. We used commercially available rapid diagnostic kits to identify five enteric pathogens, including bovine rotavirus (BRV), bovine coronavirus (BCoV), Cryptosporidium. Escherichia coli (E. coli), and Giardia. This study investigated how factors such as age, season, and birth month, which can influence the incidence of intestinal pathogens, affect the incidence of these pathogens in diarrheic dairy calves and Korean native calves. Our study found that the incidence of diarrhea-causing pathogens differed between dairy and Korean native calves. In diarrheic dairy calves, bovine rotavirus (BRV) incidence rates, correlated with season and birth month. Similarly, Cryptosporidium incidence C were associated with age and season, while Giardia incidence rates varied by season and birth month. Korean native calves, on the other hand, exhibited seasonal and birth month-related variations in BRV incidence rates, with Cryptosporidium incidence rates influenced by birth month.
Keywords: Korean native calf, Dairy calf, Diarrhea, BRV, BCoV, Cryptosporidium, Giardia, E. coli
설사병은 분변내 수분의 양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소화기 질환의 임상증상으로서 소장의 흡수와 분비 기능의 불균형, 대장의 운동 능력 이상 등이 원인이 되어 발병한다(Heo 등, 2008). 송아지 설사병은 출생 직후 부터 2개월령 이하의 신생우에서 주로 다발한다(Kang 등, 2001; Hur 등, 2013; Kim 등, 2015; Lorenz 등, 2021). 발열, 식욕 저하 등의 가벼운 증상부터 기립불량, 탈수, 허탈, 또는 저체온증 같은 치명적인 증상까지 나타내며 장기간 지속되거나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폐사에 이르게 하기도 한다(Schroeder 등, 2012). 이처럼, 송아지 설사병은 폐사로 인한 직접적인 손실뿐만 아니라 회복 이후의 사료효율 저하로 인한 간접적인 손실을 초래하는 등 소 사육농가의 경영에 큰 위협을 주고 있다(Izzo 등, 2011).
축사 시설의 개선, 소 품종의 개량, 사료 및 영양제의 공급 차별화 등 사양관리 기법의 많은 발전에도 불구하고, 이유전에 폐사하는 송아지의 50% 이상이 소화기 질병이 원인일 정도로 설사로 인한 폐사율은 여전히 높다(Hur 등, 2013). 목장의 규모가 커질수록 밀집 사육으로 인한 질병의 확산이 빨라지며, 다른 가축과 함께 사육하는 것도 설사병의 발병 위험을 증가시킨다(Klein-Jöbstl 등, 2014). 송아지 설사병은 초유의 질과 섭취량, 송아지의 수유 능력 및 영양 상태 같은 송아지의 면역 상태(Kim 등, 1990), 축사의 규모나 위생 상태 같은 사양 환경 등 다양한 요인들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는다(Trotz-Williams 등, 2008).
송아지의 설사병을 유발하는 원인은 다양하지만,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감염이 설사병 발병의 주원인이다. 대표적인 병원체로는 bovine rotavirus (BRV), bovine coronavirus (BCoV),
송아지 설사병의 발병 원인은 매우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거의 비슷한 증상을 보이기 때문에 초기에 정확한 진단을 하는 것이 쉽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속진단 키트를 이용하여 젖소 송아지와 한우 송아지의 설사병 발병에 관여하는 병원체의 발생율 차이를 조사하는 것이다.
2022년 7월부터 12월까지 전국의 소 사육농가 22개 목장에서 설사 증상을 보이는 100일령 이하의 송아지 354두(젖소 송아지 247두, 한우 송아지 107두)를 대상으로 일회용 장갑을 착용 후 직장에 자극을 주어 분변을 채취하였다. 분변 시료를 냉장 상태를 유지하며 실험실로 운반하여 송아지 설사병 항원 5종(BRV, BCoV,
통계분석은 SPSS 프로그램 version 26.0 (IBM Corp., Armonk, NY, USA)을 이용하였다. 진단키트를 이용한 설사병 송아지의 분변 검사에서 양성인 군을 대상으로 나이, 계절, 출생시기별로 일반적 특성과 BRV, BCoV,
젖소와 한우 설사병 송아지를 대상으로 주요 설사병 병원체인 BRV, BCoV,
Table 1 . The incidence rate of enteric pathogens in calves with diarrhea using the rapid diagnostic kit.
