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links
Korean J. Vet. Serv. 2023; 46(4): 303-314
Published online December 30, 2023
https://doi.org/10.7853/kjvs.2023.46.4.303
© The Korean Socitety of Veterinary Service
유영주ㆍ유정희ㆍ허진*
전북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공중보건학실
Correspondence to : Jin Hur
E-mail: hurjin@jbnu.ac.kr
https://orcid.org/0000-0003-2658-0747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rotective efficacy of trivalent Salmonella inactivated vaccine containing Chlorhexidine-inactivated S. Enterltidis (SE), S. Typhimurium (ST), and S. Gallinarum (SG) strains, was evaluated in this study. A total of 70 brown nick layers were divided into 7 groups, A to G, containing 10 hens per group. All hens in groups B to D were intramuscularly immunized with approximately 7×108 cells (3×108 cells of SE+1×108 cells of ST+3×108 cells of SG) of the trivalent vaccine in 0.5 mL of PBS. All chickens in groups E to G were injected with sterile PBS. All hens of groups B and E, groups C and F, and groups D and G were orally challenged with approximately 2×109 CFU of wild-type SE, ST, and SG, respectively. Serum IgG titers and CD3+CD4+ T-cells, and CD3+CD8+ T-cells levels of groups B to 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roup A. In addition, all animals in groups A to C, E and F showed no clinical symptoms and survived after the virulent challenges, whereas one chicken in group D died and all chickens in group G died following the challenge. The protection against wild-type SE and ST in liver, spleen, cecum, and cloaca of groups B and C chickens was significant effective as compared with those in groups E and F. These indicate that the trivalent inactivated vaccine can be an effective tool for prevention of Salmonella infections by inducing robustly protective immune responses and cellular immune response in chickens.
Keywords Salmonellosis, Zoonosis, Foultry, Fowl typhoid, Trivalent vaccine
살모넬라 식중독 감염의 가장 흔한 매개체로는 가금류와 계란으로 알려져 있으며, 살모넬라균에 감염된 닭의 난소 및 난관에서 난각이 형성되기 이전에 살모넬라균이 계란 내부에 오염되거나 산란 과정에서 난각에 오염될 수도 있다(Yang 등, 2010). 국내 식중독 발생 양상은 5년간(2017∼2021년) 평균 259회 발생하였으며, 평균 환자 수는 5,276명으로 매년 꾸준히 보고되고 있다. 이중 식중독 발생 환자수는 살모넬라 식중독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더욱이 집단 발생되는 식중독에서 살모넬라균으로 인한 경우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22; Jang 등, 2023).
국내에서 유행하는 살모넬라 혈청형은
국내에서 가금티푸스 예방을 위해 SG9R과 같은 약독화 생균 백신이 사용되고 있는데 생균 백신은 장기간 방어 효과를 나타내고, 국소면역 및 세포 매개성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Lillehoj 등, 2000; Won 등, 2016). 하지만 살모넬라 약독화 생균 백신의 안전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그 이유로는 불완전한 백신주가 접종된 숙주에서 증식하는 과정에서 약독화된 병원성 유전자가 복귀되어 병원성을 회복할 가능성 때문이다(Barbezange 등, 2000). 반면 살모넬라 불활화 백신의 경우 살모넬라에 감염된 닭의 분변을 통한 균 배출이 감소됨과 더불어 계란 내 오염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Gast 등, 1993; Jawale 등, 2014; Jawale과 Lee, 2016). 또한 불활화 백신은 높은 안전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살모넬라 혈청형과 혼합하여 다가백신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응용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개발 및 상용화되어 판매되고 있다(Clifton-Hadley 등, 2002). 그렇지만 불활화 사균체 백신의 경우 백신을 접종한 대상 동물체 내의 면역반응에 의해 쉽게 제거될 수 있어 항원 발현이 제한적이라는 단점으로 인해 면역보강제(adjuvant)를 필요로 하며(Desin 등, 2013), 주로 체액성 면역을 유도하고 세포 매개성 면역반응 유도 능력은 약독화 생균 백신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을 지니고 있어 세포 매개성 면역 반응 유도가 반드시 필요한 세포 내 기생 세균 예방에 있어서는 예방 효과에 한계가 있다(Desin 등, 2013).
