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links
Korean J. Vet. Serv. 2022; 45(3): 171-180
Published online September 30, 2022
https://doi.org/10.7853/kjvs.2022.45.3.171
© The Korean Socitety of Veterinary Service
조재근*ㆍ이정우ㆍ김정옥ㆍ김정미
대구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Correspondence to : Jae-Keun Cho
E-mail: salmonella00@korea.kr
https://orcid.org/0000-0003-3498-8101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virulence factors in staphylococci isolated from canine otitis externa. A total 295 causative microorganisms were isolated. The most common isolated species were Staphylococcus (S) pseudintermedius (94 isolates) followed by Pseudomonas aeruginosa (60 isolates), S. schleiferi (25 isolates), Escherichia coli (23 isolates) and Proteus mirabilis (20 isolates). Staphylococci isolates were showed high resistance to penicillin (78.6%), erythromycin (55.9%), tetracycline (52.4%), clindamycin (51.7%) and ciprofloxacin (42.8%). Of the 145 staphylococci isolates, 49 (33.8%)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i (MRS) were observed, distributed among S. pseudintermedius (n=34), S. schleiferi (n=6), S. epidermis (n=4), S. hominis (n=2), S. aureus, S. caprae and S. saprophyticus (n=1, respectively). Forty-three (87.8%) of 49 MRS and 10 (10.4%) of 96 methicillin—susceptibility staphylococci harbored mecA gene. About 80% of MRS were multidrug-resistant with resistance to at least one antibiotic in three or more antibiotic classes. Resistance genes blaZ (93/114, 81.5%), ermB (35/81, 43.2%), ermC (3/81, 3.7%), aacA-aphD (50/54, 92.5%), tetM (69/76, 90.7%) and tetK (6/76, 7.8%) were detected among resistant isolates. Virulence factors genes lukF and lukS were found in 100%(145/145) and 43.4%(63/145), respectively. Genes encoding ermA, eta , etb and tsst were not detected.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which investigated for the presence of genes encoding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staphylococcal toxins in staphylococci isolated from canine otitis externa. A continuous monitoring and surveillance program to prevent antimicrobial resistance in companion animals is demanded.
Keywords Dog, Staphylococcus, Antimicrobial resistance, Resistance genes, Virulence factors
개에서 가장 흔한 귀의 질환인 외이염은 세균, 효모균, 진균 등의 여러 감염원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호발 질환으로 발생률은 7.5%∼16.5%이다(Miller 등, 2013).
외이염의 치료를 위해 선택되는 약제는 국소적인 투약과 전신적인 투약이 병행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우선적으로 경험적 항생제가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항생제의 장기간 사용은 치료의 실패 또는 내성균 출현의 원인이 되고 있다(Petersen 등, 2002). 반려동물은 항생제 내성의 저장소 역할을 하며, 항생제 내성균 또는 내성 유전자는 직간접적으로 사람 및 환경에 전파될 수 있다(Guardabassi 등, 2004). Staphylococci에서 항생제 내성은 여러 가지 내성 유전자에 의해 발현된다. 특히 methicillin 내성 staphylococci (MRS)는 사람과 동물의 주요 병원체로 내성 획득은 penicillin-binding protein-2a의 생산을 암호화하는
Staphylococci는 다양한 독성 인자를 생산하며 숙주의 면역반응을 방해하여 중증의 감염을 일으킨다. 이들 독소로는 식중독의 원인이 되는 staphylococcal enterotoxin, toxic shock syndrome을 유발하는 toxic shock syndrome toxin (
최근까지 국내에서 외이염, 농피증 같은 피부질환이 있는 개에서 staphylococci에 관한 연구의 대부분은
2019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대구지역 동물병원에서 외이염의 증상을 보인 개 330두의 외이도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균 분리를 실시하였다. 멸균 면봉에 스왑한 시료를 Blood agar (아산제약, Korea)와 MacConkey agar (Oxoid, UK)에 직접 도말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 후, 의심되는 집락은 Trypticase soy agar (Oxoid, UK)에서 순수 분리 후 MALDI-TOF MS (Bruker Daltonics, Bremen, Germany)를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항균제 감수성 시험은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의 기준(2017)에 따라 디스크 확산법으로 실시하였다. 항생제 디스크는 Oxoid사(UK)의 oxacillin (1 μg, OX), cefoxitin (30 μg, FOX), penicillin (10 UI, PC), gentamicin (10 μg, GM), amikacin (30 μg, AN), tobramycin (10 μg, TB), erythromycin (15 μg, EM), tetracycline (30 μg, TC), minocycline (30 μg, MC), ciprofloxacin (5 μg, CIP), enrofloxacin (10 μg, ENR), clindamycin (2 μg, DA),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1.25/23.75 μg, SXT), chloramphenicol (30 μg, CM), rifampin (5 μg, RD), quinupristin-dalfopristin (15 μg, QD), linezolid (30 μg, LZD) 등 17종을 공시하였다.
공시균에 대한 genomic DNA 추출은 boiling 법으로 실시하였다. 우선 tryptic soy broth (Oxoid, UK)에 접종하여 37℃에서 18∼24시간 진탕 배양하여 얻은 균 부유액 1.0 mL를 13,000 rpm에서 2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제거한 다음 멸균 증류수 0.5 mL로 재 부유하였다. 부유액은 끓는 물에 10분간 가열한 다음 1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취하여 template DNA로 사용하였다.
약제 내성 유전자(
외이염 증상을 보인 개 330두의 외이도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균 분리를 실시한 결과 총 36종 295주의 원인 미생물이 분리되었다(Table 1).