BRV* | BcoV† | Crypto‡ | Dairy cow (%) | KNC** (%) | ||||
---|---|---|---|---|---|---|---|---|
Positive | Simple incidence | + | − | − | − | − | 38 (15.4) | 49 (45.8) |
− | + | − | − | − | 4 (1.6) | 0 (0) | ||
− | − | + | − | − | 17 (6.9) | 7 (6.5) | ||
− | − | − | + | − | 21 (8.5) | 5 (4.7) | ||
Complex incidence | + | + | − | − | − | 12 (4.9) | 0 (0) | |
+ | − | + | − | − | 25 (10.1) | 1 (0.9) | ||
+ | − | − | + | − | 22 (8.9) | 7 (6.5) | ||
+ | − | − | − | + | 1 (0.4) | 0 (0) | ||
− | + | + | − | − | 3 (1.2) | 0 (0) | ||
− | + | − | + | − | 1 (0.4) | 0 (0) | ||
− | − | + | + | − | 6 (2.4) | 1 (0.9) | ||
+ | + | + | − | − | 1 (0.4) | 0 (0) | ||
+ | + | + | − | − | 9 (3.6) | 1 (0.9) | ||
+ | − | + | + | − | 10 (4.0) | 0 (0) | ||
− | + | + | + | − | 3 (1.2) | 0 (0) | ||
+ | + | + | + | − | 4 (1.6) | 0 (0) | ||
Negative | − | − | − | − | − | 70 (28.3) | 36 (33.6) |
*BRV, bovine rotavirus; †BCoV, bovine coronavirus; ‡Crypto,
5종의 병원체 모두 4주령 이하의 송아지에서 발생율이 최고로 높았다가, 성장할수록 병원체의 발생율이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두 품종에서 공통적으로 보여주었으며, 본 연구의 유일한
계절에 따라서도 송아지 설사병 병원체의 발생율이 달라졌는데, BRV는 젖소 송아지에서는 여름인 8월에(
설사병을 유발하는 병원체의 발생율이 송아지의 출생시기에 따라서도 다르게 나타났다(Fig. 4). 5월생 젖소 송아지의 경우, BRV와(
송아지 설사병은 높은 폐사율과 회복 후의 성장 지연 및 다른 질병의 발병 위험성 증가로 인해 축산 농가 경영의 큰 위협 요인이다(Kang 등, 2001; Kim 등, 2015; Lorenz 등, 2021). 설사병은 송아지의 면역상태나 태어난 계절, 우사의 청결상태 같은 비감염성 요인과 바이러스나 세균 및 원충 같은 다양한 감염성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한다(Gulliksen 등, 2009; Boileau와 Kapil, 2010).
전국의 37개 소 사육농가부터 설사병 송아지 354두를 대상으로 젖소 송아지와 한우 송아지의 소화기 병원체 발생율을 비교하였다. 젖소 설사병 송아지 247두 중 177두(71.7%), 한우 설사병 송아지는 107두 중 71두(88.4%)가 BRV, BCoV,
이전의 선행 연구에서 젖소 송아지와 한우 송아지의 복합 발생율을 비슷하였는데(Park 등, 2023a, b), 젖소 송아지와 한우 송아지의 감염 형태를 직접 비교한 본 연구에서는 젖소 송아지의 복합 발생율(54.8%) 한우 송아지(14.0%)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BRV는 대부분의 송아지에서 검출되며 송아지 설사병에 가장 중요한 병원체로 알려져 있다(Lee 등, 2007). 본 연구에서는 젖소 송아지는 단순 감염보다 복합 발생율이 높고, 한우 송아지는 단순 발생율이 더 높은 서로 다른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단일 병원체에 의한 감염보다 2가지 이상의 병원체에 복합 감염된 비율이 높았던 연구와 이전의 연구와 젖소 송아지는 일치하는 결과였지만, 한우 송아지는 다른 결과를 보여준 것이다(Park 등, 2023a, b).