최근 불활화 사균체 백신임에도 신개념 사균체 백신인 고스트 백신은 세포 내 기생세균 예방에 필수적인 세포 매개성 면역반응을 유도하여 실험동물에서 살모넬라 감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하였다는 연구 결과 보고가 있으며, 살모넬라 사균체에 오일보조제(oil-adjuvant)를 혼합한 불활화 백신을 접종한 산란계에서 내부장기 내 살모넬라 분리율의 감소, 분변 내 살모넬라 배출 빈도 및 균량의 감소 등이 연구되었고(Gast 등, 1992; Barbezange 등, 2000, Jawale 등, 2014), 모계에서 생성된 면역 항체는 계란을 통해 병아리로 이행되어 부화 후 일정 기간 동안 살모넬라 야외 감염에 대한 방어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Nicholas 등, 1991; Mailson 등, 202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유행하고 있는
불활화 백신 제작 및 공격 접종 균주 그리고 백신 접종 후 항체역가를 측정하기 위한 ELISA coating을 위한 Outer membrane proteins (OMPs) 추출을 위한 균주는 국내 갈색 산란계에서 분리한
Table 1 . Bacterial strains used for this study
Strain | Description | Source of reference | |
---|---|---|---|
HJL345 | Isolates from Korean chicken in 2009 | Lab stock | |
HJL812 | Isolates from Korean chicken in 2019 | Lab stock | |
HJL465 | Isolates from Korean chicken in 2016 | Lab stock |
Table 2 . Primer sequences and sizes of PCR-amplified targets
Primer | Sequence (5’-3’) | Amplification target | Amplification length (bp) | Reference |
---|---|---|---|---|
OMPCF | ATC GCT GAC TTA TGC AAT CG | 204 | Alvarez et al. (2004) | |
OMPCR | CGG GTT GCG TTA TAG GTC TG | |||
ENTF | TGT GTT TTA TCT GAT GCA AGA GG | 304 | Alvarez et al. (2004) | |
ENTR | TGA ACT ACG TTC GTT CTT CTG G | |||
TYPHF | TTG TTC ACT TTT TAC CCC TGA A | 401 | Alvarez et al. (2004) | |
TYPHR | CCC TGA CAG CCG TTA GAT ATT | |||
SG-L | GAT CTG CTG CCA GCT CAA | 252 | Kang et al. (2011) | |
SG-R | GCG CCC TTT TCA AAA CAT A | |||
SGP-L | CGG TGT ACT GCC CGC TAT | 172 | ||
SGP-R | CTG GGC ATT GAC GCA AA |
살모넬라에 음성인 농장의 갈색 산란계 초생추 70수를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연구용 병아리는 실험에 사용된 백신 외에 어떠한 백신도 접종하지 않았으며, 시판 상업용 사료와 음료를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는 환경에서 사육되었다. 본 실험에서 보고된 동물실험은 Korean Council on Animal Care의 인가를 받은 전북대학교 동물윤리 위원회의 승인(JBNU2022-066)을 받아 진행하였다.
3가 살모넬라 불활화 백신의 제작을 위해 Moon 등(2020)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HJL345 (
사육된 갈색 산란계가 5주령이 되었을 때 무작위로 선별하여 7그룹(각 그룹 당 10수)으로 나누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도록 일주일간의 안정화 기간을 거친 후 6주령이 되었을 때 음성대조군 그룹 A는 아무 것도 접종하지 않았으며, 백신군인 B, C, D 그룹의 모든 닭은 살모넬라 3가 불활화 백신을 0.5 mL씩 6주령에 1차, 9주령에 2차로 근육 접종하였고, 각 균주별 양성대조군인 E, F, G 그룹의 경우 같은 시기에 각각 멸균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0.5 mL씩 접종하였다(Table 3).
Table 3 . Animal experimental group design for trivalent vaccine experiment
Group | n | Types of vaccines | Challenge strain | |
---|---|---|---|---|
A | Negative control | 10 | - | - |
B | Vaccination | 10 | Trivalent vaccine | |
C | Vaccination | 10 | Trivalent vaccine | |
D | Vaccination | 10 | Trivalent vaccine | |
E | SE positive cont. | 10 | PBS | |
F | ST positive cont. | 10 | PBS | |
G | SG positive cont. | 10 | PBS | |
Total | 70 |
혈청은 0 weeks post prime immunization (1차 접종 전, 0 WPPI), 3 WPPI (2차 접종 전), 6 WPPI (공격접종 전)에 각각 채혈하여 준비하였다. 즉, 채취한 혈액은 3,000 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고, 분리된 혈청은 −20℃에 보관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백신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백신군과 대조군 모두 백신 접종 전, 1차 접종 3주 후, 2차 접종 3주 후에 닭 체중 측정 개체관리기(GI-1000, G-Tech International, Uijeongbu, Korea)를 사용하여 모든 개체의 체중을 측정하였고, 모든 개체는 하루에 두 번씩 발열, 설사, 식욕부진, 운동성 저하 및 폐사 여부를 확인하였다.
3가 살모넬라 불활화 백신 접종 후
세포 매개성 면역 반응 유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Senevirathne 등(2021)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Flow Cytometry Analysis에 의해 CD3+CD4+, CD3+CD8+ T-cells이 측정되었다. 즉, 살모넬라 불활화 3가 백신 접종 후 닭의 말초 혈액 내 CD3+CD4+, CD3+CD8+ T-cells 수치를 측정하기 위해 2차 백신 접종 후 2주째에 대조군인 A그룹에서 10수, 백신군인 B, C, D 그룹에서 무작위로 10수를 선별하여 채혈하였다. 1×106/well이 되도록 희석된 말초혈액 내 림프구는 각 300 ng/mL의
국내 갈색 산란계에서 분리한 HJL345, HJL812, HJL465를 LB Broth 10 mL에 각각 접종하여 37℃ 배양기에서 16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신선한 LB Broth에서 재접종하여 OD600의 값이 0.6이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4,000 rpm으로 5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버리고 침전물을 PBS로 2회 세척하였다. 침전물을 10% sucrose (JUNSEI, Chuno-ku, Tokyo, Japan) 함유 PBS로 각 1×1010 CFU/mL이 되도록 재부유하여, 그룹 B, E의 닭 1수 당
모든 실험 결과는 5.02 GraphPad software (San Diego, CA, USA)을 이용하여 Tukey’s multiple comparison test에 기반한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에 의해 평균 비교되었다.