Table 1 . Distribution of 295 bacteria isolated from dogs with otitis externa
Genes | Bacterial species | No. of isolates (%) |
---|---|---|
2 (0.7) | ||
2 (0.7) | ||
1 (0.3) | ||
23 (7.8) | ||
1 (0.3) | ||
20 (6.8) | ||
5 (1.7) | ||
8 (2.7) | ||
1 (0.3) | ||
60 (20.3) | ||
2 (0.7) | ||
1 (0.3) | ||
1 (0.3) | ||
6 (2.0) | ||
5 (1.7) | ||
1 (0.3) | ||
4 (1.4) | ||
1 (0.3) | ||
5 (1.7) | ||
1 (0.3) | ||
1 (0.3) | ||
94 (31.9) | ||
1 (0.3) | ||
25 (8.5) | ||
1 (0.3) | ||
Others (n=23) | 5 (1.7) | |
3 (1.0) | ||
3 (1.0) | ||
3 (1.0) | ||
2 (0.7) | ||
2 (0.7) | ||
2 (0.7) | ||
1 (0.3) | ||
1 (0.3) | ||
1 (0.3) | ||
Total | 295 (100) |
Staphylococci 145주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시험 결과는 Table 2와 같다. Staphylococci의 86.2% (125주)가 사용된 한 종류 이상의 약제에 내성을 나타내었으며, 67.5% (98주)는 3가지 이상 계열의 항생제에 대해 내성을 보인 다약제 내성균이었다(Table 3). 전반적으로 staphylococci는 PC에 78.6%로 가장 높은 내성률을 나타내었고 다음은 EM 55.9%, TC 52.4%, DA 51.4%, CIP 42.8%, GM 34.5%, ENR 33.1%, SXT 30.3% 및 TB 20.7% 순이었다. MC, AN, CM, RD, QD 및 LZD에 대하여는 5% 이하의 내성률을 나타내었다. 항생제 감수성 결과를 균종별로 비교해 볼 때,
Table 2 .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145 staphylococci isolated from dogs with otitis externa
Antimicrobial agents | No. of resistant isolates (%) | |||||||
---|---|---|---|---|---|---|---|---|
S. pseudinter-medius (n=94) | Others* (n=6) | Total | ||||||
oxacillin or cefoxitin | 34 (36.2) | 6 (24.0) | 1 (16.7) | 1 (20.0) | 2 (40.0) | 4 (100) | 1 (16.7) | 49 (33.8) |
penicillin | 90 (95.7) | 4 (16.0) | 2 (33.3) | 5 (100) | 4 (80.0) | 4 (100) | 5 (83.3) | 114 (78.6) |
gentamicin | 42 (44.7) | 0 (0.0) | 1 (16.7) | 0 (0.0) | 3 (0.0) | 3 (75.0) | 1 (16.7) | 50 (34.5) |
amikacin | 0 (0.0) | 0 (0.0) | 0 (0.0) | 0 (0.0) | 0 (0.0) | 1 (25.0) | 1 (16.7) | 2 (1.4) |
tobramycin | 22 (23.4) | 0 (0.0) | 1 (16.7) | 0 (0.0) | 1 (20.0) | 4 (100) | 2 (33.3) | 30 (20.7) |
erythromycin | 73 (77.7) | 0 (0.0) | 0 (0.0) | 3 (60.0) | 2 (40.0) | 1 (25.0) | 2 (33.3) | 81 (55.9) |
tetracycline | 70 (74.5) | 0 (0.0) | 0 (0.0) | 1 (20.0) | 2 (40.0) | 2 (40.0) | 1 (16.7) | 76 (52.4) |
minocycline | 3 (3.2) | 0 (0.0) | 0 (0.0) | 0 (0.0) | 0 (0.0) | 0 (0.0) | 1 (16.7) | 4 (2.8) |
ciprofloxacin | 45 (47.9) | 6 (24.0) | 4 (66.7) | 2 (40.0) | 1 (20.0) | 2 (50.0) | 2 (33.3) | 62 (42.8) |
enrofloxacin | 37 (39.4) | 5 (20.0) | 2 (33.3) | 2 (40.0) | 1 (20.0) | 0 (0.0) | 1 (16.7) | 48 (33.1) |
clindamycin | 71 (75.5) | 0 (0.0) | 0 (0.0) | 1 (20.0) | 2 (40.0) | 1 (25.0) | 0 (0.0) | 75 (51.7) |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 41 (43.6) | 0 (0.0) | 0 (0.0) | 1 (20.0) | 2 (40.0) | 0 (0.0) | 0 (0.0) | 44 (30.3) |
chloramphenicol | 45 (47.9) | 0 (0.0) | 0 (0.0) | 1 (20.0) | 0 (0.0) | 0 (0.0) | 0 (0.0) | 1 (0.7) |
rifampin | 2 (2.1) | 0 (0.0) | 0 (0.0) | 0 (0.0) | 0 (0.0) | 0 (0.0) | 0 (0.0) | 2 (1.4) |
Quinupristin-Dalfopristin | 5 (5.3) | 0 (0.0) | 0 (0.0) | 0 (0.0) | 0 (0.0) | 0 (0.0) | 0 (0.0) | 5 (3.4) |
linezolid | 6 (6.4) | 0 (0.0) | 0 (0.0) | 0 (0.0) | 0 (0.0) | 0 (0.0) | 0 (0.0) | 6 (4.1) |
*
Table 3 . Distribution of multi-drug resistant in 145 staphylococci isolated from dogs with otitis externa
No. of antimicrobial classes | No. of resistant isolates (%) | |||||||
---|---|---|---|---|---|---|---|---|
Others (n=6) | Total | |||||||
3 | 6 | 1 | 1 | 2 | 2 | 12 (8.2) | ||
4 | 6 | 1 | 1 | 1 | 9 (6.2) | |||
5 | 15 | 1 | 1 | 1 | 18 (12.4) | |||
6 | 23 | 1 | 24 (16.5) | |||||
7 | 16 | 1 | 1 | 18 (12.4) | ||||
8 | 13 | 13 (8.9) | ||||||
9 | 4 | 4 (2.7) | ||||||
Total | 83 (67.5) | 1 (4.0) | 2 (33.3) | 2 (40.0) | 3 (60.0) | 4 (100) | 3 (50.0) | 98 (67.5) |
*
Staphylococci 145주 중 OX 또는 FOX에 내성을 보인 MRS는
Table 4 . Distribution of mecA gene in 145 staphylococci isolated from dogs with otitis externa
Species | No of isolates | Methicillin-resistant | Methicillin-susceptible | |||
---|---|---|---|---|---|---|
No. of isolates | No. of isolates | |||||
6 | 1 | 1 (100) | 5 | 1 (20.0) | ||
5 | 1 | 0 (0.0) | 4 | 0 (0.0) | ||
1 | 0 | 0 (0.0) | 1 | 0 (0.0) | ||
4 | 4 | 4 (100) | 0 | 0 (0.0) | ||
1 | 0 | 0 (0.0) | 1 | 0 (0.0) | ||
5 | 2 | 2 (100) | 3 | 0 (0.0) | ||
1 | 0 | 0 (0.0) | 1 | 0 (0.0) | ||
1 | 0 | 0 (0.0) | 1 | 0 (0.0) | ||
94 | 34 | 29 (85.3) | 60 | 7 (11.7) | ||
1 | 1 | 1 (100) | 0 | 0 (0.0) | ||
25 | 6 | 6 (100) | 19 | 2 (10.5) | ||
1 | 0 | 0 (0.0) | 1 | 0 (0.0) | ||
Total | 145 | 49 | 43 (87.8) | 96 | 10 (10.4) |