본 연구에서 두 품종의 설사병 송아지는 모든 병원체에 대한 발생율이 4주령 이하의 송아지에서 가장 높고, 이후 송아지가 성장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2주령 이하의 설사병 송아지에 감염율이 가장 높았다가 점차 감소하는 나이에 따른 발생율의 차이를 나타낸 이전의 선행 연구와 일치하였다(Park 등, 2023a, b). 특히, 젖소 송아지는
이전의 선행 연구에서는 젖소 송아지와 한우 송아지 모두 발생율과 계절 변화와의 연관성에 대하여 보고하였다(Park 등, 2023a, b). 경남지역의 송아지는 봄, 여름, 가을, 겨울 순으로 소화기 질환이 많이 발병하였고(Jeong 등, 2012), 한우 송아지는 여름에 소화기 질환으로 인한 폐사율이 높게 보고되어 있다(Kang 등, 2001). 본 연구에서도 젖소 송아지와 한우 송아지 모두 계절에 따른 병원체의 발생율의 차이를 보였으며, 젖소 송아지는 BRV (
이전의 선행 연구에서는 출생시기도 5종 병원체에 발생율과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Park 등, 2023a, b). 1∼3월생 설사병 젖소 송아지와(Park 등, 2023b), 3∼4월생 설사병 한우 송아지는 장내 병원체에 대한 발생율이 다른 시기에 태어난 송아지 보다 높았는데(Park 등, 2023a), 이는 상대적으로 추운 계절에 분만한 어미소의 초유의 질이 낮고, 추위에 의한 신생 송아지의 면역력이 낮기 때문이다(Çolakoğlu 등, 2021). 본 연구에서도 출생시기에 따라 병원체 발생율의 차이가 났는데, 5월생 젖소 송아지는 BRV와(
본 연구는 2023년부터 7월부터 12월까지 6개월간의 짧은 기간 동안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전의 선행 연구들과 직접 비교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병원체에 대한 발생율의 차이는 송아지의 면역 상태, 사육 환경, 병원체의 전파력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지만 본 연구는 송아지의 나이, 계절, 출생시기에 대해서만 연구를 시행하였다는 한계도 있다. 송아지에서 설사병 병원체의 발생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송아지 설사병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5종의 병원체는 나이, 출생시기, 계절 따라 발생율의 차이를 보였으며, 품종에 따라서도 다른 영향을 주었다. 젖소 송아지는 BRV가 계절과 출생시기,
The online version contains supplementary material available at https://doi.org/10.7853/kjvs.2024.47.2.81.
kjvs-47-2-81-supple.pdfThe authors would like to express their gratitude to all the staff memb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Table 1 . The incidence rate of enteric pathogens in calves with diarrhea using the rapid diagnostic kit.
BRV* | BcoV† | Crypto‡ | Dairy cow (%) | KNC** (%) | ||||
---|---|---|---|---|---|---|---|---|
Positive | Simple incidence | + | − | − | − | − | 38 (15.4) | 49 (45.8) |
− | + | − | − | − | 4 (1.6) | 0 (0) | ||
− | − | + | − | − | 17 (6.9) | 7 (6.5) | ||
− | − | − | + | − | 21 (8.5) | 5 (4.7) | ||
Complex incidence | + | + | − | − | − | 12 (4.9) | 0 (0) | |
+ | − | + | − | − | 25 (10.1) | 1 (0.9) | ||
+ | − | − | + | − | 22 (8.9) | 7 (6.5) | ||
+ | − | − | − | + | 1 (0.4) | 0 (0) | ||
− | + | + | − | − | 3 (1.2) | 0 (0) | ||
− | + | − | + | − | 1 (0.4) | 0 (0) | ||
− | − | + | + | − | 6 (2.4) | 1 (0.9) | ||
+ | + | + | − | − | 1 (0.4) | 0 (0) | ||
+ | + | + | − | − | 9 (3.6) | 1 (0.9) | ||
+ | − | + | + | − | 10 (4.0) | 0 (0) | ||
− | + | + | + | − | 3 (1.2) | 0 (0) | ||
+ | + | + | + | − | 4 (1.6) | 0 (0) | ||
Negative | − | − | − | − | − | 70 (28.3) | 36 (33.6) |
*BRV, bovine rotavirus; †BCoV, bovine coronavirus; ‡Crypto,
Taemook Park, Gil Jae Cho, Young Jin Yang, Il-Sun Ryu
Korean J. Vet. Serv. 2023; 46(1): 47-58 https://doi.org/10.7853/kjvs.2023.46.1.47Taemook Park, Gil Jae Cho, Young Jin Yang, Il-Sun Ryu
Korean J. Vet. Serv. 2023; 46(2): 147-156 https://doi.org/10.7853/kjvs.2023.46.2.147Hyun Sook Shin, Keun-Ho Kim, Jin Sung Seo, Young Wook Kim, Suk-Kyung Lim, Byeong Yeal Jung
Korean J. Vet. Serv. 2023; 46(1): 35-45 https://doi.org/10.7853/kjvs.2023.46.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