1차 접종 후 3주 동안 체중 변화는 Fig. 1에서 보는 바와 같았다. 즉, 대조군은 1차 접종 후 3주 동안 평균 293.5±47.2 g 증가하였으며, 백신 접종군인 B∼D 산란계는 각각 243.5±40.7 g, 264.5±77.0 g, 245.0±101.8 g씩 증가하였다. 그리고 2차 접종 후 3주 동안 대조군이 304.5±118.5 g 증가하는 동안 백신 접종군인 B∼D 산란계는 각각 258.0±39.9 g, 236.5±94.0 g, 253.0±146.1 g씩 증가하였다. 하지만 PBS 접종 군인 E∼G 산란계는 대조군과 별반 차이가 없었다. 백신 접종군인 B∼D 및 PBS 접종군인 E∼G의 산란계 모두 1차 백신 접종 후 3주간 및 2차 백신 접종 후 3주간 발열, 설사, 식욕부진, 운동성 저하 및 폐사가 관찰되지 않았다.
백신 접종 전, 백신 1차 접종 후, 2차 접종 후에 각각 정기적으로 채혈하여 각 살모넬라 OMPs를 이용한 ELISA로 혈청 IgG 항체 역가를 측정한 결과는 Fig. 2와 같았다.
음성대조군인 A그룹과 백신 접종 그룹인 B∼D 그룹의 혈액에서 분리된 림프구를 각
2차 백신 접종 후 3주째에 음성대조군인 A 그룹을 제외한 모든 그룹에 병원성 살모넬라 균주를 각 200 mL씩 경구접종 하였다. 즉, B, E 그룹에
부검 후 균분리 결과 음성대조군인 A 그룹에서는 직접도말 했을 때와 증균배양 했을 때 모두 균분리를 시도한 모든 조직에서
Table 4 . Recovery of challenge strain from internal organs of the survived chickens
Group/Organs | Challenge strain | n** | Direct culture (%) | Enrichment culture (%) | |||||||
---|---|---|---|---|---|---|---|---|---|---|---|
Liver | Spleen | Cecum | Cloaca | Liver | Spleen | Cecum | Cloaca | ||||
A | -* | 10 | 0 | 0 | 0 | 0 | 0 | 0 | 0 | 0 | |
B | 10 | 0 | 5 (50) | 1 (10) | 2 (20) | 0 | 50 (50) | 2 (20) | 2 (20) | ||
C | 10 | 0 | 3 (30) | 2 (20) | 0 | 0 | 40 (4) | 30 (3) | 3 (30) | ||
D | 9 | 5 (55.6) | 5 (55.6) | 2 (22.2) | 1 (11.1) | 6 (66.7) | 5 (55.6) | 3 (33.3) | 1 (11.1) | ||
E | 10 | 0 | 9 (90) | 6 (60) | 4 (40) | 0 | 10 (100) | 8 (80) | 8 (80) | ||
F | 10 | 1 (10) | 4 (40) | 6 (60) | 7 (70) | 3 (30) | 8 (80) | 7 (70) | 8 (80) | ||
G | 0 | - | - | - | - | - | - | - | - |
All chickens in groups B and E, C and F, and D and G were orally challenged with 2×109 CFU/0.2 mL of
*Non-challenged.
**This represents the number of chickens that survived to 14 days after challenge and were necropsied.
닭에서 살모넬라균 배출 감소는 계란과 계육에서 살모넬라균 오염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이는 살모넬라로 인한 사람 식중독 발생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Garmory 등, 2002). 따라서 닭에서 살모넬라 예방을 하기 위해 약독화 생균 백신과 불활화 사균백신이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살모넬라균은 세포 내 기생세균으로 세포성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약독화 생균백신이 불활화 백신에 비해 방어 효과가 더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Desin 등, 2013). 그러나 약독화 생균백신의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주기적으로 제기되고 있어(Kang 등, 2009), 약독화 생균백신을 대체할 불활화 백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불활화 백신에 의해 생성되는 항체는 주로 IgG이며, 주로 체액성 면역을 유도한다(Muotiala 등 1989; Gast 등, 1993). 최근 신개념 불활화 사균체가 마우스 및 가금에서 세포성 면역 반응을 유도하여 살모넬라를 효과적으로 예방하였다는 연구 결과 보고(Won 등, 2018; Moon 등, 2020; Senevirathne 등, 2021; Senevirathne 등, 2022)를 접할 수 있었다. 더욱이 불활화 백신은 여러 살모넬라 혈청형을 혼합하여 동시에 여러 혈청형을 동시에 예방할 수 있는 다가백신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Clifton-Hadley 등, 2002).