각각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인 균주를 대상으로 내성 유전자의 보유현황을 조사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Table 5 . Prevalence of antimicrobial resistance genes in antimicrobial resistant 145 staphylococci isolated from dogs with otitis externa
Species | No. of positive isolates (%) | ||||||
---|---|---|---|---|---|---|---|
1/2 (50.0) | 0/0 (0.0) | 0/0 (0.0) | 0/0 (0.0) | 1/1 (100) | 0/0 (0.0) | 0/0 (0.0) | |
2/5 (40.0) | 0/3 (0.0) | 1/3 (33.3) | 0/3 (0.0) | 0/0 (0.0) | 0/1 (0.0) | 1/1 (100) | |
1/1 (100) | 0/0 (0.0) | 0/0 (0.0) | 0/0 (0.0) | 0/1 (0.0) | 0/0 (0.0) | 0/0 (0.0) | |
4/4 (100) | 0/1 (0.0) | 0/1 (0.0) | 1/1 (100) | 3/4 (75.0) | 2/2 (100) | 0/2 (0.0) | |
3/4 (75.0) | 0/2 (0.0) | 0/2 (0.0) | 2/2 (100) | 3/3 (100) | 1/2 (50.0) | 1/2 (50.0) | |
1/1 (100) | 0/1 (0.0) | 0/1 (0.0) | 0/1 (0.0) | 0/1 (0.0) | 0/1 (0.0) | 0/1 (0.0) | |
1/1 (100) | 0/0 (0.0) | 0/0 (0.0) | 0/0 (0.0) | 0/0 (0.0) | 0/0 (0.0) | 0/0 (0.0) | |
76/90 (84.4) | 0/73 (0.0) | 34/73 (34) | 0/73 (0.0) | 42/43 (97.6) | 3/70 (4.2) | 66/70 (94.2) | |
0/1 (0.0) | 0/0 (0.0) | 0/0 (0.0) | 0/0 (0.0) | 0/0 (0.0) | 0/0 (0.0) | 0/0 (0.0) | |
3/4 (75.0) | 0/0 (0.0) | 0/0 (0.0) | 0/0 (0.0) | 0/0 (0.0) | 0/0 (0.0) | 0/0 (0.0) | |
1/1 (100) | 0/1 (0.0) | 0/1 (0.0) | 0/1 (0.0) | 1/1 (100) | 0/0 (0.0) | 0/0 (0.0) | |
Total | 93/114 (81.5) | 0/81 (0.0) | 35/81 (43.2) | 3/81 (3.7) | 50/54 (92.5) | 6/76 (7.8) | 69/76 (90.7) |
Staphylococci 145주를 대상으로 병독성 유전자의 보유현황을 조사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Table 6 . Prevalence of virulence genes in 145 staphylococci isolated from dogs with otitis externa
Species | No of isolates | No. of positive isolates (%) | ||||
---|---|---|---|---|---|---|
6 | 1 (16.7) | 6 (100) | 0 (0.0) | 0 (0.0) | 0 (0.0) | |
5 | 0 (0.0) | 5 (100) | 0 (0.0) | 0 (0.0) | 0 (0.0) | |
1 | 0 (0.0) | 1 (100) | 0 (0.0) | 0 (0.0) | 0 (0.0) | |
4 | 3 (75.0) | 4 (100) | 0 (0.0) | 0 (0.0) | 0 (0.0) | |
1 | 0 (0.0) | 1 (100) | 0 (0.0) | 0 (0.0) | 0 (0.0) | |
5 | 1 (20.0) | 5 (100) | 0 (0.0) | 0 (0.0) | 0 (0.0) | |
1 | 0 (0.0) | 1 (100) | 0 (0.0) | 0 (0.0) | 0 (0.0) | |
1 | 1 (100) | 1 (100) | 0 (0.0) | 0 (0.0) | 0 (0.0) | |
1 | 0 (0.0) | 1 (100) | 0 (0.0) | 0 (0.0) | 0 (0.0) | |
94 | 55 (58.5) | 94 (100) | 0 (0.0) | 0 (0.0) | 0 (0.0) | |
25 | 1 (4.0) | 25 (100) | 0 (0.0) | 0 (0.0) | 0 (0.0) | |
1 | 1 (100) | 1 (100) | 0 (0.0) | 0 (0.0) | 0 (0.0) | |
Total | 145 | 63 (43.4) | 145 (100) | 0 (0.0) | 0 (0.0) | 0 (0.0) |
개의 외이염은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에 의해 발생하고 있으며 피부질환과 함께 재발률이 높은 질환으로 수의 임상에서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 외이염의 원인균으로
많은 종류의 항생제가 개발되어 치료에 효과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무분별한 사용으로 항생제 내성 균주의 발생과 빈도가 증가 추세에 있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아울러 항생제 내성 양상은 국가, 지역은 물론 임상에서 사용하는 항생제의 종류와 노출 빈도, 분리균의 유래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Normand 등, 2000). 이번 연구에서 staphylococci는 PC에 가장 높은 내성률을 나타내었고, EM, TC 및 DA에도 높은 내성률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내성률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staphylococci에서 이들 약제에 높은 내성률을 나타내었다는 이전 연구자들의 결과와 일치하였다(Kwon 등, 2017; Park 등, 2017; Bertelloni 등, 2021). 이들 약제 외 CIP와 ENR에도 비교적 높은 내성률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외이염의 1차 치료약으로 fluoroquinolone 계열의 약제를 많이 사용하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AN, MC, RD, QD 및 LZD에는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어 아직까지는 이들 약제가 개 외이염의 치료제로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에서 가장 많이 분리된
최근 들어 개와 고양이에서 MRS의 발생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MRS 감염은 질병 치료를 위한 항생제의 부적절한 투여, 외과적 수술로 인한 장기간 입원 등 여러 가지 위험 요소와 관련이 있다(van Duijkeren 등, 2011). 이번 연구에서 staphylococci의 33.8%가 MRS로 확인되었다. 이는 동물병원에 입원 또는 내원한 개에서 Moon 등(2012)의 18.2%, Jang 등(2014)의 27.3%보다는 높았고, Kwon 등(2017)의 40.5%보다는 다소 낮았지만, 국내에서 MRS의 분리 빈도는 점점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외국의 경우도 MRS의 분리 빈도는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다(Chanayat 등, 2021; Lilenbaum 등, 2000; Bertelloni 등, 2021). 이번 연구에서 MRS는
국내 개에서 분리된 staphylococci에서 항생제 내성 유전자나 병독성 유전자에 관한 연구는 드물다. 이번 연구에서 PC 내성균의 93%가
임상에서 분리되는 staphylococci는 다양한 세포외 독소와 병독성 인자를 생성하여 병원성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상의 결과 외이염을 가진 개에서 분리된 staphylococci에서 높은 항생제 내성률, 다약제 내성균 및 병독성 유전자를 보유하는 균주의 출현은 수의 임상 분야에서 치료 약제의 선택에 어려움을 줄 수 있다. 항생제의 신중한 사용과 더불어 내성균의 확산 방지를 위한 철저한 감염관리가 요구된다.