이에 본 연구에서 Chlorhexidine-inactivated
혈액 내 높은 수준의 체액성 면역반응 유도는 감염된 동물이 세포 내 기생세균의 전신 감염을 방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Mastroeni 등, 2001; Alvarez 등, 2004; Kim 등, 2019; Moon 등, 2020). 이들 혈액 IgG 항체는 옵소닌 작용을 통해 감염된 동물에서 식세포의 작용을 극대화함으로써 혈액으로부터 병원성 세균을 제거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Mittrücker 등, 2000; Mastroeni 등, 2001; Kim 등, 2019).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살모넬라 불활화 3가 백신을 갈색 산란계에 근육접종한 후 채취한 혈청에서 각
세포 내 기생세균인 살모넬라의 완벽한 제거를 위해서는 높은 체액성 면역반응 유도뿐 아니라 세포 매개 면역반응 유도는 반드시 필요하다(Norimatsu 등, 2004; Feng 등, 2005; Roesler 등, 2006; Brumme 등, 2007; Pascual 등, 2002; Hur 등, 2011; Moon 등, 2020). CD4+ 및 CD8+ T-cells는 살모넬라 제거를 위한 획득면역 형성에 특히 중요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Nauciel 등, 1990; Mittrucker 등, 2000). CD4+ T-cells은 IFN-γ와 TNF-α와 같은 대식세포 활성화 사이토카인 생산 또는 유도를 통해 살모넬라 감염을 제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cSorley 등, 2000). 또한 CD4+ T-cells은 항체를 생산하는 B-cell을 지원하고 살모넬라 특이 CD8+ T-cells의 생성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ittrucker 등, 2000). CD8+ T-cells은 감염된 세포의 용해를 유도함으로써 살모넬라가 식세포나 다른 자연살해세포 등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고, 식세포를 불러 모으고 활성화에 필요한 사이토카인을 생성한다(Stenger 등, 1998; Mittrücker 등, 2002). Chlorhexidine-inactivated
Chlorhexidine-inactivated
본 연구는 사람에게서 식중독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인 살모넬라를 예방하기 위해서 살모넬라 3가 불활화 백신을 제조하여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 반응 유도와 공격접종 균주에 대한 방어효과를 평가하였다.
이 논문은 정부의 재원으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Korea Institute of Planning and Evaluation for Technology in Food, Agriculture and Forestry, IPET)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습니다(No. 122007-2).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Korean J. Vet. Serv. 2023; 46(4): 303-314
Published online December 30, 2023 https://doi.org/10.7853/kjvs.2023.46.4.303
Copyright © The Korean Socitety of Veterinary Service.
유영주ㆍ유정희ㆍ허진*
전북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공중보건학실
Yeong Ju Yu , Jeong Hee Yu , Jin Hur *
Department of Veterinary Public Health,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e, Jeonbuk National University, Iksan 54596, Korea
Correspondence to:Jin Hur
E-mail: hurjin@jbnu.ac.kr
https://orcid.org/0000-0003-2658-0747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rotective efficacy of trivalent Salmonella inactivated vaccine containing Chlorhexidine-inactivated S. Enterltidis (SE), S. Typhimurium (ST), and S. Gallinarum (SG) strains, was evaluated in this study. A total of 70 brown nick layers were divided into 7 groups, A to G, containing 10 hens per group. All hens in groups B to D were intramuscularly immunized with approximately 7×108 cells (3×108 cells of SE+1×108 cells of ST+3×108 cells of SG) of the trivalent vaccine in 0.5 mL of PBS. All chickens in groups E to G were injected with sterile PBS. All hens of groups B and E, groups C and F, and groups D and G were orally challenged with approximately 2×109 CFU of wild-type SE, ST, and SG, respectively. Serum IgG titers and CD3+CD4+ T-cells, and CD3+CD8+ T-cells levels of groups B to 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roup A. In addition, all animals in groups A to C, E and F showed no clinical symptoms and survived after the virulent challenges, whereas one chicken in group D died and all chickens in group G died following the challenge. The protection against wild-type SE and ST in liver, spleen, cecum, and cloaca of groups B and C chickens was significant effective as compared with those in groups E and F. These indicate that the trivalent inactivated vaccine can be an effective tool for prevention of Salmonella infections by inducing robustly protective immune responses and cellular immune response in chickens.
Keywords: Salmonellosis, Zoonosis, Foultry, Fowl typhoid, Trivalent vaccine
살모넬라 식중독 감염의 가장 흔한 매개체로는 가금류와 계란으로 알려져 있으며, 살모넬라균에 감염된 닭의 난소 및 난관에서 난각이 형성되기 이전에 살모넬라균이 계란 내부에 오염되거나 산란 과정에서 난각에 오염될 수도 있다(Yang 등, 2010). 국내 식중독 발생 양상은 5년간(2017∼2021년) 평균 259회 발생하였으며, 평균 환자 수는 5,276명으로 매년 꾸준히 보고되고 있다. 이중 식중독 발생 환자수는 살모넬라 식중독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더욱이 집단 발생되는 식중독에서 살모넬라균으로 인한 경우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22; Jang 등, 2023).