외이염 증상을 보인 개에서 총 295주의 원인 미생물을 분리하였고, 이중 staphylococci 145주에 대해서는 항생제 내성 양상, 약제 내성 유전자 및 병독성 유전자의 보유현황을 조사하였다. 외이염의 원인균으로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Korean J. Vet. Serv. 2022; 45(3): 171-180
Published online September 30, 2022 https://doi.org/10.7853/kjvs.2022.45.3.171
Copyright © The Korean Socitety of Veterinary Service.
조재근*ㆍ이정우ㆍ김정옥ㆍ김정미
대구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Jae-Keun Cho *, Jung-Woo Lee , Joung-Ok Kim , Jeong-Mi Kim
Metropolitan Health & Enviornmental Research Institute, Daegu 42183, Korea
Correspondence to:Jae-Keun Cho
E-mail: salmonella00@korea.kr
https://orcid.org/0000-0003-3498-8101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virulence factors in staphylococci isolated from canine otitis externa. A total 295 causative microorganisms were isolated. The most common isolated species were Staphylococcus (S) pseudintermedius (94 isolates) followed by Pseudomonas aeruginosa (60 isolates), S. schleiferi (25 isolates), Escherichia coli (23 isolates) and Proteus mirabilis (20 isolates). Staphylococci isolates were showed high resistance to penicillin (78.6%), erythromycin (55.9%), tetracycline (52.4%), clindamycin (51.7%) and ciprofloxacin (42.8%). Of the 145 staphylococci isolates, 49 (33.8%)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i (MRS) were observed, distributed among S. pseudintermedius (n=34), S. schleiferi (n=6), S. epidermis (n=4), S. hominis (n=2), S. aureus, S. caprae and S. saprophyticus (n=1, respectively). Forty-three (87.8%) of 49 MRS and 10 (10.4%) of 96 methicillin—susceptibility staphylococci harbored mecA gene. About 80% of MRS were multidrug-resistant with resistance to at least one antibiotic in three or more antibiotic classes. Resistance genes blaZ (93/114, 81.5%), ermB (35/81, 43.2%), ermC (3/81, 3.7%), aacA-aphD (50/54, 92.5%), tetM (69/76, 90.7%) and tetK (6/76, 7.8%) were detected among resistant isolates. Virulence factors genes lukF and lukS were found in 100%(145/145) and 43.4%(63/145), respectively. Genes encoding ermA, eta , etb and tsst were not detected.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which investigated for the presence of genes encoding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staphylococcal toxins in staphylococci isolated from canine otitis externa. A continuous monitoring and surveillance program to prevent antimicrobial resistance in companion animals is demanded.
Keywords: Dog, Staphylococcus, Antimicrobial resistance, Resistance genes, Virulence factors
개에서 가장 흔한 귀의 질환인 외이염은 세균, 효모균, 진균 등의 여러 감염원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호발 질환으로 발생률은 7.5%∼16.5%이다(Miller 등, 2013).
외이염의 치료를 위해 선택되는 약제는 국소적인 투약과 전신적인 투약이 병행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우선적으로 경험적 항생제가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항생제의 장기간 사용은 치료의 실패 또는 내성균 출현의 원인이 되고 있다(Petersen 등, 2002). 반려동물은 항생제 내성의 저장소 역할을 하며, 항생제 내성균 또는 내성 유전자는 직간접적으로 사람 및 환경에 전파될 수 있다(Guardabassi 등, 2004). Staphylococci에서 항생제 내성은 여러 가지 내성 유전자에 의해 발현된다. 특히 methicillin 내성 staphylococci (MRS)는 사람과 동물의 주요 병원체로 내성 획득은 penicillin-binding protein-2a의 생산을 암호화하는
Staphylococci는 다양한 독성 인자를 생산하며 숙주의 면역반응을 방해하여 중증의 감염을 일으킨다. 이들 독소로는 식중독의 원인이 되는 staphylococcal enterotoxin, toxic shock syndrome을 유발하는 toxic shock syndrome toxin (
최근까지 국내에서 외이염, 농피증 같은 피부질환이 있는 개에서 staphylococci에 관한 연구의 대부분은
2019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대구지역 동물병원에서 외이염의 증상을 보인 개 330두의 외이도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균 분리를 실시하였다. 멸균 면봉에 스왑한 시료를 Blood agar (아산제약, Korea)와 MacConkey agar (Oxoid, UK)에 직접 도말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 후, 의심되는 집락은 Trypticase soy agar (Oxoid, UK)에서 순수 분리 후 MALDI-TOF MS (Bruker Daltonics, Bremen, Germany)를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항균제 감수성 시험은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의 기준(2017)에 따라 디스크 확산법으로 실시하였다. 항생제 디스크는 Oxoid사(UK)의 oxacillin (1 μg, OX), cefoxitin (30 μg, FOX), penicillin (10 UI, PC), gentamicin (10 μg, GM), amikacin (30 μg, AN), tobramycin (10 μg, TB), erythromycin (15 μg, EM), tetracycline (30 μg, TC), minocycline (30 μg, MC), ciprofloxacin (5 μg, CIP), enrofloxacin (10 μg, ENR), clindamycin (2 μg, DA),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1.25/23.75 μg, SXT), chloramphenicol (30 μg, CM), rifampin (5 μg, RD), quinupristin-dalfopristin (15 μg, QD), linezolid (30 μg, LZD) 등 17종을 공시하였다.
공시균에 대한 genomic DNA 추출은 boiling 법으로 실시하였다. 우선 tryptic soy broth (Oxoid, UK)에 접종하여 37℃에서 18∼24시간 진탕 배양하여 얻은 균 부유액 1.0 mL를 13,000 rpm에서 2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제거한 다음 멸균 증류수 0.5 mL로 재 부유하였다. 부유액은 끓는 물에 10분간 가열한 다음 1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취하여 template DNA로 사용하였다.
약제 내성 유전자(
외이염 증상을 보인 개 330두의 외이도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균 분리를 실시한 결과 총 36종 295주의 원인 미생물이 분리되었다(Table 1).
Table 1 . Distribution of 295 bacteria isolated from dogs with otitis externa.
Genes | Bacterial species | No. of isolates (%) |
---|---|---|
2 (0.7) | ||
2 (0.7) | ||
1 (0.3) | ||
23 (7.8) | ||
1 (0.3) | ||
20 (6.8) | ||
5 (1.7) | ||
8 (2.7) | ||
1 (0.3) | ||
60 (20.3) | ||
2 (0.7) | ||
1 (0.3) | ||
1 (0.3) | ||
6 (2.0) | ||
5 (1.7) | ||
1 (0.3) | ||
4 (1.4) | ||
1 (0.3) | ||
5 (1.7) | ||
1 (0.3) | ||
1 (0.3) | ||
94 (31.9) | ||
1 (0.3) | ||
25 (8.5) | ||
1 (0.3) | ||
Others (n=23) | 5 (1.7) | |
3 (1.0) | ||
3 (1.0) | ||
3 (1.0) | ||
2 (0.7) | ||
2 (0.7) | ||
2 (0.7) | ||
1 (0.3) | ||
1 (0.3) | ||
1 (0.3) | ||
Total | 295 (100) |
Staphylococci 145주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시험 결과는 Table 2와 같다. Staphylococci의 86.2% (125주)가 사용된 한 종류 이상의 약제에 내성을 나타내었으며, 67.5% (98주)는 3가지 이상 계열의 항생제에 대해 내성을 보인 다약제 내성균이었다(Table 3). 전반적으로 staphylococci는 PC에 78.6%로 가장 높은 내성률을 나타내었고 다음은 EM 55.9%, TC 52.4%, DA 51.4%, CIP 42.8%, GM 34.5%, ENR 33.1%, SXT 30.3% 및 TB 20.7% 순이었다. MC, AN, CM, RD, QD 및 LZD에 대하여는 5% 이하의 내성률을 나타내었다. 항생제 감수성 결과를 균종별로 비교해 볼 때,
Table 2 .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145 staphylococci isolated from dogs with otitis externa.
Antimicrobial agents | No. of resistant isolates (%) | |||||||
---|---|---|---|---|---|---|---|---|
S. pseudinter-medius (n=94) | Others* (n=6) | Total | ||||||
oxacillin or cefoxitin | 34 (36.2) | 6 (24.0) | 1 (16.7) | 1 (20.0) | 2 (40.0) | 4 (100) | 1 (16.7) | 49 (33.8) |
penicillin | 90 (95.7) | 4 (16.0) | 2 (33.3) | 5 (100) | 4 (80.0) | 4 (100) | 5 (83.3) | 114 (78.6) |
gentamicin | 42 (44.7) | 0 (0.0) | 1 (16.7) | 0 (0.0) | 3 (0.0) | 3 (75.0) | 1 (16.7) | 50 (34.5) |
amikacin | 0 (0.0) | 0 (0.0) | 0 (0.0) | 0 (0.0) | 0 (0.0) | 1 (25.0) | 1 (16.7) | 2 (1.4) |
tobramycin | 22 (23.4) | 0 (0.0) | 1 (16.7) | 0 (0.0) | 1 (20.0) | 4 (100) | 2 (33.3) | 30 (20.7) |
erythromycin | 73 (77.7) | 0 (0.0) | 0 (0.0) | 3 (60.0) | 2 (40.0) | 1 (25.0) | 2 (33.3) | 81 (55.9) |
tetracycline | 70 (74.5) | 0 (0.0) | 0 (0.0) | 1 (20.0) | 2 (40.0) | 2 (40.0) | 1 (16.7) | 76 (52.4) |
minocycline | 3 (3.2) | 0 (0.0) | 0 (0.0) | 0 (0.0) | 0 (0.0) | 0 (0.0) | 1 (16.7) | 4 (2.8) |
ciprofloxacin | 45 (47.9) | 6 (24.0) | 4 (66.7) | 2 (40.0) | 1 (20.0) | 2 (50.0) | 2 (33.3) | 62 (42.8) |
enrofloxacin | 37 (39.4) | 5 (20.0) | 2 (33.3) | 2 (40.0) | 1 (20.0) | 0 (0.0) | 1 (16.7) | 48 (33.1) |
clindamycin | 71 (75.5) | 0 (0.0) | 0 (0.0) | 1 (20.0) | 2 (40.0) | 1 (25.0) | 0 (0.0) | 75 (51.7) |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 41 (43.6) | 0 (0.0) | 0 (0.0) | 1 (20.0) | 2 (40.0) | 0 (0.0) | 0 (0.0) | 44 (30.3) |
chloramphenicol | 45 (47.9) | 0 (0.0) | 0 (0.0) | 1 (20.0) | 0 (0.0) | 0 (0.0) | 0 (0.0) | 1 (0.7) |
rifampin | 2 (2.1) | 0 (0.0) | 0 (0.0) | 0 (0.0) | 0 (0.0) | 0 (0.0) | 0 (0.0) | 2 (1.4) |
Quinupristin-Dalfopristin | 5 (5.3) | 0 (0.0) | 0 (0.0) | 0 (0.0) | 0 (0.0) | 0 (0.0) | 0 (0.0) | 5 (3.4) |
linezolid | 6 (6.4) | 0 (0.0) | 0 (0.0) | 0 (0.0) | 0 (0.0) | 0 (0.0) | 0 (0.0) | 6 (4.1) |
*
Table 3 . Distribution of multi-drug resistant in 145 staphylococci isolated from dogs with otitis externa.
No. of antimicrobial classes | No. of resistant isolates (%) | |||||||
---|---|---|---|---|---|---|---|---|
Others (n=6) | Total | |||||||
3 | 6 | 1 | 1 | 2 | 2 | 12 (8.2) | ||
4 | 6 | 1 | 1 | 1 | 9 (6.2) | |||
5 | 15 | 1 | 1 | 1 | 18 (12.4) | |||
6 | 23 | 1 | 24 (16.5) | |||||
7 | 16 | 1 | 1 | 18 (12.4) | ||||
8 | 13 | 13 (8.9) | ||||||
9 | 4 | 4 (2.7) | ||||||
Total | 83 (67.5) | 1 (4.0) | 2 (33.3) | 2 (40.0) | 3 (60.0) | 4 (100) | 3 (50.0) | 98 (67.5) |
*
Staphylococci 145주 중 OX 또는 FOX에 내성을 보인 MRS는
Table 4 . Distribution of mecA gene in 145 staphylococci isolated from dogs with otitis externa.