국내에서 유행하는 살모넬라 혈청형은
국내에서 가금티푸스 예방을 위해 SG9R과 같은 약독화 생균 백신이 사용되고 있는데 생균 백신은 장기간 방어 효과를 나타내고, 국소면역 및 세포 매개성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Lillehoj 등, 2000; Won 등, 2016). 하지만 살모넬라 약독화 생균 백신의 안전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그 이유로는 불완전한 백신주가 접종된 숙주에서 증식하는 과정에서 약독화된 병원성 유전자가 복귀되어 병원성을 회복할 가능성 때문이다(Barbezange 등, 2000). 반면 살모넬라 불활화 백신의 경우 살모넬라에 감염된 닭의 분변을 통한 균 배출이 감소됨과 더불어 계란 내 오염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Gast 등, 1993; Jawale 등, 2014; Jawale과 Lee, 2016). 또한 불활화 백신은 높은 안전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살모넬라 혈청형과 혼합하여 다가백신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응용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개발 및 상용화되어 판매되고 있다(Clifton-Hadley 등, 2002). 그렇지만 불활화 사균체 백신의 경우 백신을 접종한 대상 동물체 내의 면역반응에 의해 쉽게 제거될 수 있어 항원 발현이 제한적이라는 단점으로 인해 면역보강제(adjuvant)를 필요로 하며(Desin 등, 2013), 주로 체액성 면역을 유도하고 세포 매개성 면역반응 유도 능력은 약독화 생균 백신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을 지니고 있어 세포 매개성 면역 반응 유도가 반드시 필요한 세포 내 기생 세균 예방에 있어서는 예방 효과에 한계가 있다(Desin 등, 2013).
최근 불활화 사균체 백신임에도 신개념 사균체 백신인 고스트 백신은 세포 내 기생세균 예방에 필수적인 세포 매개성 면역반응을 유도하여 실험동물에서 살모넬라 감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하였다는 연구 결과 보고가 있으며, 살모넬라 사균체에 오일보조제(oil-adjuvant)를 혼합한 불활화 백신을 접종한 산란계에서 내부장기 내 살모넬라 분리율의 감소, 분변 내 살모넬라 배출 빈도 및 균량의 감소 등이 연구되었고(Gast 등, 1992; Barbezange 등, 2000, Jawale 등, 2014), 모계에서 생성된 면역 항체는 계란을 통해 병아리로 이행되어 부화 후 일정 기간 동안 살모넬라 야외 감염에 대한 방어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Nicholas 등, 1991; Mailson 등, 202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유행하고 있는
불활화 백신 제작 및 공격 접종 균주 그리고 백신 접종 후 항체역가를 측정하기 위한 ELISA coating을 위한 Outer membrane proteins (OMPs) 추출을 위한 균주는 국내 갈색 산란계에서 분리한
Table 1 . Bacterial strains used for this study.
Strain | Description | Source of reference | |
---|---|---|---|
HJL345 | Isolates from Korean chicken in 2009 | Lab stock | |
HJL812 | Isolates from Korean chicken in 2019 | Lab stock | |
HJL465 | Isolates from Korean chicken in 2016 | Lab stock |
Table 2 . Primer sequences and sizes of PCR-amplified targets.
Primer | Sequence (5’-3’) | Amplification target | Amplification length (bp) | Reference |
---|---|---|---|---|
OMPCF | ATC GCT GAC TTA TGC AAT CG | 204 | Alvarez et al. (2004) | |
OMPCR | CGG GTT GCG TTA TAG GTC TG | |||
ENTF | TGT GTT TTA TCT GAT GCA AGA GG | 304 | Alvarez et al. (2004) | |
ENTR | TGA ACT ACG TTC GTT CTT CTG G | |||
TYPHF | TTG TTC ACT TTT TAC CCC TGA A | 401 | Alvarez et al. (2004) | |
TYPHR | CCC TGA CAG CCG TTA GAT ATT | |||
SG-L | GAT CTG CTG CCA GCT CAA | 252 | Kang et al. (2011) | |
SG-R | GCG CCC TTT TCA AAA CAT A | |||
SGP-L | CGG TGT ACT GCC CGC TAT | 172 | ||
SGP-R | CTG GGC ATT GAC GCA AA |
살모넬라에 음성인 농장의 갈색 산란계 초생추 70수를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연구용 병아리는 실험에 사용된 백신 외에 어떠한 백신도 접종하지 않았으며, 시판 상업용 사료와 음료를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는 환경에서 사육되었다. 본 실험에서 보고된 동물실험은 Korean Council on Animal Care의 인가를 받은 전북대학교 동물윤리 위원회의 승인(JBNU2022-066)을 받아 진행하였다.
3가 살모넬라 불활화 백신의 제작을 위해 Moon 등(2020)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HJL345 (
사육된 갈색 산란계가 5주령이 되었을 때 무작위로 선별하여 7그룹(각 그룹 당 10수)으로 나누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도록 일주일간의 안정화 기간을 거친 후 6주령이 되었을 때 음성대조군 그룹 A는 아무 것도 접종하지 않았으며, 백신군인 B, C, D 그룹의 모든 닭은 살모넬라 3가 불활화 백신을 0.5 mL씩 6주령에 1차, 9주령에 2차로 근육 접종하였고, 각 균주별 양성대조군인 E, F, G 그룹의 경우 같은 시기에 각각 멸균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0.5 mL씩 접종하였다(Table 3).
Table 3 . Animal experimental group design for trivalent vaccine experiment.
Group | n | Types of vaccines | Challenge strain | |
---|---|---|---|---|
A | Negative control | 10 | - | - |
B | Vaccination | 10 | Trivalent vaccine | |
C | Vaccination | 10 | Trivalent vaccine | |
D | Vaccination | 10 | Trivalent vaccine | |
E | SE positive cont. | 10 | PBS | |
F | ST positive cont. | 10 | PBS | |
G | SG positive cont. | 10 | PBS | |
Total | 70 |
혈청은 0 weeks post prime immunization (1차 접종 전, 0 WPPI), 3 WPPI (2차 접종 전), 6 WPPI (공격접종 전)에 각각 채혈하여 준비하였다. 즉, 채취한 혈액은 3,000 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고, 분리된 혈청은 −20℃에 보관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백신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백신군과 대조군 모두 백신 접종 전, 1차 접종 3주 후, 2차 접종 3주 후에 닭 체중 측정 개체관리기(GI-1000, G-Tech International, Uijeongbu, Korea)를 사용하여 모든 개체의 체중을 측정하였고, 모든 개체는 하루에 두 번씩 발열, 설사, 식욕부진, 운동성 저하 및 폐사 여부를 확인하였다.
3가 살모넬라 불활화 백신 접종 후
세포 매개성 면역 반응 유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Senevirathne 등(2021)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Flow Cytometry Analysis에 의해 CD3+CD4+, CD3+CD8+ T-cells이 측정되었다. 즉, 살모넬라 불활화 3가 백신 접종 후 닭의 말초 혈액 내 CD3+CD4+, CD3+CD8+ T-cells 수치를 측정하기 위해 2차 백신 접종 후 2주째에 대조군인 A그룹에서 10수, 백신군인 B, C, D 그룹에서 무작위로 10수를 선별하여 채혈하였다. 1×106/well이 되도록 희석된 말초혈액 내 림프구는 각 300 ng/mL의
국내 갈색 산란계에서 분리한 HJL345, HJL812, HJL465를 LB Broth 10 mL에 각각 접종하여 37℃ 배양기에서 16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신선한 LB Broth에서 재접종하여 OD600의 값이 0.6이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4,000 rpm으로 5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버리고 침전물을 PBS로 2회 세척하였다. 침전물을 10% sucrose (JUNSEI, Chuno-ku, Tokyo, Japan) 함유 PBS로 각 1×1010 CFU/mL이 되도록 재부유하여, 그룹 B, E의 닭 1수 당
모든 실험 결과는 5.02 GraphPad software (San Diego, CA, USA)을 이용하여 Tukey’s multiple comparison test에 기반한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에 의해 평균 비교되었다.
1차 접종 후 3주 동안 체중 변화는 Fig. 1에서 보는 바와 같았다. 즉, 대조군은 1차 접종 후 3주 동안 평균 293.5±47.2 g 증가하였으며, 백신 접종군인 B∼D 산란계는 각각 243.5±40.7 g, 264.5±77.0 g, 245.0±101.8 g씩 증가하였다. 그리고 2차 접종 후 3주 동안 대조군이 304.5±118.5 g 증가하는 동안 백신 접종군인 B∼D 산란계는 각각 258.0±39.9 g, 236.5±94.0 g, 253.0±146.1 g씩 증가하였다. 하지만 PBS 접종 군인 E∼G 산란계는 대조군과 별반 차이가 없었다. 백신 접종군인 B∼D 및 PBS 접종군인 E∼G의 산란계 모두 1차 백신 접종 후 3주간 및 2차 백신 접종 후 3주간 발열, 설사, 식욕부진, 운동성 저하 및 폐사가 관찰되지 않았다.
백신 접종 전, 백신 1차 접종 후, 2차 접종 후에 각각 정기적으로 채혈하여 각 살모넬라 OMPs를 이용한 ELISA로 혈청 IgG 항체 역가를 측정한 결과는 Fig. 2와 같았다.