Species | No of isolates | Methicillin-resistant | Methicillin-susceptible | |||
---|---|---|---|---|---|---|
No. of isolates | No. of isolates | |||||
6 | 1 | 1 (100) | 5 | 1 (20.0) | ||
5 | 1 | 0 (0.0) | 4 | 0 (0.0) | ||
1 | 0 | 0 (0.0) | 1 | 0 (0.0) | ||
4 | 4 | 4 (100) | 0 | 0 (0.0) | ||
1 | 0 | 0 (0.0) | 1 | 0 (0.0) | ||
5 | 2 | 2 (100) | 3 | 0 (0.0) | ||
1 | 0 | 0 (0.0) | 1 | 0 (0.0) | ||
1 | 0 | 0 (0.0) | 1 | 0 (0.0) | ||
94 | 34 | 29 (85.3) | 60 | 7 (11.7) | ||
1 | 1 | 1 (100) | 0 | 0 (0.0) | ||
25 | 6 | 6 (100) | 19 | 2 (10.5) | ||
1 | 0 | 0 (0.0) | 1 | 0 (0.0) | ||
Total | 145 | 49 | 43 (87.8) | 96 | 10 (10.4) |
각각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인 균주를 대상으로 내성 유전자의 보유현황을 조사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Table 5 . Prevalence of antimicrobial resistance genes in antimicrobial resistant 145 staphylococci isolated from dogs with otitis externa.
Species | No. of positive isolates (%) | ||||||
---|---|---|---|---|---|---|---|
1/2 (50.0) | 0/0 (0.0) | 0/0 (0.0) | 0/0 (0.0) | 1/1 (100) | 0/0 (0.0) | 0/0 (0.0) | |
2/5 (40.0) | 0/3 (0.0) | 1/3 (33.3) | 0/3 (0.0) | 0/0 (0.0) | 0/1 (0.0) | 1/1 (100) | |
1/1 (100) | 0/0 (0.0) | 0/0 (0.0) | 0/0 (0.0) | 0/1 (0.0) | 0/0 (0.0) | 0/0 (0.0) | |
4/4 (100) | 0/1 (0.0) | 0/1 (0.0) | 1/1 (100) | 3/4 (75.0) | 2/2 (100) | 0/2 (0.0) | |
3/4 (75.0) | 0/2 (0.0) | 0/2 (0.0) | 2/2 (100) | 3/3 (100) | 1/2 (50.0) | 1/2 (50.0) | |
1/1 (100) | 0/1 (0.0) | 0/1 (0.0) | 0/1 (0.0) | 0/1 (0.0) | 0/1 (0.0) | 0/1 (0.0) | |
1/1 (100) | 0/0 (0.0) | 0/0 (0.0) | 0/0 (0.0) | 0/0 (0.0) | 0/0 (0.0) | 0/0 (0.0) | |
76/90 (84.4) | 0/73 (0.0) | 34/73 (34) | 0/73 (0.0) | 42/43 (97.6) | 3/70 (4.2) | 66/70 (94.2) | |
0/1 (0.0) | 0/0 (0.0) | 0/0 (0.0) | 0/0 (0.0) | 0/0 (0.0) | 0/0 (0.0) | 0/0 (0.0) | |
3/4 (75.0) | 0/0 (0.0) | 0/0 (0.0) | 0/0 (0.0) | 0/0 (0.0) | 0/0 (0.0) | 0/0 (0.0) | |
1/1 (100) | 0/1 (0.0) | 0/1 (0.0) | 0/1 (0.0) | 1/1 (100) | 0/0 (0.0) | 0/0 (0.0) | |
Total | 93/114 (81.5) | 0/81 (0.0) | 35/81 (43.2) | 3/81 (3.7) | 50/54 (92.5) | 6/76 (7.8) | 69/76 (90.7) |
Staphylococci 145주를 대상으로 병독성 유전자의 보유현황을 조사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Table 6 . Prevalence of virulence genes in 145 staphylococci isolated from dogs with otitis externa.
Species | No of isolates | No. of positive isolates (%) | ||||
---|---|---|---|---|---|---|
6 | 1 (16.7) | 6 (100) | 0 (0.0) | 0 (0.0) | 0 (0.0) | |
5 | 0 (0.0) | 5 (100) | 0 (0.0) | 0 (0.0) | 0 (0.0) | |
1 | 0 (0.0) | 1 (100) | 0 (0.0) | 0 (0.0) | 0 (0.0) | |
4 | 3 (75.0) | 4 (100) | 0 (0.0) | 0 (0.0) | 0 (0.0) | |
1 | 0 (0.0) | 1 (100) | 0 (0.0) | 0 (0.0) | 0 (0.0) | |
5 | 1 (20.0) | 5 (100) | 0 (0.0) | 0 (0.0) | 0 (0.0) | |
1 | 0 (0.0) | 1 (100) | 0 (0.0) | 0 (0.0) | 0 (0.0) | |
1 | 1 (100) | 1 (100) | 0 (0.0) | 0 (0.0) | 0 (0.0) | |
1 | 0 (0.0) | 1 (100) | 0 (0.0) | 0 (0.0) | 0 (0.0) | |
94 | 55 (58.5) | 94 (100) | 0 (0.0) | 0 (0.0) | 0 (0.0) | |
25 | 1 (4.0) | 25 (100) | 0 (0.0) | 0 (0.0) | 0 (0.0) | |
1 | 1 (100) | 1 (100) | 0 (0.0) | 0 (0.0) | 0 (0.0) | |
Total | 145 | 63 (43.4) | 145 (100) | 0 (0.0) | 0 (0.0) | 0 (0.0) |
개의 외이염은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에 의해 발생하고 있으며 피부질환과 함께 재발률이 높은 질환으로 수의 임상에서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 외이염의 원인균으로
많은 종류의 항생제가 개발되어 치료에 효과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무분별한 사용으로 항생제 내성 균주의 발생과 빈도가 증가 추세에 있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아울러 항생제 내성 양상은 국가, 지역은 물론 임상에서 사용하는 항생제의 종류와 노출 빈도, 분리균의 유래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Normand 등, 2000). 이번 연구에서 staphylococci는 PC에 가장 높은 내성률을 나타내었고, EM, TC 및 DA에도 높은 내성률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내성률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staphylococci에서 이들 약제에 높은 내성률을 나타내었다는 이전 연구자들의 결과와 일치하였다(Kwon 등, 2017; Park 등, 2017; Bertelloni 등, 2021). 이들 약제 외 CIP와 ENR에도 비교적 높은 내성률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외이염의 1차 치료약으로 fluoroquinolone 계열의 약제를 많이 사용하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AN, MC, RD, QD 및 LZD에는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어 아직까지는 이들 약제가 개 외이염의 치료제로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에서 가장 많이 분리된
최근 들어 개와 고양이에서 MRS의 발생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MRS 감염은 질병 치료를 위한 항생제의 부적절한 투여, 외과적 수술로 인한 장기간 입원 등 여러 가지 위험 요소와 관련이 있다(van Duijkeren 등, 2011). 이번 연구에서 staphylococci의 33.8%가 MRS로 확인되었다. 이는 동물병원에 입원 또는 내원한 개에서 Moon 등(2012)의 18.2%, Jang 등(2014)의 27.3%보다는 높았고, Kwon 등(2017)의 40.5%보다는 다소 낮았지만, 국내에서 MRS의 분리 빈도는 점점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외국의 경우도 MRS의 분리 빈도는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다(Chanayat 등, 2021; Lilenbaum 등, 2000; Bertelloni 등, 2021). 이번 연구에서 MRS는
국내 개에서 분리된 staphylococci에서 항생제 내성 유전자나 병독성 유전자에 관한 연구는 드물다. 이번 연구에서 PC 내성균의 93%가
임상에서 분리되는 staphylococci는 다양한 세포외 독소와 병독성 인자를 생성하여 병원성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상의 결과 외이염을 가진 개에서 분리된 staphylococci에서 높은 항생제 내성률, 다약제 내성균 및 병독성 유전자를 보유하는 균주의 출현은 수의 임상 분야에서 치료 약제의 선택에 어려움을 줄 수 있다. 항생제의 신중한 사용과 더불어 내성균의 확산 방지를 위한 철저한 감염관리가 요구된다.