음성대조군인 A그룹과 백신 접종 그룹인 B∼D 그룹의 혈액에서 분리된 림프구를 각
2차 백신 접종 후 3주째에 음성대조군인 A 그룹을 제외한 모든 그룹에 병원성 살모넬라 균주를 각 200 mL씩 경구접종 하였다. 즉, B, E 그룹에
부검 후 균분리 결과 음성대조군인 A 그룹에서는 직접도말 했을 때와 증균배양 했을 때 모두 균분리를 시도한 모든 조직에서
Table 4 . Recovery of challenge strain from internal organs of the survived chickens.
Group/Organs | Challenge strain | n** | Direct culture (%) | Enrichment culture (%) | |||||||
---|---|---|---|---|---|---|---|---|---|---|---|
Liver | Spleen | Cecum | Cloaca | Liver | Spleen | Cecum | Cloaca | ||||
A | -* | 10 | 0 | 0 | 0 | 0 | 0 | 0 | 0 | 0 | |
B | 10 | 0 | 5 (50) | 1 (10) | 2 (20) | 0 | 50 (50) | 2 (20) | 2 (20) | ||
C | 10 | 0 | 3 (30) | 2 (20) | 0 | 0 | 40 (4) | 30 (3) | 3 (30) | ||
D | 9 | 5 (55.6) | 5 (55.6) | 2 (22.2) | 1 (11.1) | 6 (66.7) | 5 (55.6) | 3 (33.3) | 1 (11.1) | ||
E | 10 | 0 | 9 (90) | 6 (60) | 4 (40) | 0 | 10 (100) | 8 (80) | 8 (80) | ||
F | 10 | 1 (10) | 4 (40) | 6 (60) | 7 (70) | 3 (30) | 8 (80) | 7 (70) | 8 (80) | ||
G | 0 | - | - | - | - | - | - | - | - |
All chickens in groups B and E, C and F, and D and G were orally challenged with 2×109 CFU/0.2 mL of
*Non-challenged..
**This represents the number of chickens that survived to 14 days after challenge and were necropsied..
닭에서 살모넬라균 배출 감소는 계란과 계육에서 살모넬라균 오염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이는 살모넬라로 인한 사람 식중독 발생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Garmory 등, 2002). 따라서 닭에서 살모넬라 예방을 하기 위해 약독화 생균 백신과 불활화 사균백신이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살모넬라균은 세포 내 기생세균으로 세포성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약독화 생균백신이 불활화 백신에 비해 방어 효과가 더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Desin 등, 2013). 그러나 약독화 생균백신의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주기적으로 제기되고 있어(Kang 등, 2009), 약독화 생균백신을 대체할 불활화 백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불활화 백신에 의해 생성되는 항체는 주로 IgG이며, 주로 체액성 면역을 유도한다(Muotiala 등 1989; Gast 등, 1993). 최근 신개념 불활화 사균체가 마우스 및 가금에서 세포성 면역 반응을 유도하여 살모넬라를 효과적으로 예방하였다는 연구 결과 보고(Won 등, 2018; Moon 등, 2020; Senevirathne 등, 2021; Senevirathne 등, 2022)를 접할 수 있었다. 더욱이 불활화 백신은 여러 살모넬라 혈청형을 혼합하여 동시에 여러 혈청형을 동시에 예방할 수 있는 다가백신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Clifton-Hadley 등, 2002).
이에 본 연구에서 Chlorhexidine-inactivated
혈액 내 높은 수준의 체액성 면역반응 유도는 감염된 동물이 세포 내 기생세균의 전신 감염을 방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Mastroeni 등, 2001; Alvarez 등, 2004; Kim 등, 2019; Moon 등, 2020). 이들 혈액 IgG 항체는 옵소닌 작용을 통해 감염된 동물에서 식세포의 작용을 극대화함으로써 혈액으로부터 병원성 세균을 제거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Mittrücker 등, 2000; Mastroeni 등, 2001; Kim 등, 2019).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살모넬라 불활화 3가 백신을 갈색 산란계에 근육접종한 후 채취한 혈청에서 각
세포 내 기생세균인 살모넬라의 완벽한 제거를 위해서는 높은 체액성 면역반응 유도뿐 아니라 세포 매개 면역반응 유도는 반드시 필요하다(Norimatsu 등, 2004; Feng 등, 2005; Roesler 등, 2006; Brumme 등, 2007; Pascual 등, 2002; Hur 등, 2011; Moon 등, 2020). CD4+ 및 CD8+ T-cells는 살모넬라 제거를 위한 획득면역 형성에 특히 중요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Nauciel 등, 1990; Mittrucker 등, 2000). CD4+ T-cells은 IFN-γ와 TNF-α와 같은 대식세포 활성화 사이토카인 생산 또는 유도를 통해 살모넬라 감염을 제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cSorley 등, 2000). 또한 CD4+ T-cells은 항체를 생산하는 B-cell을 지원하고 살모넬라 특이 CD8+ T-cells의 생성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ittrucker 등, 2000). CD8+ T-cells은 감염된 세포의 용해를 유도함으로써 살모넬라가 식세포나 다른 자연살해세포 등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고, 식세포를 불러 모으고 활성화에 필요한 사이토카인을 생성한다(Stenger 등, 1998; Mittrücker 등, 2002). Chlorhexidine-inactivated
Chlorhexidine-inactivated
본 연구는 사람에게서 식중독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인 살모넬라를 예방하기 위해서 살모넬라 3가 불활화 백신을 제조하여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 반응 유도와 공격접종 균주에 대한 방어효과를 평가하였다.