외이염 증상을 보인 개에서 총 295주의 원인 미생물을 분리하였고, 이중 staphylococci 145주에 대해서는 항생제 내성 양상, 약제 내성 유전자 및 병독성 유전자의 보유현황을 조사하였다. 외이염의 원인균으로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Table 1 . Distribution of 295 bacteria isolated from dogs with otitis externa.
Genes | Bacterial species | No. of isolates (%) |
---|---|---|
2 (0.7) | ||
2 (0.7) | ||
1 (0.3) | ||
23 (7.8) | ||
1 (0.3) | ||
20 (6.8) | ||
5 (1.7) | ||
8 (2.7) | ||
1 (0.3) | ||
60 (20.3) | ||
2 (0.7) | ||
1 (0.3) | ||
1 (0.3) | ||
6 (2.0) | ||
5 (1.7) | ||
1 (0.3) | ||
4 (1.4) | ||
1 (0.3) | ||
5 (1.7) | ||
1 (0.3) | ||
1 (0.3) | ||
94 (31.9) | ||
1 (0.3) | ||
25 (8.5) | ||
1 (0.3) | ||
Others (n=23) | 5 (1.7) | |
3 (1.0) | ||
3 (1.0) | ||
3 (1.0) | ||
2 (0.7) | ||
2 (0.7) | ||
2 (0.7) | ||
1 (0.3) | ||
1 (0.3) | ||
1 (0.3) | ||
Total | 295 (100) |
Table 2 .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145 staphylococci isolated from dogs with otitis externa.
Antimicrobial agents | No. of resistant isolates (%) | |||||||
---|---|---|---|---|---|---|---|---|
S. pseudinter-medius (n=94) | Others* (n=6) | Total | ||||||
oxacillin or cefoxitin | 34 (36.2) | 6 (24.0) | 1 (16.7) | 1 (20.0) | 2 (40.0) | 4 (100) | 1 (16.7) | 49 (33.8) |
penicillin | 90 (95.7) | 4 (16.0) | 2 (33.3) | 5 (100) | 4 (80.0) | 4 (100) | 5 (83.3) | 114 (78.6) |
gentamicin | 42 (44.7) | 0 (0.0) | 1 (16.7) | 0 (0.0) | 3 (0.0) | 3 (75.0) | 1 (16.7) | 50 (34.5) |
amikacin | 0 (0.0) | 0 (0.0) | 0 (0.0) | 0 (0.0) | 0 (0.0) | 1 (25.0) | 1 (16.7) | 2 (1.4) |
tobramycin | 22 (23.4) | 0 (0.0) | 1 (16.7) | 0 (0.0) | 1 (20.0) | 4 (100) | 2 (33.3) | 30 (20.7) |
erythromycin | 73 (77.7) | 0 (0.0) | 0 (0.0) | 3 (60.0) | 2 (40.0) | 1 (25.0) | 2 (33.3) | 81 (55.9) |
tetracycline | 70 (74.5) | 0 (0.0) | 0 (0.0) | 1 (20.0) | 2 (40.0) | 2 (40.0) | 1 (16.7) | 76 (52.4) |
minocycline | 3 (3.2) | 0 (0.0) | 0 (0.0) | 0 (0.0) | 0 (0.0) | 0 (0.0) | 1 (16.7) | 4 (2.8) |
ciprofloxacin | 45 (47.9) | 6 (24.0) | 4 (66.7) | 2 (40.0) | 1 (20.0) | 2 (50.0) | 2 (33.3) | 62 (42.8) |
enrofloxacin | 37 (39.4) | 5 (20.0) | 2 (33.3) | 2 (40.0) | 1 (20.0) | 0 (0.0) | 1 (16.7) | 48 (33.1) |
clindamycin | 71 (75.5) | 0 (0.0) | 0 (0.0) | 1 (20.0) | 2 (40.0) | 1 (25.0) | 0 (0.0) | 75 (51.7) |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 41 (43.6) | 0 (0.0) | 0 (0.0) | 1 (20.0) | 2 (40.0) | 0 (0.0) | 0 (0.0) | 44 (30.3) |
chloramphenicol | 45 (47.9) | 0 (0.0) | 0 (0.0) | 1 (20.0) | 0 (0.0) | 0 (0.0) | 0 (0.0) | 1 (0.7) |
rifampin | 2 (2.1) | 0 (0.0) | 0 (0.0) | 0 (0.0) | 0 (0.0) | 0 (0.0) | 0 (0.0) | 2 (1.4) |
Quinupristin-Dalfopristin | 5 (5.3) | 0 (0.0) | 0 (0.0) | 0 (0.0) | 0 (0.0) | 0 (0.0) | 0 (0.0) | 5 (3.4) |
linezolid | 6 (6.4) | 0 (0.0) | 0 (0.0) | 0 (0.0) | 0 (0.0) | 0 (0.0) | 0 (0.0) | 6 (4.1) |
*
Table 3 . Distribution of multi-drug resistant in 145 staphylococci isolated from dogs with otitis externa.
No. of antimicrobial classes | No. of resistant isolates (%) | |||||||
---|---|---|---|---|---|---|---|---|
Others (n=6) | Total | |||||||
3 | 6 | 1 | 1 | 2 | 2 | 12 (8.2) | ||
4 | 6 | 1 | 1 | 1 | 9 (6.2) | |||
5 | 15 | 1 | 1 | 1 | 18 (12.4) | |||
6 | 23 | 1 | 24 (16.5) | |||||
7 | 16 | 1 | 1 | 18 (12.4) | ||||
8 | 13 | 13 (8.9) | ||||||
9 | 4 | 4 (2.7) | ||||||
Total | 83 (67.5) | 1 (4.0) | 2 (33.3) | 2 (40.0) | 3 (60.0) | 4 (100) | 3 (50.0) | 98 (67.5) |
*
Table 4 . Distribution of mecA gene in 145 staphylococci isolated from dogs with otitis externa.
Species | No of isolates | Methicillin-resistant | Methicillin-susceptible | |||
---|---|---|---|---|---|---|
No. of isolates | No. of isolates | |||||
6 | 1 | 1 (100) | 5 | 1 (20.0) | ||
5 | 1 | 0 (0.0) | 4 | 0 (0.0) | ||
1 | 0 | 0 (0.0) | 1 | 0 (0.0) | ||
4 | 4 | 4 (100) | 0 | 0 (0.0) | ||
1 | 0 | 0 (0.0) | 1 | 0 (0.0) | ||
5 | 2 | 2 (100) | 3 | 0 (0.0) | ||
1 | 0 | 0 (0.0) | 1 | 0 (0.0) | ||
1 | 0 | 0 (0.0) | 1 | 0 (0.0) | ||
94 | 34 | 29 (85.3) | 60 | 7 (11.7) | ||
1 | 1 | 1 (100) | 0 | 0 (0.0) | ||
25 | 6 | 6 (100) | 19 | 2 (10.5) | ||
1 | 0 | 0 (0.0) | 1 | 0 (0.0) | ||
Total | 145 | 49 | 43 (87.8) | 96 | 10 (10.4) |
Table 5 . Prevalence of antimicrobial resistance genes in antimicrobial resistant 145 staphylococci isolated from dogs with otitis externa.
Species | No. of positive isolates (%) | ||||||
---|---|---|---|---|---|---|---|
1/2 (50.0) | 0/0 (0.0) | 0/0 (0.0) | 0/0 (0.0) | 1/1 (100) | 0/0 (0.0) | 0/0 (0.0) | |
2/5 (40.0) | 0/3 (0.0) | 1/3 (33.3) | 0/3 (0.0) | 0/0 (0.0) | 0/1 (0.0) | 1/1 (100) | |
1/1 (100) | 0/0 (0.0) | 0/0 (0.0) | 0/0 (0.0) | 0/1 (0.0) | 0/0 (0.0) | 0/0 (0.0) | |
4/4 (100) | 0/1 (0.0) | 0/1 (0.0) | 1/1 (100) | 3/4 (75.0) | 2/2 (100) | 0/2 (0.0) | |
3/4 (75.0) | 0/2 (0.0) | 0/2 (0.0) | 2/2 (100) | 3/3 (100) | 1/2 (50.0) | 1/2 (50.0) | |
1/1 (100) | 0/1 (0.0) | 0/1 (0.0) | 0/1 (0.0) | 0/1 (0.0) | 0/1 (0.0) | 0/1 (0.0) | |
1/1 (100) | 0/0 (0.0) | 0/0 (0.0) | 0/0 (0.0) | 0/0 (0.0) | 0/0 (0.0) | 0/0 (0.0) | |
76/90 (84.4) | 0/73 (0.0) | 34/73 (34) | 0/73 (0.0) | 42/43 (97.6) | 3/70 (4.2) | 66/70 (94.2) | |
0/1 (0.0) | 0/0 (0.0) | 0/0 (0.0) | 0/0 (0.0) | 0/0 (0.0) | 0/0 (0.0) | 0/0 (0.0) | |
3/4 (75.0) | 0/0 (0.0) | 0/0 (0.0) | 0/0 (0.0) | 0/0 (0.0) | 0/0 (0.0) | 0/0 (0.0) | |
1/1 (100) | 0/1 (0.0) | 0/1 (0.0) | 0/1 (0.0) | 1/1 (100) | 0/0 (0.0) | 0/0 (0.0) | |
Total | 93/114 (81.5) | 0/81 (0.0) | 35/81 (43.2) | 3/81 (3.7) | 50/54 (92.5) | 6/76 (7.8) | 69/76 (90.7) |
Table 6 . Prevalence of virulence genes in 145 staphylococci isolated from dogs with otitis externa.
Species | No of isolates | No. of positive isolates (%) | ||||
---|---|---|---|---|---|---|
6 | 1 (16.7) | 6 (100) | 0 (0.0) | 0 (0.0) | 0 (0.0) | |
5 | 0 (0.0) | 5 (100) | 0 (0.0) | 0 (0.0) | 0 (0.0) | |
1 | 0 (0.0) | 1 (100) | 0 (0.0) | 0 (0.0) | 0 (0.0) | |
4 | 3 (75.0) | 4 (100) | 0 (0.0) | 0 (0.0) | 0 (0.0) | |
1 | 0 (0.0) | 1 (100) | 0 (0.0) | 0 (0.0) | 0 (0.0) | |
5 | 1 (20.0) | 5 (100) | 0 (0.0) | 0 (0.0) | 0 (0.0) | |
1 | 0 (0.0) | 1 (100) | 0 (0.0) | 0 (0.0) | 0 (0.0) | |
1 | 1 (100) | 1 (100) | 0 (0.0) | 0 (0.0) | 0 (0.0) | |
1 | 0 (0.0) | 1 (100) | 0 (0.0) | 0 (0.0) | 0 (0.0) | |
94 | 55 (58.5) | 94 (100) | 0 (0.0) | 0 (0.0) | 0 (0.0) | |
25 | 1 (4.0) | 25 (100) | 0 (0.0) | 0 (0.0) | 0 (0.0) | |
1 | 1 (100) | 1 (100) | 0 (0.0) | 0 (0.0) | 0 (0.0) | |
Total | 145 | 63 (43.4) | 145 (100) | 0 (0.0) | 0 (0.0) | 0 (0.0) |
Jo, Hyun-Jung;Chae, Hee-Sun;Kim, Hyun-Ju;Kim, Min-Ju;Park, Gyu-Nam;Kim, Sang-Hun;Chang, Kyung-Soo;
Korean J. Vet. Serv. 2012; 35(2): 99-104 https://doi.org/10.7853/kjvs.2012.35.2.099Chang Sul Kim, Ho Hyun Kwak, Su Hyeon Song, Heung Myong Woo
Korean J. Vet. Serv. 2024; 47(4): 297-303 https://doi.org/10.7853/kjvs.2024.47.4.297Sung Min Kim, Ho Hyun Kwak, Heung Myong Woo
Korean J. Vet. Serv. 2024; 47(4): 289-295 https://doi.org/10.7853/kjvs.2024.47.4.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