이 논문은 정부의 재원으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Korea Institute of Planning and Evaluation for Technology in Food, Agriculture and Forestry, IPET)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습니다(No. 122007-2).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Table 1 . Bacterial strains used for this study.
Strain | Description | Source of reference | |
---|---|---|---|
HJL345 | Isolates from Korean chicken in 2009 | Lab stock | |
HJL812 | Isolates from Korean chicken in 2019 | Lab stock | |
HJL465 | Isolates from Korean chicken in 2016 | Lab stock |
Table 2 . Primer sequences and sizes of PCR-amplified targets.
Primer | Sequence (5’-3’) | Amplification target | Amplification length (bp) | Reference |
---|---|---|---|---|
OMPCF | ATC GCT GAC TTA TGC AAT CG | 204 | Alvarez et al. (2004) | |
OMPCR | CGG GTT GCG TTA TAG GTC TG | |||
ENTF | TGT GTT TTA TCT GAT GCA AGA GG | 304 | Alvarez et al. (2004) | |
ENTR | TGA ACT ACG TTC GTT CTT CTG G | |||
TYPHF | TTG TTC ACT TTT TAC CCC TGA A | 401 | Alvarez et al. (2004) | |
TYPHR | CCC TGA CAG CCG TTA GAT ATT | |||
SG-L | GAT CTG CTG CCA GCT CAA | 252 | Kang et al. (2011) | |
SG-R | GCG CCC TTT TCA AAA CAT A | |||
SGP-L | CGG TGT ACT GCC CGC TAT | 172 | ||
SGP-R | CTG GGC ATT GAC GCA AA |
Table 3 . Animal experimental group design for trivalent vaccine experiment.
Group | n | Types of vaccines | Challenge strain | |
---|---|---|---|---|
A | Negative control | 10 | - | - |
B | Vaccination | 10 | Trivalent vaccine | |
C | Vaccination | 10 | Trivalent vaccine | |
D | Vaccination | 10 | Trivalent vaccine | |
E | SE positive cont. | 10 | PBS | |
F | ST positive cont. | 10 | PBS | |
G | SG positive cont. | 10 | PBS | |
Total | 70 |
Table 4 . Recovery of challenge strain from internal organs of the survived chickens.
Group/Organs | Challenge strain | n** | Direct culture (%) | Enrichment culture (%) | |||||||
---|---|---|---|---|---|---|---|---|---|---|---|
Liver | Spleen | Cecum | Cloaca | Liver | Spleen | Cecum | Cloaca | ||||
A | -* | 10 | 0 | 0 | 0 | 0 | 0 | 0 | 0 | 0 | |
B | 10 | 0 | 5 (50) | 1 (10) | 2 (20) | 0 | 50 (50) | 2 (20) | 2 (20) | ||
C | 10 | 0 | 3 (30) | 2 (20) | 0 | 0 | 40 (4) | 30 (3) | 3 (30) | ||
D | 9 | 5 (55.6) | 5 (55.6) | 2 (22.2) | 1 (11.1) | 6 (66.7) | 5 (55.6) | 3 (33.3) | 1 (11.1) | ||
E | 10 | 0 | 9 (90) | 6 (60) | 4 (40) | 0 | 10 (100) | 8 (80) | 8 (80) | ||
F | 10 | 1 (10) | 4 (40) | 6 (60) | 7 (70) | 3 (30) | 8 (80) | 7 (70) | 8 (80) | ||
G | 0 | - | - | - | - | - | - | - | - |
All chickens in groups B and E, C and F, and D and G were orally challenged with 2×109 CFU/0.2 mL of
*Non-challenged..
**This represents the number of chickens that survived to 14 days after challenge and were necropsied..
Sin-Wook Park, Keon Kim, Chang-Yun Je, Chang-Hyeon Choi, Sang-Gyue Choi, Jong-Soo Lim, Ok-Mi Jeong, Guk-Hyun Suh, Chang-Min Lee
Korean J. Vet. Serv. 2023; 46(3): 211-218 https://doi.org/10.7853/kjvs.2023.46.3.211Kang, Shin-Seok;Park, Jae-Myung;Lee, Jong-Jin;Yuk, Min-Jung;Byeon, Chul-Sup;Seo, Hwang-Won;Choi, Hae-Yeon;
Korean J. Vet. Serv. 2003; 26(2): 135-144 https://doi.org/10.7853/.2003.26.2.135Han, So-Young;Chung, Nyun-Ki;Kim, Jong-Ho;Park, Jong-Min;Han, Su-Jin;
Korean J. Vet. Serv. 2008; 31(1): 31-35 https://doi.org/10.7853/.2008.31.1.31